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본추출의 기본목적
표본 뽑는 방법
확률표집
표본 뽑는 방법
확률표집
본문내용
많이 뽑는 것.
예) 어떤 시의 지체장애인의 욕구를 비교하기 위해 표본을 추출하
는 경우. 그 시에 총 500명의 장애인이 있는데 지체장애인은 400명
이고 시각장애인은 100명이었다면 표본을 100명 무작위로 뽑게 되
면 지체장애인이 80명이 선정되고 시각장애인은 20명 선출되게 됨.
이 경우 시각장애인의 표본수는 너무 적어져서 비교하기가 곤란해
짐. 이런 경우 ‘불균형층화표집’을 하여 시각장애인의 표본수를 늘리
게 됨. 우리가 지체장애인 50명, 시각장애인 50명을 선정하여 비교
하고자 한다면 지체장애인은 50/400(12.5%)을 선정하면 되고 시각
장애인은 50/100(50%)을 선정하면 됨. 시각장애인은 지체장애인에
비해 50/12.5=4배 더 많이 선정됨.
- 주의할 점 : 여기서 얻어진 결과를 가지고 전체장애인의 종합욕구
를 알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뽑힌 표본(여기서는 지
체장애인의 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적게 뽑힘)에 그만큼 ‘가중치’
를 부여해야 함. 즉, 지체장애인의 값에 4배의 가중치를 주어야 함.
예) 표본조사에서 교육재활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지체장애인이 시
각장애인보다 2배 많았다면 모집단에서는 8배 많은 것으로 간주해
야 함.
◈ 집략표집
① 넓은 광범한 지역에서 조사할 경우 모집단을 구하기가 어려움.
② 예) 서울시에 있는 장애인을 다 뽑을 경우 뽑을 수 있는 장애인명단을 다 확보하
기가 어려움. 이 경우 다음의 순서에 입각해서 뽑으면 됨.
- 먼저 커다란 지역을 뽑음. (서울시 24개구 중 5개구 선정)
- 5개구 중에서 몇 개 동을 뽑음.
- 뽑힌 동에서 ‘장애인 면담’을 작성.
③ 표집순서
- 집략의 명단을 나열
- 집락을 표본으로 선출하고 다시
- 그 집락 내에서 ‘각 개인’을 선출하게 됨
④ 집락표집이 유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배경의 집락이 더 많이 선정’되도록 설계
하는 것이 좋음.
⑤ 즉, ‘이질적인 집락이 많이 선정’되어야 함. 각 집락 내에 있는 사람들은 사회인구
학적 면에서 유사한 측면이 높기 때문.
⑥ 예) 서울 시내에서 1,000명의 표본을 선정하는 경우. 이때 서울 시내에 20여 개의
구를 집락으로 설정할 수 있음. 우리는 5개 구를 선정하여 각 구에서 200명의 표
본을 선출하여 총 표본이 1,000명이 되도록 할 수 있음. 한편, 10개 구를 선정하
여 각 구에서 100명씩 선출하여 총 표본이 1,000명이 되도록 할 수도 있음. 이때
더 바람직한 설계는 바로 10개 구를 선정하는 것. 그래야 더 다양한 배경의 사람
들이 선정되기 때문임.
2. 비확률표집
◈ 비확률표집을 해야 하는 이유
① 확률표집을 해야 대표성이 확보되고 ‘일반화’가 쉬워짐.
② 즉, 표본에서 얻은 결과를 모집단에 적용하는 ‘일반화’를 할 수 있음.
③ 그러나 조사하다보면 확률표집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
④ 예) 내가 “치매노인을 연구하고 싶다” 그러나 치매노인이 어디 어디에 계시는지
그 모집단의 명단을 확보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움. 따라서 어쩔 수 없이 비확
률표집을 할 수 밖에 없게 됨.
◈ 비확률표집의 종류
① 편의표집
- 편리한 대로 사람을 뽑아서 연구하는 것.
예) ‘길거리에서 만나는 사람 위주로 뽑겠다.’, ‘술집에서 만나는 사람을 뽑겠다.’
② 판단표집(=의도적표집)
- 나에게 중요한 정보를 줄 것 같다고 판단해서 의도적으로 그 사람에게 가서
연구할 경우.
③ 눈덩이표집
- 어떤 한 사람에게 “누구를 찾아가서 정보를 얻어야 합니까?” 물어본 후 그
사람을 찾아가서 조사한 후 다시 또 누구를 찾아가야 하는지 계속 물어보고
찾아다니며 조사하는 방식.
④ 할당표집
- 앞으로 조사할 대상자의 특성이 미리 구체화되어 있어야 함. 즉, 성별, 연령,
직업 등의 비율이 미리 파악되어 그 특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선정.
- 예) 조사자가 어머니로부터 학대를 당한 아동과 그렇지 않은 아동을 비교하
는 연구를 시행. 또한 연령이 5~9세와 10~14세인 아동들을 비교, 그러면 다
음의 표처럼 4개의 범주를 갖게 됨. 각 특성을 갖는 아동을 각 20명씩 조사
하고자 한다면 조사자는 총 80명을 조사하게 되는데 조사자는 각 특성을 갖
춘 표본을 임의로 찾아 조사를 하게 됨.
참고 문헌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1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김치영, 『사회복지조사론』, 교문사, 2007
김훈,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대왕사, 2006
박석돈, 『사회복지학개론』, 삼우사, 2004
예) 어떤 시의 지체장애인의 욕구를 비교하기 위해 표본을 추출하
는 경우. 그 시에 총 500명의 장애인이 있는데 지체장애인은 400명
이고 시각장애인은 100명이었다면 표본을 100명 무작위로 뽑게 되
면 지체장애인이 80명이 선정되고 시각장애인은 20명 선출되게 됨.
이 경우 시각장애인의 표본수는 너무 적어져서 비교하기가 곤란해
짐. 이런 경우 ‘불균형층화표집’을 하여 시각장애인의 표본수를 늘리
게 됨. 우리가 지체장애인 50명, 시각장애인 50명을 선정하여 비교
하고자 한다면 지체장애인은 50/400(12.5%)을 선정하면 되고 시각
장애인은 50/100(50%)을 선정하면 됨. 시각장애인은 지체장애인에
비해 50/12.5=4배 더 많이 선정됨.
- 주의할 점 : 여기서 얻어진 결과를 가지고 전체장애인의 종합욕구
를 알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뽑힌 표본(여기서는 지
체장애인의 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적게 뽑힘)에 그만큼 ‘가중치’
를 부여해야 함. 즉, 지체장애인의 값에 4배의 가중치를 주어야 함.
예) 표본조사에서 교육재활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지체장애인이 시
각장애인보다 2배 많았다면 모집단에서는 8배 많은 것으로 간주해
야 함.
◈ 집략표집
① 넓은 광범한 지역에서 조사할 경우 모집단을 구하기가 어려움.
② 예) 서울시에 있는 장애인을 다 뽑을 경우 뽑을 수 있는 장애인명단을 다 확보하
기가 어려움. 이 경우 다음의 순서에 입각해서 뽑으면 됨.
- 먼저 커다란 지역을 뽑음. (서울시 24개구 중 5개구 선정)
- 5개구 중에서 몇 개 동을 뽑음.
- 뽑힌 동에서 ‘장애인 면담’을 작성.
③ 표집순서
- 집략의 명단을 나열
- 집락을 표본으로 선출하고 다시
- 그 집락 내에서 ‘각 개인’을 선출하게 됨
④ 집락표집이 유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배경의 집락이 더 많이 선정’되도록 설계
하는 것이 좋음.
⑤ 즉, ‘이질적인 집락이 많이 선정’되어야 함. 각 집락 내에 있는 사람들은 사회인구
학적 면에서 유사한 측면이 높기 때문.
⑥ 예) 서울 시내에서 1,000명의 표본을 선정하는 경우. 이때 서울 시내에 20여 개의
구를 집락으로 설정할 수 있음. 우리는 5개 구를 선정하여 각 구에서 200명의 표
본을 선출하여 총 표본이 1,000명이 되도록 할 수 있음. 한편, 10개 구를 선정하
여 각 구에서 100명씩 선출하여 총 표본이 1,000명이 되도록 할 수도 있음. 이때
더 바람직한 설계는 바로 10개 구를 선정하는 것. 그래야 더 다양한 배경의 사람
들이 선정되기 때문임.
2. 비확률표집
◈ 비확률표집을 해야 하는 이유
① 확률표집을 해야 대표성이 확보되고 ‘일반화’가 쉬워짐.
② 즉, 표본에서 얻은 결과를 모집단에 적용하는 ‘일반화’를 할 수 있음.
③ 그러나 조사하다보면 확률표집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
④ 예) 내가 “치매노인을 연구하고 싶다” 그러나 치매노인이 어디 어디에 계시는지
그 모집단의 명단을 확보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움. 따라서 어쩔 수 없이 비확
률표집을 할 수 밖에 없게 됨.
◈ 비확률표집의 종류
① 편의표집
- 편리한 대로 사람을 뽑아서 연구하는 것.
예) ‘길거리에서 만나는 사람 위주로 뽑겠다.’, ‘술집에서 만나는 사람을 뽑겠다.’
② 판단표집(=의도적표집)
- 나에게 중요한 정보를 줄 것 같다고 판단해서 의도적으로 그 사람에게 가서
연구할 경우.
③ 눈덩이표집
- 어떤 한 사람에게 “누구를 찾아가서 정보를 얻어야 합니까?” 물어본 후 그
사람을 찾아가서 조사한 후 다시 또 누구를 찾아가야 하는지 계속 물어보고
찾아다니며 조사하는 방식.
④ 할당표집
- 앞으로 조사할 대상자의 특성이 미리 구체화되어 있어야 함. 즉, 성별, 연령,
직업 등의 비율이 미리 파악되어 그 특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선정.
- 예) 조사자가 어머니로부터 학대를 당한 아동과 그렇지 않은 아동을 비교하
는 연구를 시행. 또한 연령이 5~9세와 10~14세인 아동들을 비교, 그러면 다
음의 표처럼 4개의 범주를 갖게 됨. 각 특성을 갖는 아동을 각 20명씩 조사
하고자 한다면 조사자는 총 80명을 조사하게 되는데 조사자는 각 특성을 갖
춘 표본을 임의로 찾아 조사를 하게 됨.
참고 문헌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1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김치영, 『사회복지조사론』, 교문사, 2007
김훈,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대왕사, 2006
박석돈, 『사회복지학개론』, 삼우사, 2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