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생활교육로_완성본ㅎㅎㅎ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실시대상
Ⅱ. 프로그램 개발배경
Ⅲ. 이론적 고찰
Ⅳ. 기대 효과 및 측정도구
Ⅴ. 프로그램 상위목표 및 하위 목표
Ⅵ. 구성안
Ⅶ. 각 회기별 구성
Ⅷ. 실행 시 주의할 점
Ⅸ. 평가지
Ⅹ.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12. 나는 비교적 남보다 행복한 편이다.




13. 나의 생활은 뒤죽박죽이다.




14. 대체로 다른 사람들이 내 생각을 따라주는 편 이다.




15. 나 자신에 대해 별로 내세울 것이 없다.




16. 나는 집을 나가 버리고 싶은 생각이 자주 든다.




17. 종종 내가 하는 일이 뜻대로 되지 않는다.




18. 나는 외모가 그리 멋진 편이 못된다.




19. 나는 할 말이 있을 때 대체로 그 말을 하는 편 이다.




20. 우리 가족들이 나를 잘 이해하고 있다.




21. 다른 사람들에 비해서 나는 별로 사랑받지 못 한다.




22. 어떤 때는 가족들이 나를 미워하는 것 같다.




23. 내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실망을 느낄 때가 많다.




24. 나는 모든 것이 그다지 어렵게 생각되지는 않는다.




25. 나는 다른 사람이 나에게 의지해도 될 만큼 강 하지 못하다.




5회기 < 사후검사 - 삶의 만족 척도>
일상생활에 대한 만족도
1.삶에 대한 느낌
우리는 당신이 지난 몇 달 동안 당신의 삶에 대해서 어떻게 느끼셨는지 알고자 합니다. 아래 문항에는 당신의 삶을 나타내는 낱말이 짝지어져 있습니다. 당신이 느꼈던 삶을 보기와 같이 그 낱말의 어떤 위치에 표시해 주십시오.
(보기) 만일 당신의 삶이 아주 기뻤다면
기쁜 1 2 3 4 5 6 7 슬픈
당신의 삶이 기쁘지도 슬프지도 않았다면
기쁜 1 2 3 4 5 6 7 슬픈
당신의 삶이 아주 슬펐다면
기쁜 1 2 3 4 5 6 7 슬픈
당신은 지난 몇 달 동안 어떻게 느끼셨습니까?
(1)재미있는 1 2 3 4 5 6 7 지루한
(2)즐거운 1 2 3 4 5 6 7 비참한
(3)가치 있는 1 2 3 4 5 6 7 쓸모 없는
(4)우호적인 1 2 3 4 5 6 7 외로운
(5)가득찬 1 2 3 4 5 6 7 텅빈
(6)희망적인 1 2 3 4 5 6 7 비관적인
(7)보람있는 1 2 3 4 5 6 7 실망스러운
(8)행운이 따르는1 2 3 4 5 6 7 운이 없는
2.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모든 점을 고려해 볼때, 당신은 자신의 생활에 어느 정도 만족 하십니까?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총괄평가지
1. 프로그램을 통하여 목표달성이 도달되었는가?
⑴ 매우 그렇다 ⑵ 그렇다 ⑶ 보통이다 ⑷ 조금 그렇다 ⑸ 그렇지 않다
2. 프로그램의 회기마다 활동 내용이 목적과 부합하였는가?
⑴ 매우 그렇다 ⑵ 그렇다 ⑶ 보통이다 ⑷ 조금 그렇다 ⑸ 그렇지 않다
3. 프로그램 활동내용은 충분하였는가?
⑴ 매우 그렇다 ⑵ 그렇다 ⑶ 보통이다 ⑷ 조금 그렇다 ⑸ 그렇지 않다
4. 회기마다 지루하게 느껴지진 않았는가?
⑴ 매우 그렇다 ⑵ 그렇다 ⑶ 보통이다 ⑷ 조금 그렇다 ⑸ 그렇지 않다
5. 프로그램의 진행자는 역할을 잘 수행하였는가?
⑴ 매우 그렇다 ⑵ 그렇다 ⑶ 보통이다 ⑷ 조금 그렇다 ⑸ 그렇지 않다
6. 프로그램이 자신에게 전반적으로 도움이 되었는가?
⑴ 매우 그렇다 ⑵ 그렇다 ⑶ 보통이다 ⑷ 조금 그렇다 ⑸ 그렇지 않다
7. 프로그램을 마친 후 자신에게 변화가 느껴지는가?
⑴ 매우 그렇다 ⑵ 그렇다 ⑶ 보통이다 ⑷ 조금 그렇다 ⑸ 그렇지 않다
8. 프로그램을 마친 후에도 개선된 방안이 현실에 적용 가능하겠는가?
⑴ 매우 그렇다 ⑵ 그렇다 ⑶ 보통이다 ⑷ 조금 그렇다 ⑸ 그렇지 않다
9. 프로그램을 통해서 나에게 가장 크게 나타난 변화는 무엇인가?
10. 프로그램 내용에서 전체적으로 아쉬웠던 점은 무엇인가?
▶ 프로그램평가
우리 조에서는 프로그램 시행을 했다는 가정 하에 프로그램 평가를 해보았다. ‘독거노인을 위한 프로그램’은 혼자 살고 있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혼자 살고 있거나 갑자기 혼자가 된 노인들이 겪어 오던 여러 가지 어려움에 대해 적응하고 또 다른 문제들에 대하여 예방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프로그램화 시켜서 진행한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혼자라는 환경에 대한 이해증진과 자존감 향상, 외로움 감소, 타인과의 교류 활발, 위기대처능력 향상, 삶의 의욕 증가의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다주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효과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독거노인들에게 자아탐색하기와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자존감 기르기, 구성원간의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여 외로움 감소시키기, 삶에 적응하고 위기에 극복하기, 삶의 의욕 향상시키기를 지루하지 않고 호기심을 가지도록 하여 혼자라고 생각되어져 왔었던 삶 속에서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회 적응기술과 문제해결기술 등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왔기 때문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독거노인이 궁극적으로 노년기가 안정적이고 적응된 노후생활을 오래 지속할 수 있도록 하게 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독거노인은 해마다 증가치에 기록을 갱신하고 있고, 앞으로도 점점 더 증가해 갈 것이라는 전망을 보이는 가운데 독거노인에 대한 프로그램 자체를 실시하고 있는 기관이 적고 프로그램도 다양하지 않을뿐더러 그나마도 노인들이 접근하기가 용이하지 못해 활성화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독거노인과의 연계에 있어 근본적인 이해와 수용에 근거한, 노년기의 의미와 삶의 회고 등을 통한 자아 정체성 찾기와 삶의 의욕 향상에 기반한 과업에 대한 의미를 강조하고 현실적으로 독거노인들이 직접적으로 필요하다는 욕구를 반영해 독거노인 프로그램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했다.
▶프로그램 시 주의사항
-독거노인 같은 경우 외로움 고독감등 혼자 있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혼자 두게 하지 않는다.
-어려운 용어가 나오는 경우 풀어서 설명을 해 준다.
-피피티나 교육자료 같은 경우에는 노인들께서 글씨가 안 보이시기
때문에 크게 작성한다.
Ⅹ.참고문헌
이기숙 (2010)/ 가족 생활 교육론 / 신정
노인 심리 척도집 (2005) / 한국노인상담연구소 / 학지사
김동기, 김은미(2010) / 사회적응의 노인심리 / 학지사
이가옥(2004) / 노인 집단 프로그램 개발 / 나눔의 집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48페이지
  • 등록일2012.09.25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87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