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시기 요약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민지시기 요약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문단통치
2.문화통치
3.민족말살통치
4.년대별 통치방법

본문내용

ㆍ성균관 → 경학원으로 개편(1911) : 조선총독이 원장임명
유지비도 조선총독에서 지급
민족사의 왜곡 // ㆍ타율성론 // 한국사의 주체적 발전과 한반도 지역이 독립된 역사성
<식민지학론> 및 문화성 인정 안함 = 너희들은 자율×. 기생충
ㆍ만선사관 // 한반도 지역은 본래 독자적인 정치체제×
대륙에서 실패한 정치세력이 옮겨 자리 잡은 지역
목적 // 조선민족의 독립의식 말살
만주지역을 한반도와 한 덩어리로 파악 → 민주 침략이론 뒷받침
ㆍ정체, 후진성론(정체론) // 한반도의 역사는 세계사적 발전성이 결여되어
근대초기까지도 고대사회적 수준에 정체되어있음

그것을 일본이 발전시켜 줌
왜곡의목적// ㆍ일본이 문화적. 역사적 면에서도 조선보다 우위에 있다고 조작하기 위함
ㆍ식민지배에 대한 조선인의 저항력 약화시키기 위해
ㆍ역사적으로 중국, 한반도에 대한 문화적 열등감을 가지고 있는
자국민(日)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요약정리 이환철.정연진
1기 헌병경찰통치(무단통치,1910~19)
①조선총독부…최고 식민 통치 기구(총독은 행정입법사법군통수권 등 절대 권력 행사)
②헌병 경찰제…즉결 심판권, 태형 제도
→무력에 바탕을 둔 지배 방식
③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박탈
④교사들도 제복 착용, 착검
※중추원…한국인의 정치 참여 위장, 친일파 회유 목적. 31운동까지 회의가 안 열림
※105인 사건…대표적 탄압, 신민회 해산
(2기) 기만적 문화 통치(1919~31)
①배경…31운동의 민족적 저항, 세계 여론 악화
②목적…가혹한 식민 통치 은폐
친일파 양성→민족 분열책 : 자치 운동 대두
문관 총독 임명 가능
한 번도 임명 안됨
헌병 경찰 → 보통 경찰
경찰 인원, 비용 증가
언론출판집회의 자유 허용 (우리말 신문 발행)
철저한 사전 검열 제도로 언론 자유 억압
한국인 교육 기회 확대
초등, 기술 교육 치중 →
우민화 교육, 노동력 이용
③실상
3기. 민족 말살 통치(1931~45, 30년대 후반 이후 악랄해짐
①배경…만주 사변→중일 전쟁→태평양 전쟁으로 전쟁을 확대해감
②목적…한국인의 민족의식을 말살하여 전쟁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의 수탈 강화
③내용 :황국 신민화 표방…내선일체, 일선동조론 주장
신사참배, 궁성요배 등 미신적 행위 강요, 황국신민의 서사 암송
일본식 성명 강요
우리말 사용 금지, 학술언론 단체 해산(※조선어 학회 사건)
1910년대의 경제 수탈
①토지 조사 사업과 토지 약탈
목적…근대적 토지 소유권 제도를 확립한다는 명분 → 실제는 토지 약탈, 지세의 안정적 확보, 식량 공급 기지화
방법…기한부 신고제, 복잡한 구비 서류
총독부…토지 약탈(→일본 이민 증가) , 지세 수입 증가,
농민…기한부 계약에 의한 소작농화 → 영구 경작권(도지권) 상실 (소작쟁의 배경)
만주, 연해주로 이주하는 농민 증가
②산업의 침탈
회사령…허가제→민족 기업의 성장 억제
기타…광업령(허가제), 산림령, 어업령
철도, 항만, 도로 정비(수탈 목적)
1920년대 경제 수탈
①산미증식계획(1920-34)과 식량 수탈
배경…1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은 수출 감소, 쌀값 폭등으로 결제 위기에 부딪힘→한국에서 쌀 증산 추진
증산 목표 달성 실패 수탈은 계획대로→식량 사정 악화(만주 잡곡 도입), 쌀 수출항(목포, 군산), 농업구조 왜곡(쌀 중심의 단작형 농업)
농민의 이중고(쌀 수탈 + 증산 비용)→농가 부채의 증가, 식민지 지주제 강화 → 농민층의 몰락, 빈민 증가 ↔ 소작쟁의
국외 이주민 증가…민주, 연해주, 일본(노동이민)
②회사령 철폐(신고제)…일본 자본의 침투 용이하게
③일본 상품 관세 철폐…일본 상품의 한국 수출 증대→ 한국 기업의 피해
④신은행령…한국인 소유 은행을 강제로 합병
1930년대 이후의 경제 침탈
①병참 기지화 추진…세계 경제 공황 극복을 위한 침략 전쟁 → 한반도를 전쟁 수행에 필요한 군수 물자 공급 기지화
내용…군수품 생산에 필요한 중화학 공업, 광공업 위주(북부 지방)
영향…농업과 공업, 경공업과 중공업의 불균형, 가혹한 노동력 착취
②남면북양 정책…남부에는 면화, 북부에는 양을 사육 → 공업 원료 부족에 대비 일본의 방직 자본가 보호
③인적물적 수탈의 강화(중일 전쟁 이후, 1930년대 말 이후)
전쟁확대→인력과 자원에 대한 통제와 수탈 강화(국가 총동원법)
인적 자원 수탈…지원병제, 징용제, 학도 지원병제, 징병제, 정신대
물적 자원 수탈…식량 공출(배급제 실시), 산미 증식 계획 재개, 가축 증식 계획, 쇠붙이 등
전쟁 물자 공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10.10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17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