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티어가 말하는 경험적 가족치료 개념
2.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의 5가지 의사소통 유형
3.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의 성장 의사소통 기법
참고문헌
2.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의 5가지 의사소통 유형
3.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의 성장 의사소통 기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성적으로 의사소통할 때는될 수 있으면 실수 없이 말하고 생각하려고 하기 때문에 때로는 의미를 이해할 수 없는 말을 상당히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경향이 있다. 즉, 이들은 상황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넷째, 산만형은 지나치게 즐거워하거나 익살맞은 행동을 하여서, 오히려 의사소통이 혼란한 것을 말한다. 산만형의 의사소통을 사용하는 사람은 위협을 무시하고 마치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행동하므로 주위를 혼란시킨다. 행동과 말은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말과는 무관하다. 어느 곳에도 초점이 맞추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말의 의미나 내용도 없이 혼자 바쁘고 산만하다. 다섯째, 일치형은 나 스스로가 주체적으로 다른 사람과 관계를 갖고 접촉하고 직접적으로 사람과 연결을 맺는 것을 의미한다. 기능적이며 원만함, 책임감, 정직성, 친근감, 능력, 창의성, 현실문제를 바람직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의 의사소통을 말한다. 일치형의 사람은 자신과 다른 사람을 돌보고 현재의 상황을 아는 위치에서 반응하기를 원한다(Nichols, 2001).
참고문헌
김혜숙, 가족치료이론과 기법, 학지사, 2004.
최경석 외 공저, 한국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복지, 2001
참고문헌
김혜숙, 가족치료이론과 기법, 학지사, 2004.
최경석 외 공저, 한국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복지, 200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