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기법][교수법][교육방법]강의식교수기법(교수법), 멀티미디어교수기법(교수법), 메타플랜교수기법(교수법), 창의적사고교수기법(교수법), 토의탐구식교수기법(교수법), 의사소통중심교수기법(교수법)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수기법][교수법][교육방법]강의식교수기법(교수법), 멀티미디어교수기법(교수법), 메타플랜교수기법(교수법), 창의적사고교수기법(교수법), 토의탐구식교수기법(교수법), 의사소통중심교수기법(교수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강의식교수기법(교수법)
1. 강의식 교수기법의 필요성
2. 강의식 교수기법의 이론적 근거
3. 강의식 교수기법의 단계
1) <제1단계>는 학습을 위한 준비단계로서 도입(導入)의 단계
2) <제2단계>는 실제 발표 즉 강의를 하는 단계로서 전개(展開)의 단계
3) <제3단계>는 강의를 종료하고 다시 검토하는 단계로서 정리(整理)단계
4. 강의식 교수기법의 유형
1) 순수강의식
2) 담화강의식
3) 문답강의식

Ⅱ. 멀티미디어교수기법(교수법)
1. 멀티미디어 교수 기법의 이론적 근거
1) 행동주의
2) 인지주의
2. 멀티미디어 교수 기법의 의의
1) 구성주의(constructivism)
2) 사회 학습 이론
3. 멀티미디어 교수 기법의 유용성
1) 학습자 중심의 수업
2) 교수․학습 과정의 효율성
3) 현행 교육의 문제점 해결

Ⅲ. 메타플랜교수기법(교수법)
1. 메타플랜이란
2. 민주시민교육에서의 메타플랜
3. 메타플랜의 선택과 적용
4. 메타플랜 적용의 한계점

Ⅳ. 창의적사고교수기법(교수법)
1. 필요성
2. 유형
1) 귀납적 교수법
2) 속성 열거법
3) 형태분석법(형태학적 분석법)
4) 결점 열거법
3. 유의사항

Ⅴ. 토의탐구식교수기법(교수법)

Ⅵ. 의사소통중심교수기법(교수법)
1. 자연적 교수법(Natural Approach)
2. 과제 수행형 방법(Task-based Approach)
3. 전신 반응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나 문제해결이 반드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며, ② 발전적인 입장에서 교과내용을 가르치는데 불필요, 부적절하며, ③ 시간을 너무 낭비한다고 지적되고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교수자 입장에서 많은 준비를 하여야 하고, 또 이것이 잘못 운영될 경우에는 토의를 이끌어 가는 교수자에게 질문을 하게 되어 강의식과 별 차이가 없는 경우가 될 수도 있다고 한다. 또 몇몇 학습자들이 토의 현장을 독점하고 어떤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이끌어가 교수자는 마지못해 끌려가게 되며, 토의에 참여하지 못하는 일부 학습자는 실망과 소외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Ⅵ. 의사소통중심교수기법(교수법)
1. 자연적 교수법(Natural Approach)
자연적 교수법은 스페인어 교사였던 Tracy Terrell의 실제적인 교육경험과 Stephen Krashen의 이론적 접목으로 태어난 새로운 언어 교수 방법의 한 갈래이다. 이 교수법의 기본 원리는 학생의 모국어에 의존하지 않고 어린아이가 모국어를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배우는 원리를 적용하여 의사소통 상황 속에서 목표언어를 직접 사용해서 가르치는 방법이다. 이 교수법은 학생들이 목표언어에 관한 연습보다는 목표언어 자체를 가능한 많이 접촉하도록 하고 언어를 배우려고 하는 심리적 태세를 극대화하며, 발화보다는 듣기에 더 큰 비중을 둔다. 또 이해 가능한 투입의 자료로써 글이나 그림 등의 여러 가지 자료를 적극적으로 이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자연적 교수법의 특징은 이해가 우선되는 이해 중심의 교수법이라 할 수 있다. 학생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언어 자료(comprehensible input)보다 언어 구조면에서 바로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자료(+1)를 단계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접하게 함으로써 목표언어를 습득하게 하는 것이 이 교수법 원리의 근간이라 할 수 있다.
2. 과제 수행형 방법(Task-based Approach)
두 사람 간에 정보의 공백(Information Gap)을 만들어주면 이 정보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는 스스로 생각도 많이 해야 하고, 또 상대방이 가진 정보를 이용도 해야 한다. 학생에게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과제를 주고 해결하도록 요구하면 한국어를 사용하지 않고 진정한 의사소통에 매우 근접하게 영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과제 해결을 위한 활동에서 학생들은 어떤 문형 연습을 하는 것이 아니고 의미의 전달을 위해서 자신이 동원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표현들을 적극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이것은 보통의 의사소통의 모습을 충실하게 반영하는 것이고 언어를 실제로 사용하게 하는 과정이다. 학생들이 학습의 과정에 직접 참여해 본다는 경험을 축적해 나간다는 것이다. 학생들이 조별 그룹별 활동을 함으로써 학생들 개개인이 사용하는 전체적인 영어의 양이 그렇지 아니한 경우보다 훨씬 많아지게 된다.
과제 수행형 교수법은 엄밀하게 조종된(finely-tuned) 언어 자료를 투입하고 또 투입된 것이 그대로 표출되기를 기대하지 않는다. 언어자료를 엄밀하게 조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 다양한 언어 요소가 사용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하고 어떤 형태의 언어 자료가 표출되는가를 학생들의 과제 수행의 과정이나 결과를 보고 판단하는 방식을 취한다. 즉, 일상의 실제적인 의사소통의 모습과 유사한 조건을 마련하여 의사소통의 연습을 시킴으로써 외국어를 가르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3. 전신 반응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
교사는 학생이 알아들을 수 있는 정도의 목표언어를 사용하여 지시나 명령을 하고 이 지시나 명령을 받은 학생은 말로 반응을 할 필요 없이 행동으로 반응을 보이게 함으로써 목표언어를 가르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청취 이해를 강조하는 특성을 가졌으므로 이해접근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교수법은 학생들에게 말하기를 훈련시켜서 청취 이해능력이 어느 정도 길러졌다고 판단되었을 때 말하기 훈련을 시키는 것이 보다 자연스러운 언어 습득 방법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음성 언어를 이해하는 기능인 듣기는, 다른 기능으로 전이력이 가장 강하기 때문에 문자언어를 대상으로 하는 읽기나 쓰기에 앞서 먼저 가르쳐야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Postovsky는 외국어 학습의 초보단계에서의 집중적인 발화 연습은 학생의 언어 발달에 비효율적이라고 지적하면서 구어의 이해력이 충분해지기 전까지는 발화 연습을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언어 습득은 이해가 표현보다 앞서고 이해의 폭과 양이 표현의 질과 양을 훨씬 능가한다는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사실에 근거하여 영어로 말을 하라고 요구하기 전에 충분히 많은 양을 이해하도록 요구한다. 따라서 전신반응 교수법은 명령이나 지시를 영어로 하고 그것을 이해하였으면 해보라는 방식을 취한다. 교사의 명령에 의해 충분히 연습을 시키고 난 다음 학생 상호간에 이 방법을 적용시키면 학생의 말하기 연습과 이해 연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듣기 연습만 시키면 학생들이 금방 지루함을 느껴 학습 흥미를 잃게 될 가능성이 있지만, 이 방법은 교사의 명령에 대하여 학생들이 실제로 움직여 행동으로 반응을 나타내야하므로 주의력도 집중될 뿐만 아니라 자기의 성취를 행동으로 유인할 수 있어 강화의 효과가 크다. 또 직접 행동하고 만져보며 이루어지는 학습이기 때문에 보다 장기적으로 기억에 남을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김진숙,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연구, 멀티미디어 교육지원센타, 수탁연구보고 RR 97-5, 1997
2. 곽희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영어교수법, 홍익대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4
3. 임철일, 교수설계이론: 학습과제 유형별 교수전략, 서울 : 교육과학사, 2000
4. 정진현·이방자·지은정, 실과를 통한 효율적인 창의성 교육의 실천방안을 위한 실태 조사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998
5. 최휘성, 토의학습에 관한 이론적 기초, 장학자료 90호, 충청남도교육청, 1990
6. Diane Larsen-Freeman, 외국어 교육의 교수 기법과 원리, 서울 : 동인, 2003
  • 가격6,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3.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92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