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간호 과정
Ⅳ 결론
Ⅱ 본론
Ⅲ 간호 과정
Ⅳ 결론
본문내용
을 통하여 한결 마음이 편해 지셨다고 말하였다. 그러나 앞으로 있을지 모르는 합병증에 대하여 걱정스럽다고 말하였다.
경직된 표정이 안도감으로 표정이 누그러짐이 관찰되었다.
3
외상과 관련 된 감염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피로하고 기운이 없어요.”
“머리가 지끈 지끈 아프고 수술부위가 아파요.”
“열이 나는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5/23 150/90mmHg, 37.7℃, RR 32회/min, P 110회/min
5/24 CRP 10.772mg/dL (0~0.5)
deep laceration(눈 사이, scale, elbow)
무기력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15일 이내에 감염증상 없이 상처부위가 회복됐음이 관찰된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체온이 정상범위(36.5~37.0)가 된다.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두통척도 4점에서 2점 이하로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극심한 두통 5점 - 두통 없음 0점)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①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②4시간에 한번 씩 감염의 국소 증상과 징후를 사정하고 교육한다.
③대상자의 외상 치료 시 엄격한 무균술을 적용한다.
①대상자의 활력징후 변화를 사정함에 따라 감염을 예측할 수 있다.
②4시간마다 사정을 통하여 감염을 예방하고 빠른 대처가 가능하게 한다.
③엄격한 무균술을 통하여 외상부위의 감염을 예방한다.
<참고문헌>
기본간호학 Ⅰ, 엘스비어코리아
기본간호 중재의 적용, 수문사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간호수행
①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2시간 간격으로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확인하였다.
5/23 10:00 150/90mmHg, 37.7℃, RR 32회/min, P 110회/min
5/23 12:00 140/90mmHg, 37.4℃, RR 26회/min, P 98회/min
5/23 14:00 130/80mmHg, 37.1℃, RR 20회/min, P 86회/min
5/23 16:00 130/80mmHg, 37.0℃, RR 20회/min, P 84회/min
②감염의 국소 증상과 징후를 사정하였다.
전신감염이 있을 경우 체온, 맥박, 호흡수가 높아지고,
국소 감염의 징후는 발적, 국소발열, 종창, 통증이 있음을 교육하였다.
③멸균 드레싱을 사용하여 상처부위를 소독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해열제 투약 이후 체온이 37.1‘C, 140/90mmHg, P 90회/m, R 20회/min을 보이셨다. 3-4일에 한 번씩 멸균 드레싱을 함으로써 감염증상 없이 상처 부위에 가피형성이 되시고 정상적인 치유과정이 관찰 되었다.
4
신체 기동 장애 및 약물치료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침대 내려가다가 넘어 질 뻔 했어요.”
“어지러워요.”
“다리가 불편해서 움직일 때 넘어질까 겁나요.”
객관적 자료
마약성 약물 사용중 Pethidine (Demerol)2 1Amp
Rt. long leg cast.
빈혈 Hb 12.8g/dL (14~18)
Morse점수 20점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2주 이내에 낙상 고위험 대상자에서 제외된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침대 안정시 침대 난간을 올린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낙상 예방법에 대해 5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 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①낙상위험도를 사정하여 낙상위험성을 평가한다.
②낙상교육을 한다.
③낙상 고위험 환자의 팔지에 낙상주의 스티커를 부착한다.
④낙상 팜플랫을 제공한다.
①낙상 위험 척도를 이용하여 낙상 고위험 대상자임을 확인하고 예방 및 주의 한다.
②,③,④교육 및 홍보를 통하여 낙상을 예방한다.
<참고문헌>
정신장애 평가도구, 하나의학사
기본간호학 Ⅱ, 엘스비어코리아
기본간호 중재의 적용, 수문사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국가건강 정보포털
간호수행
①Morse 낙상 위험도 평가를 이용하여 대상자가 고위험 낙상 대상자인지 사정하였다.낙상척도
15점
(고 위험군)
②낙상교육을 하였다.
-낙상의 원인(낙상의 고위험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낙상으로 인한 손상에 대해 교육하였다.
-낙상 예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③낙상주의 스티커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부착하였다.
④낙상 팜플랫을 통하여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에 대해 자각하도록 홍보하였다.
간호평가
처음엔 낙상교육에 대하여 무관심한 표정을 보이셨으며, 침대 난간을 올리는 것을 싫어 하셨으나 계속적인 교육에 의해 낙상교육을 실천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참고자료*
기본간호학 Ⅰ, 엘스비어코리아
기본간호학 Ⅱ, 엘스비어코리아
기본간호 중재의 적용, 수문사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정신장애 평가도구, 하나의학사
보완대체의학, 아카데미아
국가건강 정보포털 http://health.mw.go.kr/
Ⅳ 결론
이번 성인 실습을 통하여 정규 과목을 통해 배울 수 없었던 실무에 대해 많이 보고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아서 기뻤다.
또한 배움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환자들과 서로 소통하면서 글로만 배우는 것이 아닌 실제적인 대인 관계를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다.
사실 배운 것과 실무에서 사용하는 것이 다른 것도 많았고, 일일이 배우지 못한 것들을 하려다 보니 처음에 많이 당황하고 서툴렀지만 조금씩 배우고 익혀가면서 간호사가 가져야 하는 의학적 기술 뿐 만 아니라 여러 가지 지식, 마음을 어루 만져 줄 수 있는 따뜻한 말 한마디도 중요하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그리고 정형외과 병동에 있으면서 기본적인 침상정리부터 여러 약물도 공부하고 수술 전,후 관리 등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 것 같다.
개인적으론 건강한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라는 것도 크게 깨달았다.
아쉬운 것이 있다면 좀 더 많은 검사와 치료를 관찰하고 싶었는데 기회가 별로 없었다는 것과 환자분들과 좀 더 많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아직 의학적 지식도 부족하고 대인관계를 어떻게 해야 효율적인지 잘 몰라서 환자 분들께 큰 도움을 드릴 수 없었던 것이 마음에 걸린다. 앞으로 좀 더 열심히 배우고 익혀 정식 간호사가 되었을 때는 서투르지 않은 육체 및 정신을 모두 간호 해 줄 수 있는 그런 간호사가 되고 싶다.
경직된 표정이 안도감으로 표정이 누그러짐이 관찰되었다.
3
외상과 관련 된 감염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피로하고 기운이 없어요.”
“머리가 지끈 지끈 아프고 수술부위가 아파요.”
“열이 나는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5/23 150/90mmHg, 37.7℃, RR 32회/min, P 110회/min
5/24 CRP 10.772mg/dL (0~0.5)
deep laceration(눈 사이, scale, elbow)
무기력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15일 이내에 감염증상 없이 상처부위가 회복됐음이 관찰된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체온이 정상범위(36.5~37.0)가 된다.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두통척도 4점에서 2점 이하로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극심한 두통 5점 - 두통 없음 0점)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①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②4시간에 한번 씩 감염의 국소 증상과 징후를 사정하고 교육한다.
③대상자의 외상 치료 시 엄격한 무균술을 적용한다.
①대상자의 활력징후 변화를 사정함에 따라 감염을 예측할 수 있다.
②4시간마다 사정을 통하여 감염을 예방하고 빠른 대처가 가능하게 한다.
③엄격한 무균술을 통하여 외상부위의 감염을 예방한다.
<참고문헌>
기본간호학 Ⅰ, 엘스비어코리아
기본간호 중재의 적용, 수문사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간호수행
①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2시간 간격으로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확인하였다.
5/23 10:00 150/90mmHg, 37.7℃, RR 32회/min, P 110회/min
5/23 12:00 140/90mmHg, 37.4℃, RR 26회/min, P 98회/min
5/23 14:00 130/80mmHg, 37.1℃, RR 20회/min, P 86회/min
5/23 16:00 130/80mmHg, 37.0℃, RR 20회/min, P 84회/min
②감염의 국소 증상과 징후를 사정하였다.
전신감염이 있을 경우 체온, 맥박, 호흡수가 높아지고,
국소 감염의 징후는 발적, 국소발열, 종창, 통증이 있음을 교육하였다.
③멸균 드레싱을 사용하여 상처부위를 소독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해열제 투약 이후 체온이 37.1‘C, 140/90mmHg, P 90회/m, R 20회/min을 보이셨다. 3-4일에 한 번씩 멸균 드레싱을 함으로써 감염증상 없이 상처 부위에 가피형성이 되시고 정상적인 치유과정이 관찰 되었다.
4
신체 기동 장애 및 약물치료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침대 내려가다가 넘어 질 뻔 했어요.”
“어지러워요.”
“다리가 불편해서 움직일 때 넘어질까 겁나요.”
객관적 자료
마약성 약물 사용중 Pethidine (Demerol)2 1Amp
Rt. long leg cast.
빈혈 Hb 12.8g/dL (14~18)
Morse점수 20점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2주 이내에 낙상 고위험 대상자에서 제외된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침대 안정시 침대 난간을 올린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낙상 예방법에 대해 5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 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①낙상위험도를 사정하여 낙상위험성을 평가한다.
②낙상교육을 한다.
③낙상 고위험 환자의 팔지에 낙상주의 스티커를 부착한다.
④낙상 팜플랫을 제공한다.
①낙상 위험 척도를 이용하여 낙상 고위험 대상자임을 확인하고 예방 및 주의 한다.
②,③,④교육 및 홍보를 통하여 낙상을 예방한다.
<참고문헌>
정신장애 평가도구, 하나의학사
기본간호학 Ⅱ, 엘스비어코리아
기본간호 중재의 적용, 수문사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국가건강 정보포털
간호수행
①Morse 낙상 위험도 평가를 이용하여 대상자가 고위험 낙상 대상자인지 사정하였다.낙상척도
15점
(고 위험군)
②낙상교육을 하였다.
-낙상의 원인(낙상의 고위험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낙상으로 인한 손상에 대해 교육하였다.
-낙상 예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③낙상주의 스티커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부착하였다.
④낙상 팜플랫을 통하여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에 대해 자각하도록 홍보하였다.
간호평가
처음엔 낙상교육에 대하여 무관심한 표정을 보이셨으며, 침대 난간을 올리는 것을 싫어 하셨으나 계속적인 교육에 의해 낙상교육을 실천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참고자료*
기본간호학 Ⅰ, 엘스비어코리아
기본간호학 Ⅱ, 엘스비어코리아
기본간호 중재의 적용, 수문사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정신장애 평가도구, 하나의학사
보완대체의학, 아카데미아
국가건강 정보포털 http://health.mw.go.kr/
Ⅳ 결론
이번 성인 실습을 통하여 정규 과목을 통해 배울 수 없었던 실무에 대해 많이 보고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아서 기뻤다.
또한 배움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환자들과 서로 소통하면서 글로만 배우는 것이 아닌 실제적인 대인 관계를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다.
사실 배운 것과 실무에서 사용하는 것이 다른 것도 많았고, 일일이 배우지 못한 것들을 하려다 보니 처음에 많이 당황하고 서툴렀지만 조금씩 배우고 익혀가면서 간호사가 가져야 하는 의학적 기술 뿐 만 아니라 여러 가지 지식, 마음을 어루 만져 줄 수 있는 따뜻한 말 한마디도 중요하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그리고 정형외과 병동에 있으면서 기본적인 침상정리부터 여러 약물도 공부하고 수술 전,후 관리 등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 것 같다.
개인적으론 건강한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라는 것도 크게 깨달았다.
아쉬운 것이 있다면 좀 더 많은 검사와 치료를 관찰하고 싶었는데 기회가 별로 없었다는 것과 환자분들과 좀 더 많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아직 의학적 지식도 부족하고 대인관계를 어떻게 해야 효율적인지 잘 몰라서 환자 분들께 큰 도움을 드릴 수 없었던 것이 마음에 걸린다. 앞으로 좀 더 열심히 배우고 익혀 정식 간호사가 되었을 때는 서투르지 않은 육체 및 정신을 모두 간호 해 줄 수 있는 그런 간호사가 되고 싶다.
추천자료
신경계(개두술수술간호,척수수술간호)수술간호
case study -골다공증으로 인한 압박골절
성인간호학 case - 응급실 (상황, 우선순위, case, 비상약품종류와 간호),case study-뇌졸중
[정형외과 병동] 골절 케이스스터디
[Case] T-12 Compression fracture (압박골절)
[아동간호][외상성장애 아동간호][미숙아][관절장애][세기관지염][심도자술][심장수술]외상성...
[수술][수술과 수술역사][수술과 수술부위][수술과 수술발전][수술과 수술간호][수술역사][수...
방문간호 (지역사회간호학) Case study
뇌출혈 케이스스터디 신경외과케이스스터디 경막외출혈 케이스 문헌고찰 뇌출혈간호과정 뇌출...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케이스 스터디 - 진단명 : C2 bady fx(Closed, fracture of se...
뇌졸중 환자간호(뇌졸중의 위험요인, 뇌졸중의 종류, 뇌졸중 위치에 따른 증상, 뇌졸중의 임...
기본간호학) 상처간호 욕창간호
노인간호 케이스 알츠하이머병 - alzheimer's disease 간호진단 1. “질병과 관련된 낙상 위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