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바로크 음악(17 - 18세기 중기)
2. 고전 음악 (18세기)
3. 낭만 음악 - 19세기 전반(전기 낭만파)
4. 후기 낭만파 (19세기 말 - 20세기 초)
2. 고전 음악 (18세기)
3. 낭만 음악 - 19세기 전반(전기 낭만파)
4. 후기 낭만파 (19세기 말 - 20세기 초)
본문내용
의 낭만파 음악가
도니체티(Donizetti,1797-1848: 이탈리아), 베르디(Verdi,1813-1901: 이탈리아), 오펜바흐(Offenbach, 1819-1880: 프랑스),
⑦ 슈트라우스(Strauss, 1825 - 1899: 오스트리아), 포스터(Foster, 1826-1864: 미국), 사라사테(Sarasate, 1844-1908: 스페인)
⑧ 국민악파 음악
후기 낭만파 음악 시대에 싹트기 시작하여 하나의 큰 물결을 이룬 국민악파 음악은 민족적인 음악의 소재를 발전시켜 민족주의적 음악 이념과 양식을 구축하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⑨ 글린카(M.I.Glinka, 1804-1857) 러시아
<러시아 국민악파의 아버지>
작품 : 오페라<황제에게 바친 목숨> 서곡: <호타 아라고네즈>등
⑩ 보로딘(A.P.Borodin, 1833-1887) 러시아.
의학 박사이며 작곡가
작품 : 교향시<중앙 아시아의 초원에서>, 가극<이고르 공>, 교향곡 등
⑪ 무소르그스키(M.P.Musorgsky, 1839-1881)러시아.
인상파적인 경향이 강하다.
작품 : 교향시<민둥산의 하룻밤>, 모음곡<전람회의 그림>,. 가극<보리스 고두노프>등
⑫ 림스키코르샤코프(N.A.Rimsky-Korsakov 1844-1908) 러시아.
<관현악법의 대가>
작품 : 교향 모음곡<세헤라자데>, <스페인 기상곡>, 가극<사드코>, <금계> 등
⑬ 발리키레프(M.A. Balakirew 1837-1910) 러시아.
국민악파 5인조의 지도자.
작품 : 교향시<타마라>, 부수 음악 <리어왕> 등
⑭ 스메타나(B.Smetana 1824-18840) 체코슬로바키아(보헤미아).
국민음악의 아버지.
작품 : 교향시<나의 조국> 오페레타<팔려간 신부>
⑮ 드보르작(A.Dvorak,1841- 1904 ) 체코슬로바키아.
스메타나에 이어 보헤미아의 국민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
작품 : 교향곡<신세계> 현악4중주<아메리카> 모음곡<슬라브 무곡> 등
그리그(E.H.Grieg 1843-1907) 노르웨이,
그의 음악은 낭만에 가까우나 고유의 향토색을 강하게 나타냄. 북 유럽의 어두움과 서정성을 고전적인 구성으로 표현하였다.
작품 : 모음곡<페르귄트>, <피아노 협주곡 가단조>, <노르웨이 춤곡>등.
시벨리우스(J.Sibelius, 1865-1957) 핀란드.
핀란드 국민악파의 창시자
작품 : 교향시<핀란디아> 교향곡 7곡 등
도니체티(Donizetti,1797-1848: 이탈리아), 베르디(Verdi,1813-1901: 이탈리아), 오펜바흐(Offenbach, 1819-1880: 프랑스),
⑦ 슈트라우스(Strauss, 1825 - 1899: 오스트리아), 포스터(Foster, 1826-1864: 미국), 사라사테(Sarasate, 1844-1908: 스페인)
⑧ 국민악파 음악
후기 낭만파 음악 시대에 싹트기 시작하여 하나의 큰 물결을 이룬 국민악파 음악은 민족적인 음악의 소재를 발전시켜 민족주의적 음악 이념과 양식을 구축하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⑨ 글린카(M.I.Glinka, 1804-1857) 러시아
<러시아 국민악파의 아버지>
작품 : 오페라<황제에게 바친 목숨> 서곡: <호타 아라고네즈>등
⑩ 보로딘(A.P.Borodin, 1833-1887) 러시아.
의학 박사이며 작곡가
작품 : 교향시<중앙 아시아의 초원에서>, 가극<이고르 공>, 교향곡 등
⑪ 무소르그스키(M.P.Musorgsky, 1839-1881)러시아.
인상파적인 경향이 강하다.
작품 : 교향시<민둥산의 하룻밤>, 모음곡<전람회의 그림>,. 가극<보리스 고두노프>등
⑫ 림스키코르샤코프(N.A.Rimsky-Korsakov 1844-1908) 러시아.
<관현악법의 대가>
작품 : 교향 모음곡<세헤라자데>, <스페인 기상곡>, 가극<사드코>, <금계> 등
⑬ 발리키레프(M.A. Balakirew 1837-1910) 러시아.
국민악파 5인조의 지도자.
작품 : 교향시<타마라>, 부수 음악 <리어왕> 등
⑭ 스메타나(B.Smetana 1824-18840) 체코슬로바키아(보헤미아).
국민음악의 아버지.
작품 : 교향시<나의 조국> 오페레타<팔려간 신부>
⑮ 드보르작(A.Dvorak,1841- 1904 ) 체코슬로바키아.
스메타나에 이어 보헤미아의 국민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
작품 : 교향곡<신세계> 현악4중주<아메리카> 모음곡<슬라브 무곡> 등
그리그(E.H.Grieg 1843-1907) 노르웨이,
그의 음악은 낭만에 가까우나 고유의 향토색을 강하게 나타냄. 북 유럽의 어두움과 서정성을 고전적인 구성으로 표현하였다.
작품 : 모음곡<페르귄트>, <피아노 협주곡 가단조>, <노르웨이 춤곡>등.
시벨리우스(J.Sibelius, 1865-1957) 핀란드.
핀란드 국민악파의 창시자
작품 : 교향시<핀란디아> 교향곡 7곡 등
추천자료
서양음악사 (고전주의시대 - 낭만주의시대 - 현대시대)
서양음악사레포트
[서양음악사] 서양음악사 시험대비 완벽정리 노트
서양음악사 (중세~바로크)요약정리
[서양음악사][고대음악][중세음악][르네상스음악][바로크음악][고전주의음악][낭만주의음악][...
[서양음악사]바로크음악과 고전음악의 비교
[서양음악][근대음악][중세음악][바로크시대음악][고전주의음악][낭만주의음악][현대음악]서...
다성음악의발달과정,다성음악과화성음악의차이,서양음악사,그레고리오성가,아르스노바,음악용...
민족주의의 표출 수단으로서의 음악사 탐구 - 서양음악사와 한국음악사 비교를 중심으로
서양의 궁정음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