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신부전과 신장이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는 영양가가 많고 식욕을 돋구는 음식이 필요하며 환자가 좋아하는 음식으로 식단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신이식 후 약제의 사용으로 고지혈증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고지혈증을 예방하고 체중조절, 수분저류 방지, 혈압 조절을 목적으로 식사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1) 단백질
수술 후 회복과 신부전시 소실된 근육을 다시 생성하기 위해 단백질의 보충이 중요하다. 신장기능이 정상인 이상 단백질은 제한하지 않고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를 권장한다. (우유, 계란,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생선, 치즈, 요구르트 등)
2) 탄수화물
고지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총열량의 50~55%가 탄수화물에서 되도록 하지만 설탕, 꿀 등의 단순당질은 피하는 것이 좋다.
3) 지방
총 지방 섭취량은 총열량의 30% 정도로 제한한다. 가능하면 저지방 우유나 저지방 치즈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
4) 염분
신부전이나 투석 때 보다는 염분제한 없이 섭취하도록 하지만 혈압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주의하여야 한다. 고혈압 환자는 염분의 섭취가 증가하면 혈압이 오르게 되므로 통조림이나 가공식품보다는 자연식품이 권장된다.
5) 섬유소
혈중 지질을 낮추고 내당능을 좋게 해주며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양을 섭취하도록 한다. 섬유소는 신선한 야채, 과일, 잡곡, 콩류, 해조류에 많다.
6) 포타슘 및 칼슘
환자 각각에 따라 개별화되어야 한다. 포타슘은 보통 제한하지 않으며 칼슘은 이식 후 사용하는 약제에 의해 보충이 필요할 수도 있다.
7) 기타
이식 후 한달 정도는 면역능력이 떨어져 있으므로 익힌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9.03
  • 저작시기201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60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