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의 민족개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승만의 민족개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독립정신」을 통해 본 이승만의 민족개념

3. 정부수립 이후 이승만의 민족개념 형성 과정
-‘일민주의’사상을 중심으로

4. 이승만의 민족개념 형성의 역사적 의의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내적 동력으로 쌓아 올라가게 하는‘민족적’성격의 강화를 의미하는 것이고, 그것은 다른 부문에서도 진지하게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서중석, <<근대국민국가와 민족문제>>, <한국에서의 민족문제와 국가> - 부르주아층 또는 지배층을 중심으로
이 글에서는 이승만 정권의 반일운동에 대해서는 논하지 못했다. 이승만의 민족개념 형성에 초점을 두어 서술하다보니, 그 외의 다른 정책 분야에 소홀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당인 자유당 간부, 행정부 장차관 및 관료에 친일파가 많고 이승만 권력의 지주(支柱)인 경찰 간부가 대부분 친일파여서 친일파정권으로 비판받은 이승만정권이, 더군다나 미국의 의사에 반하여 맹렬히 반일운동을 편 것은 해명하기 쉽지 않은 숙제이다. 서중석(2005), 『이승만의 정치이데올로기』「이승만의 반일운동과 한일 양국인의 연대」, 역사비평사, p.422
때문에 이승만의 민족개념 형성과 더불어 민족의식 확산에 따른 정책면에서 유심히 따져봐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승만의 일민주의는 한국전쟁 이후 그 모습을 감추게 되는데, 이 부분 또한 진지한 연구 대상이다. 한국전쟁 결과 남한 사회에서 이승만의 정치적 입지는 더욱 확고해진다. 이승만의 정치적 상황은 일민주의 사상의 형성에서부터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었는데, 한국전쟁 이후 반공을 더욱 강화한다는 점이 그 실마리를 제공할 것인지, 아니면 또 다른 형태의 민족개념으로 이어지는지 좀 더 연구되어져야 할 부분이라 생각한다.
5. 결론
해방은 한국 민족주의가 구현될 수 있는 상황을 마련해 주었다. 해방은 민주민족적 혁명으로 모든 것을 새롭게 하여 민족주의를 기반으로 한 근대화 된 국가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서중석(1989),『한국근현대의 민족문제연구』, 지식산업사, p.227
해방 직후 한국의 현실은 냉전이데올로기로 점철된 국제상황과 깊이 관련되면서 민족공동체를 토대로 한 국가건설은 위기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통일 민족 형성은 불가능해졌지만, 근대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은 서구의 어느 나라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다. 그 가운데 혈연적 단군 민족주의반일민족주의 등 민중 속에 남아있는 사상들을 끄집어내어 국가 형성과 민족 개념 창출의 성과를 이뤄낼 수 있었다.
공화정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근대 국민국가가 탄생되기 시작한 광복 이후 상황은 한국민족주의 형성에 매우 중요한 시점이었다. 이승만의 민족개념 또한 근대 국민국가의 출발과 그 궤를 같이 한다는 점에서 더욱 연구되어져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통일한국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도 중요한 문제이다. 분단이 고착화되기 이전 한국사회에서 거론된 이승만의 민족개념은 새로운 통일한국을 향한 우리들에게도 시사점을 주는 내용이다. 국가형성기에 요구된 민족개념이 있었듯이, 통일한국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민족개념 역시 자리 잡아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통일한국의 통합논리로서의 민족주의의 효용성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남북한에서 지금까지 다양하게 제시되어 온 모델중심이 아닌 우리 나름의 새롭고 포괄적인 민족주의 이념체계의 기본 설정과 실천 방향성이 제시되어야만 한다. 김동성(1995),『한국민족주의 연구』, 오름, p.271
민족주의 이념에 대한 수많은 논란 속에서도 세계의 역사는 민족을 강조하고 보호하는 방향으로 자국의 역사가 전개되어져 왔다. 현재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정세와 세계화에 직면하여 우리들에게 강력히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 할 때이고, 그 방향성의 중심에는 통일한국의 모습이 그려져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1차 문헌
이승만(1904), 『독립정신』, 대동신서판
이승만(1949), 『일민주의 개술』, 일민주의출판회
안호상(1950), 『일민주의 본바탕』, 일민주의연구원
대한민국국회공보처(1953), 『대통령이승만박사담화집』2
이승만 저, 박마리아 역(1954), 『일본내막기』, 자유당선전부
『조선일보』
2차 문헌
(단행본)
송건호, 강만길(1982),『한국민족주의론』, 창작과 비평사
노중선 편(1985),『민족과 통일』1 -자료편-, 사계절
어네스트 겔러(1988),『민족과 민족주의』, 예하
장을병(1988),『인물로 본 한국 민족주의』, 범우사
서중석(1989),『한국근현대의 민족문제연구』, 지식산업사
______(1991),『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
역사비평사
홉스봄 저, 강명세 역(1994),『1780년 이후의 민족과 민족주의』, 창작과 비평사
김동성(1995),『한국민족주의 연구』, 오름
이현희(1995),『이야기 이승만』, 신원문화사
한국사연구회(1995),『근대 국민국가와 민족문제』, 지식산업사
서중석(1996),『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2 -1948~1950 민주주의민족주의
그리고 반공주의-, 역사비평사
김혜승(1997),『한국민족주의』, 비봉출판사
안쏘니 D. 스미스 저, 이재석 역(1997),『세계화 시대의 민족과 민족주의』, 남지
베네딕트 앤더슨 저, 윤형숙 역(2002),『상상의 공동체』, 나남
서중석(2005), 『이승만의 정치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논문)
유철종(1974),「한국민족주의와 재외국민문제』, 극동논총
박헌옥(1994),「분단국 통일이 한민족 내적통합에 주는 교훈』, 북한학보
서중석(1997),「이승만정부 초기의 일민주의」, 진단학보
_____,(2000) 「이승만대통령의 반일운동과 한국민족주의」, 인문과학
백운선(2000),「이승만 통치의 유산』, 근현대사 강좌
이관후(2002),「국가형성기의 한국 민족주의」:한국 전쟁과 통치 이념의 변화-일민주의에서 반공주의로, 서강대학교 정치학 석사 논문
대전고자(2003),「한국 내셔널리즘에 대한 고찰』-내셔널리즘 이론에서 본 한국 민족주의-, 한일민족문제연구
김혜승(2004),「세계화와 한국 민족주의』, 한국정치외교사논총
김혜승(2005),「세계화시대 동아시아 공동체론과 한국민족주의』, 동양정치사상사
<<참조>>
일 민 주 의
한 핏줄(同一血統)
한 운명(同一運命)
남녀상하
차별없기
지방파당
차별없기
빈부귀천
차별없기
균일정치
(민주정치)
동일교육
(민족교육)
통일경제
(민생경제)
자 유
自 由
진 리
眞 理
공 정
公 正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9.17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77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