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의 이해] 만화 『아르미안의 네 딸들』뮤지컬 각색 공연 계획 & 홍보 이벤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극의 이해] 만화 『아르미안의 네 딸들』뮤지컬 각색 공연 계획 & 홍보 이벤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으로 아르미안인이나, 신의 의상과는 구별되는 특징적인 의상을 입게 된다. 부드러운 실크나 레이온 소재의 흘러내 리는 듯 느슨한 의상을 어깨부근에 겹쳐서 그의 높은 신분을 나타내는 장식적인 느낌을 주고 허리와 종아리부근에서는 조여주는 등 포인트를 준다.
(pp) [다섯 번째 그림]의 인물은 스와르다이다. 아르미안 최고의 미인 스와르다는 화려 하지만 고결하고 품위있는 성격에 맞게 기품있는 의상과 보석으로 디자인하고자 한다.
(pp) [여섯 번째 그림]의 인물은 정령 미카엘이다. 수시로 말과 정령의 모습을 오가는 미카엘은 정령이라는 본분에 비추어 몸 자체가 무겁지 않고 신비스러운 분위기를 자아 내기 위해 따뜻한 계통의 색상을 가진 의상보다는 푸른색이나 자색 색상의 옷을 착의하 여 얇고 비치는 소재의 옷감을 여러겹 사용하여 날아갈듯한 느낌을 주는 디자인을 하고 자 한다.
(pp) [일곱 번째 그림]의 인물은 자수정의 글라우커스이다. 그는 예지자이므로 그림과 같이 차분하고 지적인 느낌의 의상을 착의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예상한다.
(pp) [여덟 번째 그림]의 인물은 아스파샤와 페리클레스이다. 의녀로 길러져 뛰어난 치 유능력을 가지고 매우 다정다감한 아스파샤에게는 수수하지만 기품있는 의상을, 훗날 그리스의 위대한 지도자가 되는 페리클레스는 학자 특유의 기백이 깃든 흰옷을 입는다.
(pp) [아홉 번째 그림]의 인물은 아르미안의 전사의 케네스의 모습이다. 페르시아와의 전쟁 장면에 동원되는 군무를 행할 엑스트라가 입게될 이 의상은 용맹스러우면서도 모 계 중신의 사회인 아르미안의 성향을 반영하는듯한 느낌을 주어 여성 복장보다 수수하 게 표현하도록 한다.
조명
1) 배경에 필요한 조명
- 무대 공간 및 장치 에서도 언급이 있었다.
- 일반적으로,
태양은 강렬한 조명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자수정의 배경에서는 자수정 모형을 만들어 그 안에서 보라색 조명을 하면 신비로운 분위기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분위기에 따라 평화로운 분위기는 따듯한 조명으로 나타낸다.
조명의 색을 빠른 속도로 바꾸어 가며 긴박한 분위기나 빠른 전개를 표현한다.
싸움의 강조나 전쟁 장면에서는 깜빡거리는 (나이트에서 사용하는) 조명을 쓴다.
사신의 나라를 표현할 때는 어둠고 색다를 분위기를 나타내기 위해서 아래쪽에서 조 명을 해 주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2) 캐릭터에 따라 설정된 조명
- 마누아:차갑고 냉정하고 이지적인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는 파란색을 주로 사용한다.
- 샤르휘나:밝고 명랑한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는 노란 계통의 조명을 주로 사용한다.
금빛 머리를 가진 황금의 소녀이므로 의상도 반사 가능한 소재를 넣어 조명효과를 극대 화 시킨다. 특히 불새가 되었을때는 눈부실 정도로 밝고 강렬한 조명을 사용한다.
- 에일레스:파멸의 신이므로 특히 샤르휘와와 숙적 관계에 있는 처음 부분에는 얼굴의 한쪽 면만 비추워 음영을 살리고 암울한 분위기를 표시한다. 나중 샤르휘나에게 사랑을 느끼게 되면서 조명도 샤르휘나의 따듯한 분위기로 바뀌어 간다.
배우
- 샤르휘나의 역은 double casting으로 하여 어릴적의 샤르휘나와 성인이 된 샤르휘나의 배우를 따로 설정한다. 예전 <폭풍>이라는 뮤지컬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보여주었던 이 정화씨가 어른 샤르휘나의 역에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을 해 보았다. 어른 샤리는 쉬는시 간이 끝난 후 모험이 시작되는 3막에서부터 등장한다.
- 각 배역의 이미지에 부합하는 배우를 캐스팅 한다. 예를 들면 우리 조가 생각하는 에일 레스의 역에는 신성우씨가 적당할 듯 하다. 마누아 역에는 적당히 예쁘고 매력적이며 날 카롭고 이지적인 여배우가 어울릴 것 같다.
- 생략된 내용의 설명이나 아르미안의 설명, 딸들의 소개, 레 마누의 대관식 장면, 추상적 인 예시, 장로회의 출연, 글라우커스의 위기상황, 페르시아의 침입 등에서는 주연 배우 말고도 여러명의 노래와 춤이 동원되어야 할 것이다. 이 상황들이 연속적으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므로 주연 배우 말고 약 20명 가량의 군무를 위한 extra들을 동원해 분위기에 맞는 군무를 펼치며 분위기를 만들어가면 좋을 것 같다.
음향
1) 노래
- 인물 설명과 상황 설명 등을 여러명의 노래와 춤으로 표현한다. (ex. 네 딸에 대한 설명과 그들의 운명소개, 아르미안 소개 등의 부분)
- 각 개인의 상황에 따른 테마 등을 노래로 표현한다.
마누아 - 아르미안 통치에 대한 포부와 자신의 운명에 따를 것을 다짐하는 노래
샤르휘나 - 운명 개척의지를 표현하는 노래
에일레스와의 사랑을 확인하는 둘의 사랑의 테마(듀엣곡)
스와르다 - 자신의 비극적 상황을 절망하는 노래
미카엘 -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대한 슬픔과 샤르휘나를 향한 예찬의 노래.
장로회의 고지식하고 약간은 우스운 자기 과시의 노래
대관식에서의 축복송
2) 배경음악
- 각 장면에 알맞은 배경음악을 선택한다.
- 전체적으로는 신비스러우면서도 웅장한 분위기의 배경음악이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 상된다. 주로 classic 음악 중에서 선택할 것이다.
- 뮤지컬의 특성상 주로 배경음악 보다는 노래와 춤 등이 주가 될 것이라 예상되므로 비교적 배경음악의 비중을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된다.
3) 효과음
- 결투장면, 사신의 나라를 표시하기 위한 무시무시한 소리(비명소리, 땅이 울리는 소리 등), 꿈이나 예시를 암시하는 에코, 황량한 사막의 바람 소리, 말발굽 소리 등이 효과 음으로 사용되기 위해 필요하다.

1) 군무가 필요한 장면
- 이미 배우나 노래의 항목에서 언급했던 내용이다.
레 마누의 대관식 장면은 축복과 기대의 내용을 담은 춤을 설정
장로회는 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어서 약간 우스운 춤으로 설정
다중생명 글라우커스가 모래인형들과 싸우는 위기상황을 표현
페르시아의 침입(전쟁)은 현대 무용적인 요소를 담아 혼란스러움을 표현
2) 그 외의 장면
- 슬픈 운명을 맞대한 스와르다의 춤. 온몸으로 고뇌를 표현한다.
- 사신의 나라에서 샤르휘나가 사신과 싸우는 장면은 칼싸움 등으로 표현하면 어색할 수 있으므로 춤으로 바꾸어 표현하면 더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10.30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4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