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원
2. 연도별 발달 단계
3.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1. 한국에서의 정착 역사
2. 연도별 발달 단계
3. 자격제도 확립
4. 한국 사회복지실천현장의 현황과 과제
2. 연도별 발달 단계
3.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1. 한국에서의 정착 역사
2. 연도별 발달 단계
3. 자격제도 확립
4. 한국 사회복지실천현장의 현황과 과제
본문내용
5년 「정신보건법」제정. 1996년 시행
- 1997년 정신보건 전문요원으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 제정
-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한 사회복지사 1급 자격소지자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
한 전문요원수련기관에서 1년 이상 수련 후 필기 및 구술시험에 합격해 2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 5년 임상실무경험 있는 자가 승급시험으로 1급 자격 취득 가능
21
(4) 학교사회복지
- 1997년 교육부 학교사회사업 시범연구사업 실시
- 공식적인 법제화 이루어지지 않음
- 2000년 한국학교사회사업실천가협회 창립
- 2005년 제1회 학교사회복지사 자격시험 실시
(5) 교정복지
- 범죄자나 비행청소년의 재활 및 사회복귀 지원과 범죄의 처벌대신 사회적응 도움으로 지역사회의 범죄예방과 문제해결을 도모하는 사회복지의 한 분야
(6) 장애인복지
- 장애인은 신체적ㆍ정신적 장애로 장기간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은 자
- 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한 장애인복지시설은 장애인 생활시설,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장애인 유료복지시설로 구분
(7) 공공영역
- 1987년 사회복지전문요원 배치 이래 1999년 별정직에서 일반직으로 전환
-「사회복지사업법」제14조에서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업무 담당위해 시ㆍ도, 시ㆍ군, 읍ㆍ면ㆍ동에 둠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사회복지사 자격을 가진 자
- 사회복지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대해 생활실태 및 가정환경 등의 파악, 관련 상담과 지도 업무
2)한국사회복지실천의 현장의 과제
- 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지식과 이론에 있어 한국식의 고유 토대 마련 필요
- 국가 차원의 사회복지정책이나 사회복지행정을 통해 사회복지실천이 전문직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
- 다양한 학문과의 교류 통해 사회과학과 사회복지실천 양자의 지식기반 확립
- 양적 성장만큼의 질적 성장 도모
참고문헌
양옥경·김정진·서미경·김미옥·김소희, 2006. 사회복지실천론 : 나남출판
박귀영·류기덕·박형준·신종우·오현숙·이상주, 2010. 사회복지실천론 : 양서원
문수열·김 병·이창희·원기연·정영일·박주현, 2010. 사회복지의 이해 : 창지사
신성자 (2007).사회복지실천기술론.양서원
이윤로 (2007).사회복지실천기술론.학지사
김기태 외 4인 (2002).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엄명용 외3인 (2005).사회복지실천의 이해.학지사
엄명용 외2인 (2008).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학지사
- 1997년 정신보건 전문요원으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 제정
-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한 사회복지사 1급 자격소지자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
한 전문요원수련기관에서 1년 이상 수련 후 필기 및 구술시험에 합격해 2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 5년 임상실무경험 있는 자가 승급시험으로 1급 자격 취득 가능
21
(4) 학교사회복지
- 1997년 교육부 학교사회사업 시범연구사업 실시
- 공식적인 법제화 이루어지지 않음
- 2000년 한국학교사회사업실천가협회 창립
- 2005년 제1회 학교사회복지사 자격시험 실시
(5) 교정복지
- 범죄자나 비행청소년의 재활 및 사회복귀 지원과 범죄의 처벌대신 사회적응 도움으로 지역사회의 범죄예방과 문제해결을 도모하는 사회복지의 한 분야
(6) 장애인복지
- 장애인은 신체적ㆍ정신적 장애로 장기간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은 자
- 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한 장애인복지시설은 장애인 생활시설,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장애인 유료복지시설로 구분
(7) 공공영역
- 1987년 사회복지전문요원 배치 이래 1999년 별정직에서 일반직으로 전환
-「사회복지사업법」제14조에서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업무 담당위해 시ㆍ도, 시ㆍ군, 읍ㆍ면ㆍ동에 둠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사회복지사 자격을 가진 자
- 사회복지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대해 생활실태 및 가정환경 등의 파악, 관련 상담과 지도 업무
2)한국사회복지실천의 현장의 과제
- 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지식과 이론에 있어 한국식의 고유 토대 마련 필요
- 국가 차원의 사회복지정책이나 사회복지행정을 통해 사회복지실천이 전문직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
- 다양한 학문과의 교류 통해 사회과학과 사회복지실천 양자의 지식기반 확립
- 양적 성장만큼의 질적 성장 도모
참고문헌
양옥경·김정진·서미경·김미옥·김소희, 2006. 사회복지실천론 : 나남출판
박귀영·류기덕·박형준·신종우·오현숙·이상주, 2010. 사회복지실천론 : 양서원
문수열·김 병·이창희·원기연·정영일·박주현, 2010. 사회복지의 이해 : 창지사
신성자 (2007).사회복지실천기술론.양서원
이윤로 (2007).사회복지실천기술론.학지사
김기태 외 4인 (2002).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엄명용 외3인 (2005).사회복지실천의 이해.학지사
엄명용 외2인 (2008).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학지사
추천자료
[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정보화]한국 사회복지정책과 사회복지정보화 현황과 문제점 및 향후 ...
사회복지 전문직의 자격제도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역사에 대하여 논하고,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전망과 과제에 대하여 기술하...
정신장애에 대한 사회복지실천의 사례관리서비스 활용 (사례관리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제안...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제 모델 - 임파워먼트 모델 (역사적 기원과 발달, 기분 가...
사회복지실천 역사와 클라이언트를 보는 시각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 미국의 사회복지행정과 한국의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및 한국사회복지...
[사회복지개론] 제도적 완경의 변화(사회복지실천 현장) - 분권화와 지방화, 공공복지 전달체...
[지역사회복지론] 한국지역사회복지의 역사를 정리하고, 지역사회복지 중 관심분야 중 하나...
[지역사회복지론] 한국지역사회복지의 역사를 정리하고, 지역사회복지 중 관심분야 중 하나...
사회복지의발달-한국의복지제도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