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원주 생활협동조합 운동)
본론(다각도에서 본 원주 협동조합운동)
(1)시장자본주의적 관점(신자유주의적 관점)
(2)자율주의적 관점(마이클 하트와 네그리)
(3)공상적 사회주의적 관점(푸리에, 생시몽, 오웬)
(4)과학적 사회주의적 관점(마르크스, 엥겔스)
(5)마오주의적 관점
(6)그람시의 관점
(7)맑스-레닌주의적 관점
(8)일본 협동조합운동의 관점(요코다 카쓰미의 생활클럽 생협을 중심으로)
결론(자본주의의 대안 운동으로서의 원주 협동조합운동)
p.s)
본론(다각도에서 본 원주 협동조합운동)
(1)시장자본주의적 관점(신자유주의적 관점)
(2)자율주의적 관점(마이클 하트와 네그리)
(3)공상적 사회주의적 관점(푸리에, 생시몽, 오웬)
(4)과학적 사회주의적 관점(마르크스, 엥겔스)
(5)마오주의적 관점
(6)그람시의 관점
(7)맑스-레닌주의적 관점
(8)일본 협동조합운동의 관점(요코다 카쓰미의 생활클럽 생협을 중심으로)
결론(자본주의의 대안 운동으로서의 원주 협동조합운동)
p.s)
본문내용
통해서 입증되었다. 일련의 시위들은 대중적인 반자본주의 정서를 대변하고 있었다. 또한 라틴아메리카에서 이뤄지고 있는 차베스로 대표되는 좌파바람과 이라크에서 벌어지고 있는 점령에 맞선 국제적 저항은 몰락한 ‘현실사회주의’를 대안으로 삼지 않는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알렉스 캘리니코스, ‘반자본주의 선언’, 책갈피,
날이 갈수록 심해지는 환경오염, 자본주의적 성장전략인 성점거점전략의 폐해로 인한 지역 불균형, ‘비교열위’로 내몰려 쓰러져 가는 농업문제 그리고 이러한 것들의 결과로 나타나는 민중들의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은 ‘생태주의’나 ‘지역주의’를 넘어 앞서 제시한 국제적 흐름들과의 상호관련 속에서 분석가능하며 대안 또한 그 속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 같은 전지구적 차원에서 벌어지고 있는 심각한 환경오염이나 다국적 기업의 등장과 그로인한 다국적 기업들의 국경을 초월한 착취와 환경파괴에 맞서 국제적 저항이 전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환경오염, 착취의 극대화, 빈곤, 부패 등 자본주의의 모든 병폐를 더욱 심화시키며 자본주의적 경쟁이 몰고 올 수 있는 가장 끔찍한 형태 그 자체인 전쟁과 점령에 맞서 전세계적 차원에서 반전운동이 전개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
원주의 협동조합운동이 한미 FTA반대 운동이나 반전운동과 같은 전세계적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는 반자본주의적 저항운동과 연계하고 있다는 사실은 원주의 협동조합운동이 푸리에나 오웬의 공상적 사회주의나 협소한 조합주의를 넘어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협동조합운동이 좀 더 강력한 사회 변혁의 주체 세력인 노동자계급과의 연대 및 노동자중심성에 대해 신중하게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은 지금의 원주의 협동조합운동의 한계이며 극복 과제라는 생각이 든다.
p.s)
사회주의 운동과 생태주의적 지역 공동체운동에 대한 연관성 찾기가 출발점이었는데, 참고 논문들도 그렇고 원주와 생태주의에 관한 내용이 그닥 많지 않아서 쓰다 보니 사회주의 운동과 원주의 협동조합운동의 관련성 및 협동조합운동에 대한 평가가 주제가 되어 버렸습니다.
농촌 지역운동에서 출발해 농촌의 생산자와 도시의 소비자를 연결시키며 발전하고 있는 협동조합운동이 맑스와 레닌이 풀지 못한 숙제인 농민과 사회변혁의 문제에 대한 대안적 해결책을 제시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보며 레포트를 마칩니다.
날이 갈수록 심해지는 환경오염, 자본주의적 성장전략인 성점거점전략의 폐해로 인한 지역 불균형, ‘비교열위’로 내몰려 쓰러져 가는 농업문제 그리고 이러한 것들의 결과로 나타나는 민중들의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은 ‘생태주의’나 ‘지역주의’를 넘어 앞서 제시한 국제적 흐름들과의 상호관련 속에서 분석가능하며 대안 또한 그 속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 같은 전지구적 차원에서 벌어지고 있는 심각한 환경오염이나 다국적 기업의 등장과 그로인한 다국적 기업들의 국경을 초월한 착취와 환경파괴에 맞서 국제적 저항이 전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환경오염, 착취의 극대화, 빈곤, 부패 등 자본주의의 모든 병폐를 더욱 심화시키며 자본주의적 경쟁이 몰고 올 수 있는 가장 끔찍한 형태 그 자체인 전쟁과 점령에 맞서 전세계적 차원에서 반전운동이 전개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
원주의 협동조합운동이 한미 FTA반대 운동이나 반전운동과 같은 전세계적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는 반자본주의적 저항운동과 연계하고 있다는 사실은 원주의 협동조합운동이 푸리에나 오웬의 공상적 사회주의나 협소한 조합주의를 넘어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협동조합운동이 좀 더 강력한 사회 변혁의 주체 세력인 노동자계급과의 연대 및 노동자중심성에 대해 신중하게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은 지금의 원주의 협동조합운동의 한계이며 극복 과제라는 생각이 든다.
p.s)
사회주의 운동과 생태주의적 지역 공동체운동에 대한 연관성 찾기가 출발점이었는데, 참고 논문들도 그렇고 원주와 생태주의에 관한 내용이 그닥 많지 않아서 쓰다 보니 사회주의 운동과 원주의 협동조합운동의 관련성 및 협동조합운동에 대한 평가가 주제가 되어 버렸습니다.
농촌 지역운동에서 출발해 농촌의 생산자와 도시의 소비자를 연결시키며 발전하고 있는 협동조합운동이 맑스와 레닌이 풀지 못한 숙제인 농민과 사회변혁의 문제에 대한 대안적 해결책을 제시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보며 레포트를 마칩니다.
추천자료
마케팅 관리론 - 임실 치즈피자
현행 외국인 근로자 고용제도 과연 바람직한가?
산업복지에 관한 조사
사회복지동기 가치 이념
새마을 금고의 조직도
농촌 새마을운동의 발전과 지역가꾸기사례 및 새마을운동의 접목방안
산업복지의 변천과정
행사계획서(걷기대회)
지역복지운동의 흐름과 전망
★한국, 미국, 영국 사회복지의 역사★
농협, 우리은행 서비스 품질 보고서 (SERVQUAL)
[새마을금고] 새마을금고의 지역사회개발 참여의 필요성과 참여사업 및 발전방안
지역사회공동체의 변화- 전통적 지역사회공동체(해방 이전과 해방 이후의 지역사회공동체) 및...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새마을금고 조직역량 극대화 및 경영전략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