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집단 토의학습의 개념
2. 소집단 토의의 특징
3. 소집단 토의 학습의 필요성
4. 소집단 학습에서 할 수 있는 토의학습 형태
5. 소집단의 편성 및 좌석의 배치와 운영 방법
1) 소집단 편성 인원
2) 소집단 편성 형태
3) 좌석의 배치와 운영 방법
6. 소집단 토의 진행방법
1) 토의의 준비
2) 토의의 전개
3) 토의의 정리
【 참고자료 】
2. 소집단 토의의 특징
3. 소집단 토의 학습의 필요성
4. 소집단 학습에서 할 수 있는 토의학습 형태
5. 소집단의 편성 및 좌석의 배치와 운영 방법
1) 소집단 편성 인원
2) 소집단 편성 형태
3) 좌석의 배치와 운영 방법
6. 소집단 토의 진행방법
1) 토의의 준비
2) 토의의 전개
3) 토의의 정리
【 참고자료 】
본문내용
배경지식을 갖추도록 하기 위해 교사는 과제물을 부여할 수 있다.
② 토의 목표 설정 - 목표를 진술할 때는 일반 배경 지식과 논의 할 문제를 함께 진술하는 것이 좋다.
③ 토의 집단의 크기 결정 - 일반적으로 소집단의 적정 규모는 7명이다. 소집의 구성 인원수가 3명 이하일 때엔 구성원 상호간에 압력을 받기 쉽고, 8명 이상이면 구성원의 참여의식이 감소되어 정서적인 상호 작용이나 응집력이 줄어들 염려가 있다.
④ 좌석 배치 - 좌석 배치는 집단 토의 기능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 어떤 유형의 좌석 배치 이건 간에 교사를 직시하는 학생들은 가장자리에 앉은 학생들 보다 토의 참여도가 더 높다.
2) 토의의 전개
(1) 교사의 역할
토의 계획이 끝나면 토의를 전개해야 한다. 토의 학습에서 소기의 학습목표를 달성하려면 지도교사는
토의 주제를 명확하게 학습자에게 인식시켜야 한다.
학습자들이 편안한 마음으로 학습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학생들의 토의 능력을 파악하여 교과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토의 전략을 세운다.
토의 주제에 대한 철저한 사전 준비를 한다.
(2) 학습자의 역할
토의는 지도 교사의 도움을 받아 학습자 자신들이 계획하고 실천해야 하며 또한 학습자들이 각기 발표하는 모든 의견에 대하여 경청하고 존중하는 수용적 태도를 가져야 한다.
소수의 의견이라고 해서 절대로 무시하지 말아야 한다.
토의 시 사회자는 발표 기회를 골고루 제공해야 한다.
자기 의견을 간단명료하게 발표할 수 있어야 하며 평소 발표력 신장에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
자기의 의견에 집착하지 않고 토의 결과에 승복해야 한다.
3) 토의의 정리
토의 과정 및 결과의 장단점에 대하여 교사나 학생들 자신이 평가하도록 한다.
토의 결과를 노트에 정리하도록 하고 차시 학습과제를 제시 준비시킨다.
미처 예기치 못했던 내용 및 오류나 또는 토의 결론 등을 모두 기록으로 남겨 다음 수업에 참고한다.
【 참고자료 】
권낙원(1997)「토의 수업의 이론과 실제」서울: 현대교육출판
최영신(2005)「소집단 토의수업을 활용한 인물분석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가치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박용숙(2000)「소집단 토의학습 활동을 통한 말하기 지도에 관한 연구」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김두찬(2000)「小集團討議學習을 通한 數學科問題解決力 向上에 關한 硏究」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② 토의 목표 설정 - 목표를 진술할 때는 일반 배경 지식과 논의 할 문제를 함께 진술하는 것이 좋다.
③ 토의 집단의 크기 결정 - 일반적으로 소집단의 적정 규모는 7명이다. 소집의 구성 인원수가 3명 이하일 때엔 구성원 상호간에 압력을 받기 쉽고, 8명 이상이면 구성원의 참여의식이 감소되어 정서적인 상호 작용이나 응집력이 줄어들 염려가 있다.
④ 좌석 배치 - 좌석 배치는 집단 토의 기능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 어떤 유형의 좌석 배치 이건 간에 교사를 직시하는 학생들은 가장자리에 앉은 학생들 보다 토의 참여도가 더 높다.
2) 토의의 전개
(1) 교사의 역할
토의 계획이 끝나면 토의를 전개해야 한다. 토의 학습에서 소기의 학습목표를 달성하려면 지도교사는
토의 주제를 명확하게 학습자에게 인식시켜야 한다.
학습자들이 편안한 마음으로 학습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학생들의 토의 능력을 파악하여 교과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토의 전략을 세운다.
토의 주제에 대한 철저한 사전 준비를 한다.
(2) 학습자의 역할
토의는 지도 교사의 도움을 받아 학습자 자신들이 계획하고 실천해야 하며 또한 학습자들이 각기 발표하는 모든 의견에 대하여 경청하고 존중하는 수용적 태도를 가져야 한다.
소수의 의견이라고 해서 절대로 무시하지 말아야 한다.
토의 시 사회자는 발표 기회를 골고루 제공해야 한다.
자기 의견을 간단명료하게 발표할 수 있어야 하며 평소 발표력 신장에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
자기의 의견에 집착하지 않고 토의 결과에 승복해야 한다.
3) 토의의 정리
토의 과정 및 결과의 장단점에 대하여 교사나 학생들 자신이 평가하도록 한다.
토의 결과를 노트에 정리하도록 하고 차시 학습과제를 제시 준비시킨다.
미처 예기치 못했던 내용 및 오류나 또는 토의 결론 등을 모두 기록으로 남겨 다음 수업에 참고한다.
【 참고자료 】
권낙원(1997)「토의 수업의 이론과 실제」서울: 현대교육출판
최영신(2005)「소집단 토의수업을 활용한 인물분석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가치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박용숙(2000)「소집단 토의학습 활동을 통한 말하기 지도에 관한 연구」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김두찬(2000)「小集團討議學習을 通한 數學科問題解決力 向上에 關한 硏究」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키워드
추천자료
소집단 활동을 통한 봉사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소집단 이론
소집단의 의미, 소집단 활동의 필요성, 소집단 활동을 반대하는 경우, 소집단 활동을 찬성하...
토의식 수업
소집단과 팀행동분석
토의식수업에 대한 모든것
[토론][토의][토론의 분류][토론의 의의][토론의 규칙][토론의 절차][토론의 사례][토론의 활...
강의법과 토의법의 장단점
[교수기법][교수법][교육방법]강의식교수기법(교수법), 멀티미디어교수기법(교수법), 메타플...
소집단수업(teaching small group)에 대해 설명하시오.
글쓰기 수업에서의 토의의 효과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정의,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범주, ...
교수법에 대한 레포트 {강의법, 문답법, 토의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