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공연장 소개
-전체적인 설명, 위치와 좌석 수 등
■ 공연장의 구체적인 설명
-Mission, 운영전략, Target층, 주로 유치하는 공연들
■ 공연장 모습
- 무대 모양, 관객석 배치 등
■ 부대 시설
-직장인들을 위한 conference 룸, 세미나실 등
■ 기획 공연, 그리고 구체적 분석
- B Boy를 사랑한 발레리나
-전체적인 설명, 위치와 좌석 수 등
■ 공연장의 구체적인 설명
-Mission, 운영전략, Target층, 주로 유치하는 공연들
■ 공연장 모습
- 무대 모양, 관객석 배치 등
■ 부대 시설
-직장인들을 위한 conference 룸, 세미나실 등
■ 기획 공연, 그리고 구체적 분석
- B Boy를 사랑한 발레리나
본문내용
이 가능한 비언어극이라는 것이다. 음악은 흔히들 세계 공용어라고 말한다. 그래서 뮤지컬 쪽으로 포지셔닝을 하였고, 가사가 들어가게 되면 전달이 힘들 것 같아 비언어극으로 설정하였다. 우리가 원어로 된 오페라를 보러갈 때, 양쪽 옆 벽에 붙어있는 자막을 보느라 정작 장면들은 놓치고, 배우들의 동작이나 연기에 집중을 할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을 떠올리며 모은 의견이다.
■ 공연 SWOT 분석, STP 전략
내부 환경 분석 〔Strength, Weakness〕
(1) 강점 (Strength)
- 무언극이기 때문에 외국인에게 춤과 음악으로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 3년 동안 50만 관객을 모을 정도로 인지도가 높다.
- 다양한 춤과 뉴에이지, 클래식, 힙합, 재즈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극에 들어가 있다.
- 세계적으로 유명한 B-Boy 대회에서 우리나라 댄서들이 챔피언을 차지하고 있다.
- 브레이크 댄스를 극장 안으로 옮겨 옴으로써 대중과 그 문화를 더욱 다양하게 공유하고 즐길 수 있다.
(2) 약점 (Weakness)
- 장기적 공연으로 인해 새로움을 상실할 수 있다.
- 무언극이 익숙하지 않은 관객들은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
- 유명한 배우들이 출연하지 않기 때문에 관객들이 외면할 수 있다.
외부 환경 분석 〔Opportunity, Threat〕
(1) 기회요인 (Opportunity)
- 주 5일 근무제가 확산되고 있다.
- 문화생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 우리나라 공연 제작 기술이 향상되고 있다.
- 공연예술분야 시장의 다양성으로 많은 사람들의 욕구를 반영할 수 있다.
- 공연 장르가 다양화되고 있다 (난타, 점프, 팝페라 등)
- 공연장은 ‘명동’ 이라는 좋은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 작품에 대해 높은 인지도가 있다.
- 비슷비슷한 소재와 내용의 로맨틱 코미디와 코믹멜로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뮤지컬 시장에서 신선한 드라마적 요소에 댄스를 부합한 무언극 뮤지컬이다.
(2) 위협요인 (Threat)
- 경기침체로 공연의 소비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
- 대체제의 존재로 가격경쟁이 떨어질 수 있다.
- 유명 뮤지컬이 너무 많이 나오고 있다.
- 정통 클래식 공연만을 찾는 사람들에게는 외면 받을 수 있다.
- 영화산업으로 관심이 확대되었다.
[시장세분화-Segmentation]
(1)인구통계학적 세분화
10세 미만
발레나 춤을 좋아하는 아이들에게 호기심을 일으킴.
10세~20세
뮤지컬의 재미를 추구. 초, 중고등학생들의 체험학습 과제.
20세~30세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 발레 전공자, 명동 근처 회사에 근무하는 회사원.
30세~40세
현재 어린 자녀를 둔 부모.
50세~
경제력 풍부.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
외국인
말이 필요 없는 무언극으로 외국인들의 관광코스.
(2) 공연특성에 따른 세분화
뮤지컬 무언극으로 춤과 노래를 좋아하는 요즘 젊은이들에게 친숙한 느낌을 준다.
=> 20대 중후반~30대, 직장인 여성
(3) 관람의 수단적 목적을 기준으로 한 세분화
발레, 춤 전공자들의 학습적 효과 → 20대 초반~30대 후반 남녀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 → 20대 중후반~30대 젊은 남녀
여성의 경우 친구들과의 즐거운 시간 → 20대 중후반~30대 여성
명동 근처에 근무하는 회사원들의 여가활동 → 20대 후반~30대 후반 남녀
외국인들의 관광코스 → 외국인
[표적시장 선정 - Target] <참고>
(1) 메인 타겟
명동 구매력을 갖춘 20대 중후반~30대 미혼 남성, 여성
(2) 서브타겟
어린이들 타깃 + 부모님 => 가족단위
친구들과 함께 여가를 즐기는 => 10대,20대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 => 연인
춤, 발레를 좋아하는 => 20~30대 무용 전공자
외국인들의 관광 코스 => 외국인
[포지셔닝 - Positioning]
- 정보전달의 한계를 벗어나 춤과 무용만으로 외국인들도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내용으로 만든다.
- 지속적인 수정과 완성도 높은 뮤지컬을 지향한다.
- 다양한 좌석등급과 여러 할인혜택을 마련한다.
- 최초의 뮤지컬무언극이라는 점을 환기시킨다.
- 유명한 발레리나와 B-boy를 통해 완성도 높은 춤을 즐길 수 있게 하는 공연을 만든다.
- 구매자들이 어렵게 생각 할 수 있는 무용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공연을 만든다.
- 상상력을 자극하는 공연을 만든다.
- 토요일 이른 오후 공연과 일요일 오후 공연으로 mail target 이외의
다양한 시간대의 구매자를 공략한다.
■ 공연 SWOT 분석, STP 전략
내부 환경 분석 〔Strength, Weakness〕
(1) 강점 (Strength)
- 무언극이기 때문에 외국인에게 춤과 음악으로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 3년 동안 50만 관객을 모을 정도로 인지도가 높다.
- 다양한 춤과 뉴에이지, 클래식, 힙합, 재즈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극에 들어가 있다.
- 세계적으로 유명한 B-Boy 대회에서 우리나라 댄서들이 챔피언을 차지하고 있다.
- 브레이크 댄스를 극장 안으로 옮겨 옴으로써 대중과 그 문화를 더욱 다양하게 공유하고 즐길 수 있다.
(2) 약점 (Weakness)
- 장기적 공연으로 인해 새로움을 상실할 수 있다.
- 무언극이 익숙하지 않은 관객들은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
- 유명한 배우들이 출연하지 않기 때문에 관객들이 외면할 수 있다.
외부 환경 분석 〔Opportunity, Threat〕
(1) 기회요인 (Opportunity)
- 주 5일 근무제가 확산되고 있다.
- 문화생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 우리나라 공연 제작 기술이 향상되고 있다.
- 공연예술분야 시장의 다양성으로 많은 사람들의 욕구를 반영할 수 있다.
- 공연 장르가 다양화되고 있다 (난타, 점프, 팝페라 등)
- 공연장은 ‘명동’ 이라는 좋은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 작품에 대해 높은 인지도가 있다.
- 비슷비슷한 소재와 내용의 로맨틱 코미디와 코믹멜로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뮤지컬 시장에서 신선한 드라마적 요소에 댄스를 부합한 무언극 뮤지컬이다.
(2) 위협요인 (Threat)
- 경기침체로 공연의 소비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
- 대체제의 존재로 가격경쟁이 떨어질 수 있다.
- 유명 뮤지컬이 너무 많이 나오고 있다.
- 정통 클래식 공연만을 찾는 사람들에게는 외면 받을 수 있다.
- 영화산업으로 관심이 확대되었다.
[시장세분화-Segmentation]
(1)인구통계학적 세분화
10세 미만
발레나 춤을 좋아하는 아이들에게 호기심을 일으킴.
10세~20세
뮤지컬의 재미를 추구. 초, 중고등학생들의 체험학습 과제.
20세~30세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 발레 전공자, 명동 근처 회사에 근무하는 회사원.
30세~40세
현재 어린 자녀를 둔 부모.
50세~
경제력 풍부.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
외국인
말이 필요 없는 무언극으로 외국인들의 관광코스.
(2) 공연특성에 따른 세분화
뮤지컬 무언극으로 춤과 노래를 좋아하는 요즘 젊은이들에게 친숙한 느낌을 준다.
=> 20대 중후반~30대, 직장인 여성
(3) 관람의 수단적 목적을 기준으로 한 세분화
발레, 춤 전공자들의 학습적 효과 → 20대 초반~30대 후반 남녀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 → 20대 중후반~30대 젊은 남녀
여성의 경우 친구들과의 즐거운 시간 → 20대 중후반~30대 여성
명동 근처에 근무하는 회사원들의 여가활동 → 20대 후반~30대 후반 남녀
외국인들의 관광코스 → 외국인
[표적시장 선정 - Target] <참고>
(1) 메인 타겟
명동 구매력을 갖춘 20대 중후반~30대 미혼 남성, 여성
(2) 서브타겟
어린이들 타깃 + 부모님 => 가족단위
친구들과 함께 여가를 즐기는 => 10대,20대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 => 연인
춤, 발레를 좋아하는 => 20~30대 무용 전공자
외국인들의 관광 코스 => 외국인
[포지셔닝 - Positioning]
- 정보전달의 한계를 벗어나 춤과 무용만으로 외국인들도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내용으로 만든다.
- 지속적인 수정과 완성도 높은 뮤지컬을 지향한다.
- 다양한 좌석등급과 여러 할인혜택을 마련한다.
- 최초의 뮤지컬무언극이라는 점을 환기시킨다.
- 유명한 발레리나와 B-boy를 통해 완성도 높은 춤을 즐길 수 있게 하는 공연을 만든다.
- 구매자들이 어렵게 생각 할 수 있는 무용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공연을 만든다.
- 상상력을 자극하는 공연을 만든다.
- 토요일 이른 오후 공연과 일요일 오후 공연으로 mail target 이외의
다양한 시간대의 구매자를 공략한다.
추천자료
난타와 CGV 마케팅사례분석-문화마케팅
음반 제작 홍보 기획안
문화컨텐츠수출
(사업계획서)춘천의축제 통합 사업계획서
PMC 프로덕션의 성공요인
전병국의 `서른이 되기 전에 그리는 일곱 개의 쉼표`를 읽고
[광고론 발표] 제일기획
(A+자료) 해외계약서 작성과정과 방법 및 작성 시 유의할점과 사례 조사분석
뮤지컬 넌센스를 보고_기획의도_줄거리_감상문
[공연이벤트] 싸이and 레이디가가
YG엔터테인먼트(YG Entertainment) 기업재무분석 및 YG 기업가치평가와 YG 재무전략분석 - 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획서- 인디음악 라이브중계 어플 제작
[연극의 이해] 만화 『아르미안의 네 딸들』뮤지컬 각색 공연 계획 & 홍보 이벤트
미디어영상학과=문화산업과 문화기획=(문화예술에 대한 다양한 지원제도)다양한 지원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