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문헌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위의 해부 및 구조

2. 위의 기능

3. 위암의 정의

4. 위암의 원인

5. 위암의 증상

6. 진단검사

7. 치료

<수술 전후 간호>

1. 수술 전 간호

2. 수술 후 간호

3. 퇴원교육

본문내용

복용 금지
5) 최적의 영양상태 유지 (상처치유 기간 단축시킴)
6) 액체와 전해질의 균형 (Levin tube를 통해 흡인 하는 경우 주의)
7) skin prep: 유두 선부터 치골 선까지 소독과 삭모를 하고, 절상은 흔히 우측 상부 4분 원(RUQ) 혹은 중앙선에 만든다.
8) 항상제 투약
9) blood prep
10) 소변줄은 수술실에서 마취 후 삽입
2. 수술 후 간호
1) 항혈전 스타킹 착용
2) Lung care
- inspirometer 사용 격려
- deep breathing 격려
- active coughing (위전절제술 환자는 금기)
3) Position
- 상체를 15도 정도 세움
- 2시간 간격 체위 변경
- 하지 운동
4) early ambulation (장 운동 자극 위해)
5) Pain control 해주기
- IV PCA, PRN 진통제 등
6) O2 inhalation
- 고령환자나 증상호소 환자에 한해 시행
7) 수술 창상관리
- 드레싱 관찰 및 교환
- 수술부위 woozing 등 확인
4) 수술 후 gas out, 배뇨 및 배변 확인
5) 식이관리
- gas out 될 때까지 금식
- POD 4~5인 경우(gas out된 경우), 죽을 2-3일 정도 먹음
& 그 이후 연식으로 조금씩 자주 먹으면서, 천천히 식사하는 습관 가짐
& 수술 후 영양보충을 위해서 평소부터 철분과 칼슘이 많이 포함된 음식물 섭취
- gas out 되지 않은 경우에는 Physical exam 시행 → simple abdomen 찍기
→ gas 차있으면 완하제로 관장
- 위 절제술 후 느낄 수 있는 불편감, 덤핑 증후군이 나타나는지 관찰 및 사정
3. 퇴원교육
- 정기검진을 하여 재발 조기발견 할 수 있도록 하기
(조기위암의 경우 약 6개월에서 1년마다 / 진행성위암의 경우 약 6개월마다 / 재발의 고위험군의 경우는 약 3개월마다 정기적인 진찰과 적절한 검사받음)
- 외래 F/U까지 죽 먹도록 하기
- 복대는 퇴원 후 한 달이상 착용
- 통목욕은 상처 벌어짐 방지하기 위해 2달간 제한
- 위전절제술 받은 환자는 Vit. B12를 연 2~4회 정도 injection할 필요가 있음
<참고문헌>
전시자 외 공저(2007).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www.kmle.co.kr
http://www.healthkorea.net/HealthInfo/?kspid=HI000299&disease=52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0.24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3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