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본론
1.한자.
2.복(福)의 종류와 의미.
3.건축과 한자의 결합.
Ⅲ.결론
Ⅱ.본론
1.한자.
2.복(福)의 종류와 의미.
3.건축과 한자의 결합.
Ⅲ.결론
본문내용
우선, 어떻게 한자를 건축, 즉 건물에 적용할 것인가? 이러한 생각을 해 보았다. 저 위에 있는 한자 24자를 이용해서 하나의 타운을 만들면 어떨까? 즉, 건물 하나하나마다 저 위의 한자를 하나씩 적용해 디자인 하여 그것을 한데 모아 하나의 타운을 만드는 것이다. 한마디로 하나의 ‘랜드마크’적인 장소를 만드는 것이다.
전체적 디자인은 입면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평면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생각했다. 그 이유는 위에서 보듯이 한자는 복잡하다. 물론 제법 간단한 한자도 있지만, 대부분 복잡
하다. 건축 기술적으로 보았을 때 시공시 높은 기술력이 필요로 할 것이다. 그러면 비용이라든가 시공시 안전성 등 여러 요인에서 결함이 날 가능성이 높다. 평면적으로 디자인 하는 것 역시 쉬운일은 아니나 입면적보다는 더 쉬울 것이다.
그리고 평면적으로 디자인 하는 것이 상징적 부분에서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가까이에서 보면 일반 건물이나 하늘에서 이 타운을 보았을 때 여러 한자(복을 의미하는)가 한 데 어우러져 하나의 상징적 타운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타운을 만드는데 그 타운의 의미 또한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타운에 부여할 의미는 위에서 언급했던 오복(五福)의 의미를 부여 하면 좋을 것이다. 또한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 이러한 다섯가지 의미 그대로 적용하여 다섯가지의 단지로 타운을 구분짓는 것이다. 의미도 부여하면서 깔끔하게 구분을 짓는 것이다.
Ⅲ.결론
이렇듯 한자라는 글자의 아름다움과 그 심오한 의미를 부여하여 건축에 적용해 보는 것, 참으로 재미나고 흥미로운 일이다. 복(福)이라는 한자를 사용하여 구성해 보았지만 다른 한자를 이용해서 생각해 보는 것 또한 재미있을 것 같다. 그리고 한자뿐 아니라 한국의 글, 즉 한글을 이용해서 건축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한글로 건축을 한다면 하나의 또 다른 ‘랜드마크’로서 세계에 한국을 더 많이 알릴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이번 과제를 하며 건축과 한자의 결합을 구상하고 이리저리 생각해 보다 문득 인간관계에서도 서로 결합하는, 잘 어울려 조화롭게 산다면 좀 더 나은 삶, 좀 더 보람되고 재미있는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삶에서 이 ‘결합정신’을 가지고 인간관계, 일 등 여러 방면에 지금보다 좀 더 낳은 삶을 살아가 보고 싶은 바램이다.
전체적 디자인은 입면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평면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생각했다. 그 이유는 위에서 보듯이 한자는 복잡하다. 물론 제법 간단한 한자도 있지만, 대부분 복잡
하다. 건축 기술적으로 보았을 때 시공시 높은 기술력이 필요로 할 것이다. 그러면 비용이라든가 시공시 안전성 등 여러 요인에서 결함이 날 가능성이 높다. 평면적으로 디자인 하는 것 역시 쉬운일은 아니나 입면적보다는 더 쉬울 것이다.
그리고 평면적으로 디자인 하는 것이 상징적 부분에서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가까이에서 보면 일반 건물이나 하늘에서 이 타운을 보았을 때 여러 한자(복을 의미하는)가 한 데 어우러져 하나의 상징적 타운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타운을 만드는데 그 타운의 의미 또한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타운에 부여할 의미는 위에서 언급했던 오복(五福)의 의미를 부여 하면 좋을 것이다. 또한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 이러한 다섯가지 의미 그대로 적용하여 다섯가지의 단지로 타운을 구분짓는 것이다. 의미도 부여하면서 깔끔하게 구분을 짓는 것이다.
Ⅲ.결론
이렇듯 한자라는 글자의 아름다움과 그 심오한 의미를 부여하여 건축에 적용해 보는 것, 참으로 재미나고 흥미로운 일이다. 복(福)이라는 한자를 사용하여 구성해 보았지만 다른 한자를 이용해서 생각해 보는 것 또한 재미있을 것 같다. 그리고 한자뿐 아니라 한국의 글, 즉 한글을 이용해서 건축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한글로 건축을 한다면 하나의 또 다른 ‘랜드마크’로서 세계에 한국을 더 많이 알릴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이번 과제를 하며 건축과 한자의 결합을 구상하고 이리저리 생각해 보다 문득 인간관계에서도 서로 결합하는, 잘 어울려 조화롭게 산다면 좀 더 나은 삶, 좀 더 보람되고 재미있는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삶에서 이 ‘결합정신’을 가지고 인간관계, 일 등 여러 방면에 지금보다 좀 더 낳은 삶을 살아가 보고 싶은 바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