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급여 수급권과 권리구제의 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급여 수급권과 권리구제의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급여수급권의 실질적 취약성
2. 사회복지급여수급권의 특징
3. 사회복지법상의 권리구제

본문내용

반사적 이익, 시혜적인 것이 아닌 하나의 법적 권리이며,
그 권리가 침해되었을 때에는 당연히 권리구제를 받아야 한다.
- 사회복지의 권리구제 : 사회복지법에 규정되어 있는 제반 자격, 급여, 기여금, 서비스 등
과 관련하여 당해 처분에 이의가 있거나 불복이 있는 경우 사회복지법상에 규정되어 있
는 각종 심사위원회나 법원에 그 처분의 시정과 취소를 구하는 절차를 통해서 구제받는
것이다.
1) 권리구제의 의의
- 사회복지법에서는 권리구제에 대하여 이의신청이나 심사, 재심사와 관련된 규정을 두고
있다.
- 사회복지법에서 권리구제장치를 두는 이유
① 사법상이나 공법상의 구제절차에 앞서 사회복지급여대상자인 사회적 약자의
생존권을 신속하게 확보하게 수급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증진시키기 위해서 이다.
② 수급권자의 대부분이 사법적 판단과정에서 소요되는 재정적, 시간적 여유를 가지기
어렵기 때문에 권리구제장치를 통하여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고자 한다.
2) 권리구제의 유형
이의신청과
심사청구
해당 처분을 한 행정기관 에 신청, 처분의 시정을 요구
해당 처분을 한 행정기관의 상급기관에 제기, 처분의 시정을 요구 행정심판의 성격
2번에 걸친 심사청구 결정에 불복하였을 경우, 법적 쟁송을 통한 해결방법
① 행정소송 ② 민사소송 ③ 헌법소원
3) 권리구제의 내용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심사청구 근로복지공단 90일 이내 소속기관 제기
재심사청구
노동부 내 산업재 새보상보험 심사
위원회
90일 이내 신청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심사청구
국민건강보험공단 내 장기요양심사
위원회
90일 이내 신청
재심사청구
보건복지부 장관 소속 장기요양심판
위원회
90일 이내 신청
국민건강보험법 이의신청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 평가원
90일 이내 신청(이후 신청 가능)
60일 이내 결정(30일 연장가능)
심판청구
보건복지부 내 건강보험분쟁
조정위원회
90일 이내 신청
고용보험법
심사청구 지방노동청 내 고용보험 심사관
90일 이내 신청
30일 이내 결정 (10일 연장가능)
재심사청구 노동부 내 고용보험심사위원회
90일 이내 신청
50일 이내 재결
참고문헌
- 곽효문 사회복지법제론 제일법규, 2000
- 윤창영 사회복지법제론 나남출판, 2008
- 현외성 한국사회복지법제론 양서원, 2005
- 유재신 외, 「사회복지법제론」(2011), 문예미디어
- 이소희 외, 「한국사회복지법」(2006), 문음사
- 정영동, 「국민건강보험의 이해」(2006) 문음사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0.05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07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