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존감의 개념
2. 자존감의 형성요인
1) 중요한 타인(significant others)
2) 친구나 동요들과의 관계
3) 사회적 가치관
4) 성격적인 영향
3. 자존감이 낮은 사람의 특징
4. 낮은 자존감 회복을 위한 방안
【 참고자료 】
2. 자존감의 형성요인
1) 중요한 타인(significant others)
2) 친구나 동요들과의 관계
3) 사회적 가치관
4) 성격적인 영향
3. 자존감이 낮은 사람의 특징
4. 낮은 자존감 회복을 위한 방안
【 참고자료 】
본문내용
해 주는 일 등이 도움이 된다. '기운 내, 너는 중요한 사람이야.'라고 칭찬의 말을 하는 것은 개인에게 도움을 준다.
② 자기 이해를 발전시키도록 한다.
자신의 행동을 통찰하는 것이 항상 도움을 주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자기 분석은 사람들이 자책적이며 중요한 사실을 간과하게 하고 객관성을 잃도록 한다. 그러나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열등한 자아개념을 가진 원인을 찾도록 도와줄 것이다.
③ 자존감에 대한 성경적 견해를 함께 이야기 한다.
내담자가 열등감은 겸손과 같고 자존감은 죄 된 교만과 같다고 확신한다면 상담이 성공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반드시 크리스천에게는 인간의 가치와 자존감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을 알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④ 자기 노출과 현실적인 자기평가를 고무한다.
서로 함께 이야기 하다는 것이 자존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개인이 자신의 자아 개념을 함께 이야기한다면 다른 사람들은 그들이 지각한 대로 피드백을 줄 수 있다.
⑤ 기대와 목표와 우선권을 재평가하도록 자극한다.
목표에는 장기와 단기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장기 목표는 대체로 중요하며(예로 주택구입, 학위취득, 승진계획) 한편으로 단기목표는 보다 적극적이고 보다 쉽게 얻어질 수 있다(시험합격, 학교과제, 친구에게 자신소개). 장기 목표는 종종 너무 힘들고 도달하기 어려운 것처럼 느껴진다. 따라서 열등감을 느끼는 사람은 그러한 일에 말려들지 않으려고 한다.
⑥ 새로운 기술들을 가르친다.
때로 내담자는 새로운 기술을 익히거나 옛것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 모든 일들은 내담자가 목표를 달성하며 일을 완성하며, 혹은 직업적 목표에 도달하도록 도움을 준다. 상담자가 할일은 내담자로 하여금 학교에 다니거나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권하는 일을 포함할 수가 있다.
⑦ 집단 지지를 한다.
일단 사람들이 수용하는 일은 훨씬 자존감을 자극하고 한 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가치를 느끼도록 도움을 준다. 그러므로 집단 구성원들이 지지적이고 돕기를 원하며, 또한 그룹을 서로를 비판하고 헐뜯는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면 집단 상담은 도움이 될 수 있다.
【 참고자료 】
편영자 저(1997)「마음을 열면 길이 보인다」을유문화사
버지니아 사티어 저, 김만두 역(1995)「가족치료의 이론과 기술」홍익재
Gary R. Collins, 피현희, 이혜련 공역(2000)「크리스찬 카운슬링」서울: 도서출판 두란노
정동섭(2003)「행복의 심리학」가정과 상담. 통권 62호, 서울: 한국가정사역연구소
김현숙(2007)「자존감과 갈등해결 유형과 건강한 가정간의 상관관계 연구」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논문
조정준(2007)「낮은 자존감 회복을 위한 기독교 상담적 연구」대신대학교 신학대학원 논문
민수진(2004)「부모-자녀간 자존감관계와 부모교육의 필요성」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논문
오세길(2004)「낮은 자존감의 기독교 상담적 치유 연구」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논문
민수진(2004)「부모-자녀간 자존감관계와 부모교육의 필요성」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논문
② 자기 이해를 발전시키도록 한다.
자신의 행동을 통찰하는 것이 항상 도움을 주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자기 분석은 사람들이 자책적이며 중요한 사실을 간과하게 하고 객관성을 잃도록 한다. 그러나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열등한 자아개념을 가진 원인을 찾도록 도와줄 것이다.
③ 자존감에 대한 성경적 견해를 함께 이야기 한다.
내담자가 열등감은 겸손과 같고 자존감은 죄 된 교만과 같다고 확신한다면 상담이 성공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반드시 크리스천에게는 인간의 가치와 자존감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을 알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④ 자기 노출과 현실적인 자기평가를 고무한다.
서로 함께 이야기 하다는 것이 자존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개인이 자신의 자아 개념을 함께 이야기한다면 다른 사람들은 그들이 지각한 대로 피드백을 줄 수 있다.
⑤ 기대와 목표와 우선권을 재평가하도록 자극한다.
목표에는 장기와 단기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장기 목표는 대체로 중요하며(예로 주택구입, 학위취득, 승진계획) 한편으로 단기목표는 보다 적극적이고 보다 쉽게 얻어질 수 있다(시험합격, 학교과제, 친구에게 자신소개). 장기 목표는 종종 너무 힘들고 도달하기 어려운 것처럼 느껴진다. 따라서 열등감을 느끼는 사람은 그러한 일에 말려들지 않으려고 한다.
⑥ 새로운 기술들을 가르친다.
때로 내담자는 새로운 기술을 익히거나 옛것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 모든 일들은 내담자가 목표를 달성하며 일을 완성하며, 혹은 직업적 목표에 도달하도록 도움을 준다. 상담자가 할일은 내담자로 하여금 학교에 다니거나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권하는 일을 포함할 수가 있다.
⑦ 집단 지지를 한다.
일단 사람들이 수용하는 일은 훨씬 자존감을 자극하고 한 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가치를 느끼도록 도움을 준다. 그러므로 집단 구성원들이 지지적이고 돕기를 원하며, 또한 그룹을 서로를 비판하고 헐뜯는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면 집단 상담은 도움이 될 수 있다.
【 참고자료 】
편영자 저(1997)「마음을 열면 길이 보인다」을유문화사
버지니아 사티어 저, 김만두 역(1995)「가족치료의 이론과 기술」홍익재
Gary R. Collins, 피현희, 이혜련 공역(2000)「크리스찬 카운슬링」서울: 도서출판 두란노
정동섭(2003)「행복의 심리학」가정과 상담. 통권 62호, 서울: 한국가정사역연구소
김현숙(2007)「자존감과 갈등해결 유형과 건강한 가정간의 상관관계 연구」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논문
조정준(2007)「낮은 자존감 회복을 위한 기독교 상담적 연구」대신대학교 신학대학원 논문
민수진(2004)「부모-자녀간 자존감관계와 부모교육의 필요성」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논문
오세길(2004)「낮은 자존감의 기독교 상담적 치유 연구」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논문
민수진(2004)「부모-자녀간 자존감관계와 부모교육의 필요성」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논문
키워드
추천자료
중풍노인 대상의 회상그룹 운영 및 평가
내면화 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원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특징, 주의력 결...
소아비만의 문제점과 예방법 ppt 자료
소아비만의 문제점과 예방법 ppt 자료
[틱장애]틱장애(뚜렛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 -틱장애아동의 실례를 통한 틱장애의...
학생 미혼모의 학습권 보장 방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가정폭력,폭력,가정문제,사회문제,가정
사티어의 5가지 의사소통 유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ADHD의 원인과 ADHD의 치료방법 및 교육방법 조사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 (Attention-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심리학으로 풀어쓴 영화 '샤인' 감상문
사회복지실천론-인터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