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실험 목적
2.실험 원리
3.실험 결과 및 고찰
1. 종이컵+시료 난백의 무게 및 난백의 비중 측정 값
2.처리 구에 따른 난백의 거품 액상이 떨어지는 ml양
요약
참고문헌
1.실험 목적
2.실험 원리
3.실험 결과 및 고찰
1. 종이컵+시료 난백의 무게 및 난백의 비중 측정 값
2.처리 구에 따른 난백의 거품 액상이 떨어지는 ml양
요약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중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ucrose는 거품이 생성되는 속도가 느리나 거품이 형성이 되면 잘 깨지지 않는 성질이 있다.
cream of tartar를 첨가한 B의 처리구의 경우에는 난백의 pH가 저하되어 난백단백질의 등전점에 가까워져 난백의 표면장력과 점도가 저하되어 단백질의 농도가 떨어지게 된다.
반면 NaCl은 세 개의 처리 구 중 액상의 양이 가장 많이 나온 첨가제이다. 소금을 첨가하면 표면변성을 촉진시켜 기포형성의 도가 지나치기 쉽고 거품의 안정성이 나빠지게 된다. NaCl은 난백의 안정한 기포를 형성하는 것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Nacl은 거품이 잘 생성되지만 거품이 단단하지 않아 시간이 지나면서 거품이 꺼진다. 그렇기 때문에 액상이 다른 처리 구에 비해 많이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안정성이 세 개의 처리 구 중 가장 떨어진다고 볼 수 있겠다. 거품에 액상이 많이 나왔다는 것은 거품이 점점 파괴되어 거칠어진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만약 sucrose를 넣은 거품을 오래동안 휘젓게 되면 공기에 의해 부피는 증가되지만 최대 부피에 도달의 이상으로 넘어가게 되면 거품의 부피가 감소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충분 량 휘젓게 되면 단단하고 안정성이 큰 sucrose를 만들 수 있다.
우리조의 거품 액상은 생각보다 덜 나왔다. 아마도 핸드믹서로 난백을 휘저을 때 짧은 시간 내에 만들었기 때문일 거라 예상한다. 또한, 거품을 깔때기에서 넣을 때 거품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 툭 털어서 넣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한다.
이로써 난백의 비중과 안정성을 알아보았다. 우리가 설탕을 넣어 크림을 만드는 것이 단맛을 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안정성이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요약
1.
2. 거품은 물보다 비중이 낮다.
3. 시간의 경과에 따라 sucrose>cream of tartar>NaCl>대조구 순으로 안정화가 크다.
4. sucrose는 단단하고 탄력있는 거품을 형성한다.
5. 대조구를 제외한 처리구에서는 sucrose를 첨가한 B가 가장 안정성이 높고, NaCl를 첨가한 D 가 가장 낮다고 볼 수 있다.
6. 난백의 기포성을 높이기 위해서 단백질의 표면장력을 낮춰줘야 한다.
7. 단백질의 표면 형성은 비가역적이므로 안정한 거품을 만든다.
☞참고문헌
이경애 저, 식품과학, 라이프사이언스,
강근옥 저, 조리과학, 효일
cream of tartar를 첨가한 B의 처리구의 경우에는 난백의 pH가 저하되어 난백단백질의 등전점에 가까워져 난백의 표면장력과 점도가 저하되어 단백질의 농도가 떨어지게 된다.
반면 NaCl은 세 개의 처리 구 중 액상의 양이 가장 많이 나온 첨가제이다. 소금을 첨가하면 표면변성을 촉진시켜 기포형성의 도가 지나치기 쉽고 거품의 안정성이 나빠지게 된다. NaCl은 난백의 안정한 기포를 형성하는 것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Nacl은 거품이 잘 생성되지만 거품이 단단하지 않아 시간이 지나면서 거품이 꺼진다. 그렇기 때문에 액상이 다른 처리 구에 비해 많이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안정성이 세 개의 처리 구 중 가장 떨어진다고 볼 수 있겠다. 거품에 액상이 많이 나왔다는 것은 거품이 점점 파괴되어 거칠어진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만약 sucrose를 넣은 거품을 오래동안 휘젓게 되면 공기에 의해 부피는 증가되지만 최대 부피에 도달의 이상으로 넘어가게 되면 거품의 부피가 감소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충분 량 휘젓게 되면 단단하고 안정성이 큰 sucrose를 만들 수 있다.
우리조의 거품 액상은 생각보다 덜 나왔다. 아마도 핸드믹서로 난백을 휘저을 때 짧은 시간 내에 만들었기 때문일 거라 예상한다. 또한, 거품을 깔때기에서 넣을 때 거품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 툭 털어서 넣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한다.
이로써 난백의 비중과 안정성을 알아보았다. 우리가 설탕을 넣어 크림을 만드는 것이 단맛을 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안정성이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요약
1.
2. 거품은 물보다 비중이 낮다.
3. 시간의 경과에 따라 sucrose>cream of tartar>NaCl>대조구 순으로 안정화가 크다.
4. sucrose는 단단하고 탄력있는 거품을 형성한다.
5. 대조구를 제외한 처리구에서는 sucrose를 첨가한 B가 가장 안정성이 높고, NaCl를 첨가한 D 가 가장 낮다고 볼 수 있다.
6. 난백의 기포성을 높이기 위해서 단백질의 표면장력을 낮춰줘야 한다.
7. 단백질의 표면 형성은 비가역적이므로 안정한 거품을 만든다.
☞참고문헌
이경애 저, 식품과학, 라이프사이언스,
강근옥 저, 조리과학, 효일
키워드
추천자료
조단백질
단백질의 농도, 시간, 온도에 따른 효소반응과 흡광도측정 및 표준그래프
부체의안정성 stability of a Floating body
총인측정(Total Phosphorus)
[바이오칩][단백질칩][뉴로칩][바이오칩 분류][단백질칩 연구동향][뉴로칩 구성][뉴로칩 개발...
유체측정장치의 원리와 종류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량시험 (Testing Method for Specific Gravity and Absorption of C...
조단백질의 정량(Micro kjeldahl Method) - 식품중의 단백질 함유량을 정량하는 방법 중 마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