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험적 자아의 환상을 무참히 깨부순다. 융은 의식적 주체와 무의식적 주체의 이중적 존재로서의 자아라는 개념을 통해 주체 문제를 포기하지 않았지만, 이 역시 의식적 주체라는 근대 철학의 기반과는 양립 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제 투명하고 자명한 의식의 소유자로서 나에 기초한 근대철학은 설 땅이 없어지고 말았다. 그러나 근대철학적 기반이 붕괴하고 근대철학의 주체란 미신이었음이 밝혀진 후, 인간 주체성의 문제는 난관에 봉착하게 되는데, 융의 의식적 주체와 무의식적 주체의 이중적 존재로서의 자아라는 주체문제 해결방식은 비록 신비주의적이고 작위적이기는 하나 근대철학의 주체론을 뛰어넘는 인간 주체성 문제에 대한 새로운 도전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또한 프로이트의 연구가 개별적 인간을 통해서 형성되고 나타나는 개인적 무의식에 그쳤던 반면, 융의 연구는 무의식의 영역을 더욱 넓혀 역사적이고 전인류적인 흐름에 까지 확장하였다. 집단 무의식이라는 개념을 통해 우리가 미처 의식적으로 알지 못했던 인류사의 내면적 흐름, 반복되는 역사에 대해 접근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무의식에 대한 연구, 인간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프로이트와 융을 통해 만개하기 시작한 것이다.
또한 프로이트의 연구가 개별적 인간을 통해서 형성되고 나타나는 개인적 무의식에 그쳤던 반면, 융의 연구는 무의식의 영역을 더욱 넓혀 역사적이고 전인류적인 흐름에 까지 확장하였다. 집단 무의식이라는 개념을 통해 우리가 미처 의식적으로 알지 못했던 인류사의 내면적 흐름, 반복되는 역사에 대해 접근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무의식에 대한 연구, 인간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프로이트와 융을 통해 만개하기 시작한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심리학-칼 구스타프 융(생애,발달이론,평가,Carl Gustav Jung, 1875-1961)
칼 구스타프 융의 생애와 사상
심리학자 융에 대해서
칼 융 (Carl Jung)의 ‘동시성(Synchronicity)’과 ‘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
구스타프 칼 융(Carl Gustav Jung)의 분석심리학 (analytical psychology), 분석심리이론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에릭슨,융)
융의 분석심리학적 성격이론 [칼 구스타프 융]
분석심리학자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에 대한 분석 (생애, 업적, 이론, 평가)
꿈과 무의식, 해몽 (꿈 해몽과 정신분석, 시카고의 연구, 프로이드, 아들러의 꿈의 해석, 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