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조직
전체 - 짝- 전체
중심 학습 활동
‘김장하는 날’읽기, 김장하기, 재미있는 장면 이야기하기
자료 활용
교사
그림 자료, 김치송 플래시
학생
교과서
단계
학 습
내 용
교 수 학 습 활 동
시간
교구자료(□)
유의점 (☞)
반응형성
동기유발
학습문제 확 인
학습활동안 내
▣ 학습 동기 유발하기
김치송 부르기
우리가 부른 노래에 나오는 음식은 무엇인가요?
-김치입니다.
겨울 내내 먹을 김치를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 김장이라고 합니다.
김장과 관련된 사진들을 보여 준다.
▣ 학습 문제 확인하기
♣ 시를 읽고, 재미있는 장면을 떠올려 봅시다.
▣ 학습 활동 안내하기
【활동 1】‘김장하는 날’ 읽기
【활동 2】김장하기
【활동 3】재미있는 장면 이야기하기
3′
4′
김장 관련 사진들
김치송 플래시
단계
학 습
내 용
교 수 학 습 활 동
시간
교구자료(□)
유의점 (☞)
반응 명료화
내용 파악하며 시 읽기
▣【활동 1】‘김장하는 날’ 읽기
김장과 관련된 이야기 해 보기
집에서 김장을 하는 것을 본 적이 있나요?
-어머니께서 김장하시는 것을 보았습니다.
어디서 누구와 함께 김장을 하는 것을 보았나요?
-할머니 댁에서 함께 김장을 하셨습니다.
김장할 때 어떤 재료들이 필요한가요?
-배추랑 무가 필요합니다.
-김치를 담을 수 있는 그릇들이 필요합니다.
김장하는 것을 보고 어떤 기분이 들었나요?
- 맛있는 김치를 먹을 수 있어서 신났습니다.
시 읽기
누가 무엇을 하였는지 생각하며 ‘김장하는 날’을 읽어 봅시다.
- ‘김장하는 날’을 읽는다.
16′
반응
명료화
시 내용 파악하고 느낌 나누기
▣【활동 2】김장하기
내용 확인하고 느낌 나누기
시에 누가 나오나요?
- 말하는 이하고 어머니, 할머니가 나옵니다.
시에서 말하는 이는 지금 무엇을 보고 있나요?
- 어머니와 할머니께서 김장하는 모습을 보고 있습니다.
시를 읽고 어떤 기분이 들었나요?
-김장하는 모습이 정겨워 보입니다.
-할머니와 어머니께서 김치를 맛있게 드시는 것 같아 김치가 먹고 싶어졌습니다.
김장하는 흉내 내 보기
시에서 나오는 어머니와 할머니는 김치를 어떻게 드셨나요?
-김치를 찢어 드시고 손가락을 빠셨습니다.
짝이 시를 읽어 주면 시에서 나오는 것처럼 어머니와 할머니 흉내를 내어 봅시다.
시에 나온 흉내를 내고 나니 어떤 기분이 드나요?
-시가 더 재미있게 느껴집니다.
17′
반응
심화
시에서 재미있는 장면 이야기하기
▣【활동 3】재미있는 장면 이야기하기
떠오르는 장면 말하기
시를 읽고 어떤 장면들이 떠올랐나요?
- 할머니와 어머니께서 손가락을 ‘쪽’빠시는 장면이요.
- 김장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는 사람이 할머니와 어머니께서 김치 드시는 것을 보고 손가락이 맛있다고 하는 장면이요.
- 김장하느라 배추 씻는 장면이요.
시에서 재미있는 장면 나누기
시에서 어떤 장면이 재미있었나요?
- 할머니와 어머니께서 손가락을 ‘쪽’빠시는 장면이요.
- 김장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는 사람이 할머니와 어머니께서 김치 드시는 것을 보고 손가락이 맛있다고 하는 장면이요.
30′
반응의 일반화
학습내용
정리
차시 예고
▣ 학습 내용 정리하기
시를 읽는 방법 알기
시를 어떻게 읽으면 좋을까요?
-장면을 떠올리며 읽습니다.
-내가 예전에 했던 비슷한 일들을 생각해 보고 읽습니다.
▣ 차시예고
차시 예고하기
다음 시간에는 시를 읽고 떠오르는 장면을 말하는 것을 해 보겠습니다.
8′
2′
나. 판서 계획
♣ 시를 읽고, 재미있는 장면을 떠올려 봅시다.
【활동 1】‘김장하는 날’ 읽기
【활동 2】김장하기
【활동 3】재미있는 장면
이야기하기
7.상상의 날개를 펴고
Ⅴ. 토의
교과서의 문학작품들은 모두 고심하여 수록한 것들이지만, 교과서와 수업시간의 한계로 인해 문학작품들의 참 맛을 느끼는 것이 어렵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교과서에 실린 작품들의 원본을 읽거나 관련된 작품들을 읽는 것이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데, 학생들이 문학 작품에 흥미를 갖고 평상시에도 독서를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한 학기, 혹은 한 해 동안의 장기적인 문학교육이 필요합니다.
문학수업과 학급의 독서지도를 서로 연계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토의해봅시다.
- ○○ : 교사가 교과서에 나오는 문학 제재들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교사는 교과서 문학수업에서 나오는 문학 제재에서 부족하거나 심화하는 내용들을 독서지도와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교사가 교과서를 재구성함으로써 가능합니다. 또한 교사가 이 달의 책을 정해서 함께 읽게 하는 방식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 사회자 : 반 아이들의 어머니께서 책을 읽어주시는 아침 시간을 독서 지도와 연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괜찮아>라는 시는 교과서에 일부분만 나오므로 전문을 앞에서 말한 시간을 활용하여 읽어 줄 수 있습니다. 또한 교과서의 제재를 확장해서 다룰 수도 있습니다. 이는 같은 주제의 다른 작품 읽기를 말하는 데 예를 들면 <아낌없이 주는 나무>와 같은 주제인 <행복한 왕자>를 읽게 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같은 내용의 작품이더라도 다른 매체를 활용하여 수용, 생산하는 활동하는 것도 문학 수업의 의미이니 이를 고려하여 독서지도를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 교재 453p 텍스트 상호성의 원리, 454p 텍스트간 주제의 상호성
- 교수님 : 수업 중에 읽은 작품의 원작을 다루는 독서지도도 가능하지만,
독서지도 했던 작품들을 문학 수업으로 적용하는 활동도 가능합 니다 . 이는 문학수업과 독서지도가 서로 연계될 수 있음을 말합 니다. 이처럼 문학수업과 독서지도를 연계하는 것은 아주 이상적 인 방법입니다.
<참고문헌>
- 교육인적자원부, 2007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 교육과학기술부, 교사용 지도서 초등학교 국어 1-1, 2009
- 교육과학기술부, 교사용 지도서 초등학교 국어 1-2, 2009
- 교육과학기술부, 교사용 지도서 초등학교 국어 1-2, 2009
- 교육과학기술부, 교사용 지도서 초등학교 국어 1-2, 2009
-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2009
전체 - 짝- 전체
중심 학습 활동
‘김장하는 날’읽기, 김장하기, 재미있는 장면 이야기하기
자료 활용
교사
그림 자료, 김치송 플래시
학생
교과서
단계
학 습
내 용
교 수 학 습 활 동
시간
교구자료(□)
유의점 (☞)
반응형성
동기유발
학습문제 확 인
학습활동안 내
▣ 학습 동기 유발하기
김치송 부르기
우리가 부른 노래에 나오는 음식은 무엇인가요?
-김치입니다.
겨울 내내 먹을 김치를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 김장이라고 합니다.
김장과 관련된 사진들을 보여 준다.
▣ 학습 문제 확인하기
♣ 시를 읽고, 재미있는 장면을 떠올려 봅시다.
▣ 학습 활동 안내하기
【활동 1】‘김장하는 날’ 읽기
【활동 2】김장하기
【활동 3】재미있는 장면 이야기하기
3′
4′
김장 관련 사진들
김치송 플래시
단계
학 습
내 용
교 수 학 습 활 동
시간
교구자료(□)
유의점 (☞)
반응 명료화
내용 파악하며 시 읽기
▣【활동 1】‘김장하는 날’ 읽기
김장과 관련된 이야기 해 보기
집에서 김장을 하는 것을 본 적이 있나요?
-어머니께서 김장하시는 것을 보았습니다.
어디서 누구와 함께 김장을 하는 것을 보았나요?
-할머니 댁에서 함께 김장을 하셨습니다.
김장할 때 어떤 재료들이 필요한가요?
-배추랑 무가 필요합니다.
-김치를 담을 수 있는 그릇들이 필요합니다.
김장하는 것을 보고 어떤 기분이 들었나요?
- 맛있는 김치를 먹을 수 있어서 신났습니다.
시 읽기
누가 무엇을 하였는지 생각하며 ‘김장하는 날’을 읽어 봅시다.
- ‘김장하는 날’을 읽는다.
16′
반응
명료화
시 내용 파악하고 느낌 나누기
▣【활동 2】김장하기
내용 확인하고 느낌 나누기
시에 누가 나오나요?
- 말하는 이하고 어머니, 할머니가 나옵니다.
시에서 말하는 이는 지금 무엇을 보고 있나요?
- 어머니와 할머니께서 김장하는 모습을 보고 있습니다.
시를 읽고 어떤 기분이 들었나요?
-김장하는 모습이 정겨워 보입니다.
-할머니와 어머니께서 김치를 맛있게 드시는 것 같아 김치가 먹고 싶어졌습니다.
김장하는 흉내 내 보기
시에서 나오는 어머니와 할머니는 김치를 어떻게 드셨나요?
-김치를 찢어 드시고 손가락을 빠셨습니다.
짝이 시를 읽어 주면 시에서 나오는 것처럼 어머니와 할머니 흉내를 내어 봅시다.
시에 나온 흉내를 내고 나니 어떤 기분이 드나요?
-시가 더 재미있게 느껴집니다.
17′
반응
심화
시에서 재미있는 장면 이야기하기
▣【활동 3】재미있는 장면 이야기하기
떠오르는 장면 말하기
시를 읽고 어떤 장면들이 떠올랐나요?
- 할머니와 어머니께서 손가락을 ‘쪽’빠시는 장면이요.
- 김장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는 사람이 할머니와 어머니께서 김치 드시는 것을 보고 손가락이 맛있다고 하는 장면이요.
- 김장하느라 배추 씻는 장면이요.
시에서 재미있는 장면 나누기
시에서 어떤 장면이 재미있었나요?
- 할머니와 어머니께서 손가락을 ‘쪽’빠시는 장면이요.
- 김장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는 사람이 할머니와 어머니께서 김치 드시는 것을 보고 손가락이 맛있다고 하는 장면이요.
30′
반응의 일반화
학습내용
정리
차시 예고
▣ 학습 내용 정리하기
시를 읽는 방법 알기
시를 어떻게 읽으면 좋을까요?
-장면을 떠올리며 읽습니다.
-내가 예전에 했던 비슷한 일들을 생각해 보고 읽습니다.
▣ 차시예고
차시 예고하기
다음 시간에는 시를 읽고 떠오르는 장면을 말하는 것을 해 보겠습니다.
8′
2′
나. 판서 계획
♣ 시를 읽고, 재미있는 장면을 떠올려 봅시다.
【활동 1】‘김장하는 날’ 읽기
【활동 2】김장하기
【활동 3】재미있는 장면
이야기하기
7.상상의 날개를 펴고
Ⅴ. 토의
교과서의 문학작품들은 모두 고심하여 수록한 것들이지만, 교과서와 수업시간의 한계로 인해 문학작품들의 참 맛을 느끼는 것이 어렵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교과서에 실린 작품들의 원본을 읽거나 관련된 작품들을 읽는 것이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데, 학생들이 문학 작품에 흥미를 갖고 평상시에도 독서를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한 학기, 혹은 한 해 동안의 장기적인 문학교육이 필요합니다.
문학수업과 학급의 독서지도를 서로 연계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토의해봅시다.
- ○○ : 교사가 교과서에 나오는 문학 제재들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교사는 교과서 문학수업에서 나오는 문학 제재에서 부족하거나 심화하는 내용들을 독서지도와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교사가 교과서를 재구성함으로써 가능합니다. 또한 교사가 이 달의 책을 정해서 함께 읽게 하는 방식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 사회자 : 반 아이들의 어머니께서 책을 읽어주시는 아침 시간을 독서 지도와 연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괜찮아>라는 시는 교과서에 일부분만 나오므로 전문을 앞에서 말한 시간을 활용하여 읽어 줄 수 있습니다. 또한 교과서의 제재를 확장해서 다룰 수도 있습니다. 이는 같은 주제의 다른 작품 읽기를 말하는 데 예를 들면 <아낌없이 주는 나무>와 같은 주제인 <행복한 왕자>를 읽게 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같은 내용의 작품이더라도 다른 매체를 활용하여 수용, 생산하는 활동하는 것도 문학 수업의 의미이니 이를 고려하여 독서지도를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 교재 453p 텍스트 상호성의 원리, 454p 텍스트간 주제의 상호성
- 교수님 : 수업 중에 읽은 작품의 원작을 다루는 독서지도도 가능하지만,
독서지도 했던 작품들을 문학 수업으로 적용하는 활동도 가능합 니다 . 이는 문학수업과 독서지도가 서로 연계될 수 있음을 말합 니다. 이처럼 문학수업과 독서지도를 연계하는 것은 아주 이상적 인 방법입니다.
<참고문헌>
- 교육인적자원부, 2007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 교육과학기술부, 교사용 지도서 초등학교 국어 1-1, 2009
- 교육과학기술부, 교사용 지도서 초등학교 국어 1-2, 2009
- 교육과학기술부, 교사용 지도서 초등학교 국어 1-2, 2009
- 교육과학기술부, 교사용 지도서 초등학교 국어 1-2, 2009
-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2009
추천자료
[주의산만]주의집중(주의력집중)의 방해요인, 주의집중(주의력집중)을 위한 준비, 수업시작 ...
수준별수업(학습, 수준별교육과정)의 의미와 특징, 수준별수업(학습, 수준별교육과정) 도입배...
수업관찰과 수업분석 목적, 수업관찰과 수업분석 특징, 수업관찰과 수업분석 주안점, 수업관...
[정보소양][정보소양능력개발][정보소양능력]정보소양의 개념, 정보소양의 가치, 정보소양의 ...
[수업설계][수업설계 전개][수업설계 유의점][수업설계 제고과제]수업설계의 개념, 수업설계...
[정보소양][정보소양 능력개발]정보소양의 정의, 정보소양의 필요성, 정보소양의 구성요소, ...
6학년) 국어 (수업실습 교수 ; 학습 계획) - 7. 문학의 향기 : 이야기를 희곡으로 바꾸어 쓰...
아동문학 모의수업 교육, 6세(만4세), 동화(어둠을 무서워하는 꼬마 박쥐), 교육과정 관련요...
[유아 언어, 문학] 동화책(뼈) 뼈 위에 그림 그리기, 모의수업
문학 활동을 통한 유아 수학 교육 모의수업 활동 계획안, 리디아의 정원 동화책을 통해 생일 ...
문학활동을 통한 과학 활동, 그래프 배우기(모의수업 교육 활동 계획안)
아동문학 수업에서 제시된 그림책이나 칼데콧상 케이트그린어웨이상 등 세계우수도서상을 수...
주홍글씨 - 나다니엘 호손, 영미문학과 문화 수업 [A+]
[수업지도안] 고등학교 1학년 과학 3 물질 (2) 산과 염기 (5 인과의 원리 적용을 위한 교수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