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꿈 해몽과 정신분석
2. 꿈 해몽
3. 시카고의 연구
4. 프로이드
5. 아들러의 꿈의 해석
6. 칼 융
7. 해몽가들의 견해
8. 안구활동 - REM 의 발견
9. 잘 기억되는 꿈, 잘 기억되지 않는 꿈
10. 꿈과 기억
2. 꿈 해몽
3. 시카고의 연구
4. 프로이드
5. 아들러의 꿈의 해석
6. 칼 융
7. 해몽가들의 견해
8. 안구활동 - REM 의 발견
9. 잘 기억되는 꿈, 잘 기억되지 않는 꿈
10. 꿈과 기억
본문내용
1.꿈 해몽과
≪ 그 래 프 ≫
옛 사람들은 꿈을 초현실적 존재로 생각했다. 현재 자신이 살고 있는 현실 세계는 잠시일 뿐 결국 자신의 혼령은 육신을 떠나 모든 조상, 먼저 떠나 머물고 있는 부모, 형제, 친구들이 있는 곳으로 가게 되는데 꿈은 이런 세계를 알려주는 매개물이라 생각했다. 각성되어 있는 낮에는 혼령이 자기 육체에 머물러 있지만 수면하고 있는 밤에는 자기 몸뚱이를 남기고 다시 혼령의 세계로 가서 신기한 것들을 보며 지내고 있음을 매일 밤 경험하므로 이런 사실을 의심하는 이는 없었다. 그래서 깨어있을 때는 매일 밤 자기 혼령이 영의 세계에서 머무는 동안 고통이나 어려움을 당하지 않게 여러 대책을 마련했다. 특히 혼령이 노하면 병을 주거나 손, 발등을 크게 다치게 하는 벌을 주기도 하므로 이런 재앙을 피하기 위해서도 혼령을 위로할 각양각색의 방법을 찾으려 했다. 그래서 혼령이 즐겨 한다고 생각되는 짐승을 제물로 바치고 밤새 춤을 추거나 북, 나무를 두드리며 소리, 음악을 내어 혼령을 위로코자 한 것이다. 혹 대형 사고라도 나면 이런 때는 자기보다 더 영험이 있다고 믿는 이를 모셔와 그를 통해 혼령의 노여움을 풀고자 했고 더 나아가 자기에게 행운까지 내려주기를 빌기도 했다.
당시는 영농기술을 알지 못해 수렵생활을 해야 배고픔을 면할 수 있었으므로 밤이면 모닥불을 피우고 그 주위를 돌며 내일 사냥에는 보다 많은 짐승들을 잡게 해달라고 비는 의식을 수시로 갖기도 했다.
≪ … 중 략 … ≫
3. 시카고의 연구
1953년 시카고 의과대학의 한 대학원생이 유아의 수면상태를 연구하다 잠자는 어린 아이의 눈이 이따금씩 반복적인 움직임(Rem 수면)을 발견한 이후, 꿈에 대한 이해가 달라졌다. 안구의 작동과 꿈이 서로 깊이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져 이후로 꿈에 관한 과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사람뿐 아니라 쥐, 개, 고양이, 양, 돼지도 꿈을 꾼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즉, 꿈은 잠자는 동안 방출되는 두뇌 뇌파의 변화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 그 래 프 ≫
옛 사람들은 꿈을 초현실적 존재로 생각했다. 현재 자신이 살고 있는 현실 세계는 잠시일 뿐 결국 자신의 혼령은 육신을 떠나 모든 조상, 먼저 떠나 머물고 있는 부모, 형제, 친구들이 있는 곳으로 가게 되는데 꿈은 이런 세계를 알려주는 매개물이라 생각했다. 각성되어 있는 낮에는 혼령이 자기 육체에 머물러 있지만 수면하고 있는 밤에는 자기 몸뚱이를 남기고 다시 혼령의 세계로 가서 신기한 것들을 보며 지내고 있음을 매일 밤 경험하므로 이런 사실을 의심하는 이는 없었다. 그래서 깨어있을 때는 매일 밤 자기 혼령이 영의 세계에서 머무는 동안 고통이나 어려움을 당하지 않게 여러 대책을 마련했다. 특히 혼령이 노하면 병을 주거나 손, 발등을 크게 다치게 하는 벌을 주기도 하므로 이런 재앙을 피하기 위해서도 혼령을 위로할 각양각색의 방법을 찾으려 했다. 그래서 혼령이 즐겨 한다고 생각되는 짐승을 제물로 바치고 밤새 춤을 추거나 북, 나무를 두드리며 소리, 음악을 내어 혼령을 위로코자 한 것이다. 혹 대형 사고라도 나면 이런 때는 자기보다 더 영험이 있다고 믿는 이를 모셔와 그를 통해 혼령의 노여움을 풀고자 했고 더 나아가 자기에게 행운까지 내려주기를 빌기도 했다.
당시는 영농기술을 알지 못해 수렵생활을 해야 배고픔을 면할 수 있었으므로 밤이면 모닥불을 피우고 그 주위를 돌며 내일 사냥에는 보다 많은 짐승들을 잡게 해달라고 비는 의식을 수시로 갖기도 했다.
≪ … 중 략 … ≫
3. 시카고의 연구
1953년 시카고 의과대학의 한 대학원생이 유아의 수면상태를 연구하다 잠자는 어린 아이의 눈이 이따금씩 반복적인 움직임(Rem 수면)을 발견한 이후, 꿈에 대한 이해가 달라졌다. 안구의 작동과 꿈이 서로 깊이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져 이후로 꿈에 관한 과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사람뿐 아니라 쥐, 개, 고양이, 양, 돼지도 꿈을 꾼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즉, 꿈은 잠자는 동안 방출되는 두뇌 뇌파의 변화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추천자료
피아제, 에릭슨, 프로이드 이론의 설명과 비교
성격이론가-로저스 옹호// 융 비판
[심리학] 프로이드의 방어기제 이론
[정신분석]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한 이해
융, 호랑이 탄 한국인과 놀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프로이드와 에릭슨에 관해서
[★★추천레포트★★][상담심리 Freud]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치료의 개요, 역사, 이론, 치료기법, ...
교과교재 활용안(교구 계획안)- 퍼즐(조작활동자료), 융판자료(색지, 펠트지), 한지판(봄날의...
교과교재 활용안(교구 계획안)- 게임판(만4세)교구명(나뭇잎 모으기), 융판자료(만3세)교구명...
인간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의 개념과 전반적 특징을 설명하고 융의 성...
인간행동의 발달이론 중 프로이드와 융의 인간관, 의식과 무의식, 성격발달에 대한 관점을 ...
인간행동의 발달이론 중 프로이드와 융의 인간관, 의식과 무의식, 성격발달에 대한 관점을 비...
2016년 2학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중간시험과제물 A형(융 이론의 주요 개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