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학의 창시와 전개
2. 천도교로서의 새로운 출발
3. 마지막으로
2. 천도교로서의 새로운 출발
3. 마지막으로
본문내용
동학의 근본이라고도 하였다. 또, 「내칙」에서 태교에 해당하는 사항들, 「내수도문」에서 부인이 가정에서 지켜야 할 것들을 말함으로서 여성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이러한 해월의 사상으로 인해 천도교 내에서 독립적인 여성운동 단체인 ‘천도교 내수단’이 생겨났고, 나아가 『부인』과 『신여성』같은 여성 잡지의 발간으로 이어져 여성운동에 박차를 가하게 만들었다
3. 마지막으로
동학은 유교의 생각을 이어받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인간을 대단히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의 욕심이나 욕정, 죄의식과 같은 부정적인 요소들은 왜, 그리고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대해 자세한 설명 또한 없으며, 기독교나 불교에서처럼 인간의 악의 실상을 진지하게 파악하고 그것을 극복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확연한 수양 방법이 보이지 않는다. 또, 인간이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삶의 궁극적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사람은 원기에서 성령으로 출세하여 죽으면 다시 그 원기로 돌아갈 뿐 죽은 뒤에 남을 것도 없고 또 태어나기 전에 존재하는 것도 없다는 식으로 그 내세관이 너무나도 간단하다.
해결해야할 의문점들을 뒤로 하더라도 오늘날의 천도교도 문제가 많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의 천도교는 전도에서 완전히 실패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의례에서도 성스러움과 종교성이 별로 보이지 않는다. 또, 주문 암송이야말로 천도교 고유의 방법으로 해야 하지만 서양식 가락이나 피아노에 맞춰 진행하고 있다는 것이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 또한 잘 운영하면 최상의 제도가 될 수 있는 무성직제가 아주 엉성한 제도로 전락하여 조직 자체가 너무 느슨하다는 느낌이다.
현대는 기계론적 세계관에 의존한 성장 제일주의의 산업 기계 문명에 휩싸여 생산 과잉과 소비 제일주의로 인해 환경 생태계 파괴가 심각하다. 이런 때야말로 수운의 공동체 의식과 해월의 생명 사상을 돌아봐야 할 때이다. 해월은 천지를 부모로 보았기 때문에 땅에 대한 소중함에서 나아가 생명 존중 사상까지 확장시켰으며 수운은 외유기화를 통해 너와 나 모두가 같은 한울님을 모시고 있다는 공동체 의식으로도 확장 가능한 주장을 설파하였다.
동학의 이러한 높은 가르침은 세계 종교로도 뻗어갈 수 있다. 천도교의 체계를 정립하고 옛 수운과 해월의 사상을 다시금 되새겨 오늘날의 천도교의 문제도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해월이 말했던 것처럼 개벽은 어디 먼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지금 이 순간에 이루어져야 한다.
3. 마지막으로
동학은 유교의 생각을 이어받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인간을 대단히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의 욕심이나 욕정, 죄의식과 같은 부정적인 요소들은 왜, 그리고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대해 자세한 설명 또한 없으며, 기독교나 불교에서처럼 인간의 악의 실상을 진지하게 파악하고 그것을 극복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확연한 수양 방법이 보이지 않는다. 또, 인간이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삶의 궁극적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사람은 원기에서 성령으로 출세하여 죽으면 다시 그 원기로 돌아갈 뿐 죽은 뒤에 남을 것도 없고 또 태어나기 전에 존재하는 것도 없다는 식으로 그 내세관이 너무나도 간단하다.
해결해야할 의문점들을 뒤로 하더라도 오늘날의 천도교도 문제가 많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의 천도교는 전도에서 완전히 실패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의례에서도 성스러움과 종교성이 별로 보이지 않는다. 또, 주문 암송이야말로 천도교 고유의 방법으로 해야 하지만 서양식 가락이나 피아노에 맞춰 진행하고 있다는 것이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 또한 잘 운영하면 최상의 제도가 될 수 있는 무성직제가 아주 엉성한 제도로 전락하여 조직 자체가 너무 느슨하다는 느낌이다.
현대는 기계론적 세계관에 의존한 성장 제일주의의 산업 기계 문명에 휩싸여 생산 과잉과 소비 제일주의로 인해 환경 생태계 파괴가 심각하다. 이런 때야말로 수운의 공동체 의식과 해월의 생명 사상을 돌아봐야 할 때이다. 해월은 천지를 부모로 보았기 때문에 땅에 대한 소중함에서 나아가 생명 존중 사상까지 확장시켰으며 수운은 외유기화를 통해 너와 나 모두가 같은 한울님을 모시고 있다는 공동체 의식으로도 확장 가능한 주장을 설파하였다.
동학의 이러한 높은 가르침은 세계 종교로도 뻗어갈 수 있다. 천도교의 체계를 정립하고 옛 수운과 해월의 사상을 다시금 되새겨 오늘날의 천도교의 문제도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해월이 말했던 것처럼 개벽은 어디 먼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지금 이 순간에 이루어져야 한다.
추천자료
동학(東學) 천도교(天道敎)의 사상에 대한 이해
동학사상 서평(동학의 정치사상-천도교천우당을 중심)
[천도교][동학]천도교(동학)의 의의, 천도교(동학)의 성심신설, 천도교(동학)의 神(신)개념, ...
[천도교][동학]천도교(동학)의 창조성, 천도교(동학)의 역사, 천도교(동학)의 불택선악, 천도...
[천도교][동학]천도교(동학)의 본질, 천도교(동학)의 불이설, 천도교(동학)의 무극대도, 천도...
동학(천도교)의 유래, 효시, 기본교리, 수운과 그의 제자 해월, 유교, 성리학, 동학과 사회문...
동학(천도교)의 역사, 창시, 전개, 기본적 교리, 틀, 수운과 그의 제자 해월, 유교, 성리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