목차
1. 포템킨호의 수병들은 왜 폭동을 일으켰는가?
2. 포템킨호의 폭동이 발발하는데 있어 수병 바클린슈크는 어떤 역할을 했는가?
3.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 ‘종교’가 한 역할은 어떠한 것이었는가?
4. 오데사 항구에서 코사크 병사들과 오데사 시민들 사이에 어떤 일이 벌어졌는가?
5. “혁명”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어떠한 것인가?
6. 그 외에 느낀 점에 대해 쓰시오.
2. 포템킨호의 폭동이 발발하는데 있어 수병 바클린슈크는 어떤 역할을 했는가?
3.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 ‘종교’가 한 역할은 어떠한 것이었는가?
4. 오데사 항구에서 코사크 병사들과 오데사 시민들 사이에 어떤 일이 벌어졌는가?
5. “혁명”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어떠한 것인가?
6. 그 외에 느낀 점에 대해 쓰시오.
본문내용
다. 촬영중 승합마차가 카메라 앞을 막 지나가는 순간에 필름이 걸려, 카메라를 돌리던 손을 멈췄는데, 그것을 고쳐 다시 부드럽게 필름을 돌리기 시작했을 때, 카메라 앞에는 이미 승합마차는 없어지고 장의 마차가 지나가고 있었다. 이것을 연속으로 영사하자, 현실에서는 있을 수 없는 마차의 '변신극'이 스크린에 나타나게 되었다. 그때까지 뤼미에르의 대부분의 필름에서는 영화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이 우연한 사건으로 인해 멜리에스는 영화에 '있을 수 없는' 현상을 창조하는 힘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후 러시아에서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은 컷의 개념을 더 발전시켜 몽타주기법이라는 것을 주창했다. 그는 몽타주 기법을 알리기 위해 힘썼고 그의 기법을 영화에 직접 적용시키기도 했는데 전함 포템킨이 이 기법이 사용된 가장 최초의 영화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 영화가 1925년이라는 아주 오래전에 만들어졌음에도 흑백화면이나 무성영화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혀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요즘의 영화와 닮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사실은 요즘 영화가 전함 포템킨의 기법을 빌린 것이겠지만 말이다. 그리고 수업 중 교수님이 말씀하신 것과 같이, 그의 몽타주 기법이 오늘날 자본주의의 천국 할리우드에서 지독히도 자주 쓰인다는 것은 정말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참고문헌
빅또르 세르쥬 지음, 김주한, 황동하 옮김, 러시아혁명의 진실, 풀무질, 1996
엘스베트 볼프하임 지음, 이현정 옮김, 마아코프스키와 에이젠슈테인, 2005
토니 클리프 지음, 최일붕 옮김, 당 건설을 향하여:레닌, 북막스, 2004
참고문헌
빅또르 세르쥬 지음, 김주한, 황동하 옮김, 러시아혁명의 진실, 풀무질, 1996
엘스베트 볼프하임 지음, 이현정 옮김, 마아코프스키와 에이젠슈테인, 2005
토니 클리프 지음, 최일붕 옮김, 당 건설을 향하여:레닌, 북막스,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