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그루폰 주제 선정 배경
2. 그루폰의 성공(미국 시장)
2.1 그루폰의 탄생
2.2 마케팅 관리과정을 통해 본 그루폰의 성공 요인
2.2.1 SWOT 분석
2.2.2 그루폰의 목표
2.2.3 표적시장전략 분석
2.2.4 마케팅 믹스 분석
2.2.5 마케팅 활동의 실행 및 통제 분석
2.3 그루폰의 미국 내 성과와 세계시장 진출
2.3.1 그루폰의 미국 내 성과
2.3.2 세계시장 진출
3. 그루폰의 도전(한국 시장)
3.1 그루폰 코리아의 탄생
3.2 마케팅 관리과정을 통해 본 그루폰 코리아의 도전
3.2.1 SWOT 분석
3.2.2 그루폰 코리아의 목표
3.2.3 표적시장전략 분석
3.2.4 마케팅 믹스 분석
3.2.5 마케팅 활동의 실행 및 통제 분석
3.3 그루폰 코리아의 성과와 향후 전망
4. 그루폰, 소셜커머스의 미래를 말하다
2. 그루폰의 성공(미국 시장)
2.1 그루폰의 탄생
2.2 마케팅 관리과정을 통해 본 그루폰의 성공 요인
2.2.1 SWOT 분석
2.2.2 그루폰의 목표
2.2.3 표적시장전략 분석
2.2.4 마케팅 믹스 분석
2.2.5 마케팅 활동의 실행 및 통제 분석
2.3 그루폰의 미국 내 성과와 세계시장 진출
2.3.1 그루폰의 미국 내 성과
2.3.2 세계시장 진출
3. 그루폰의 도전(한국 시장)
3.1 그루폰 코리아의 탄생
3.2 마케팅 관리과정을 통해 본 그루폰 코리아의 도전
3.2.1 SWOT 분석
3.2.2 그루폰 코리아의 목표
3.2.3 표적시장전략 분석
3.2.4 마케팅 믹스 분석
3.2.5 마케팅 활동의 실행 및 통제 분석
3.3 그루폰 코리아의 성과와 향후 전망
4. 그루폰, 소셜커머스의 미래를 말하다
본문내용
다.
한편, 그루폰코리아는 최근 일각에서 나오고 있는 국내시장 조기철수 설에 대해서는 “한국 시장진입 초기단계에서 그루폰의 철수를 논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향후 글로벌 기업으로서 좋은 성과를 낼 것이며 한국시장을 세계적인 소셜커머스의 장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3.2.3 표적시장전략 분석
3.2.4 마케팅 믹스 분석
3.2.5 마케팅 활동의 실행 및 통제 분석
3.3 그루폰 코리아의 성과와 향후 전망
소비자들에겐 그루폰이 기업가치 28조 원의 영향력 있는 업체라는 사실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대다수 소비자들은 소셜커머스 선택 시 얼마나 매력적인 상품이 얼마나 싼 값에 판매되느냐가 그 척도라고 말한다. 따라서 신생 업체인 그루폰코리아의 과제는 세계적인 소셜커머스 업체를 모태로 둔 업체로서 상품 선정에 혜안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조언한다.
이제는 ‘차별화’에 승부를 걸어볼 때다. 파이는 한정돼 있는데 고만고만한 맛집을 소싱해 할인해 주는 모델로는 더 이상 주목을 끌기 어렵기 때문이다. 위메이크프라이스닷컴, 티켓몬스터 등 업계에서 인지도를 높인 업체를 비롯해 신세계, 다음커뮤니케이션 등 대기업과 경쟁하려면 더욱 그렇다.
4. 그루폰, 소셜커머스의 미래를 말하다
사업의 성공은 결국 소비자에 달려 있다. 때문에 이용자들의 이기심을 맘껏 충족시키는 소셜 커머스는 성공하지 않을 수 없다. 많은 전문가들 역시 국내외 인터넷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연구되어진 지난 5년 동안 만난 서비스들 중에서 가장 위력적인 사업 모델로 그루폰 형태의 소셜 커머스를 든다.
보는 눈이 비슷하기에, 한국에서도 얼마 전부터 그루폰 유사 서비스들이 경쟁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그루폰이 등장한 이후 무려 400여개 이상의 유사 서비스들이 쏟아진 바 있는데, 국내에서도 만만치 않은 붐이 일고 있다. 정말, 닷컬 시절 이후에 해외의 특정 서비스를 카피한 유사 서비스들이 이렇게 많이 쏟아진 적은 처음인 거 같다.
국내 서비스들만 꼽아도 티켓몬스터(ticketmonster.co.kr), 딜즈온(dealson.co.kr), 위폰(wipon.co.kr), 쿠폰(coopon.co.kr), 쇼킹온(showkingon.com), 키위(qiwi.co.kr), 데일리픽(dailypick.co.kr), 할인의추억(couponmemory.com), 슈가딜(sugardeal.co.kr), 파티윈(partywin.co.kr), 반토막티켓(bantomak.co.kr), 원데이플레이스(onedayplace.com), 체리데이(cherryday.co.kr), 쿠팡(coupang.com), 하프바코드(halfbarcode.co.kr) 등이 현재 서비스를 하고 있거나 곧 개시할 예정이다.
이런 소셜 커머스 서비스는 한국에서도 분명히 성공할 사업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이 모든 업체가 다 성공할 수는 없다. 문제는 “승자의 자리를 누가 차지할 것인가?”이다. 그 주인공이 과연 그루폰이 될 수 있을까?
그렇다면 향후 1위 자리를 차지할 서비스의 조건은 무엇일까? 워낙 심플한 모델이기에 겉모습은 다들 비슷해 보인다. 하지만 보이는 측면보다 보이지 않는 측면을 봐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브랜드력과 딜의 품질 및 딜에 대한 AS이다. 파격적인 할인에 구매하는 만큼 이용자 입장에서는 제대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지 의심을 가질 수 밖에 없고, 이용자가 홀대를 받았다고 생각할 경우 업체와의 잡음이 일어나기 쉽다. 분명히 이용자 및 업체와의 잡음으로 인해 문을 닫는 서비스도 생길 것이다. 딜을 구매한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도록 딜의 품질을 개런티하고, 문제 발생시 업체/이용자 불만이 없도록 신속하게 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이 사업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 브랜드 경쟁이 될 것이다. 때문에 그루폰의 강세는 앞으로도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그루폰의 경쟁우위가 세계 1위의 소셜커머스라는 브랜드 가치와 경제적 안정감에 있기 때문이다.
소셜 미디어를 잘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직 국내 서비스들 중에서 소셜 미디어를 제대로 활용하는 서비스는 없어 보인다. 그러한 이유에는 해외와는 달리 국내에서 트위터, 페이스북이 아직 완전히 대중화된 서비스가 아니라는 점도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도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크게 성장하고 있으므로 앞으로는 이 두 서비스를 잘 활용하는 게 점점 중요해질 것이다. 또한 기존의 한국적인 커뮤니티(독특한 게시판 문화), 블로그, 포털, 싸이월드 등을 활용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낸다면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그루폰의 경우 이용자 성별 통계를 보면 여성 이용자가 77%, 남성 이용자는 23%에 불과하다. 한국의 경우에도 비슷한 경향을 보일 것으로 추측된다. 구매 연령층의 경우 18~34세의 이용자가 68%를 차지하고 있다. 결국, 국내의 경우에도 젊은 싱글 여성이 주고객층이 될 것이며 그들을 사로잡은 서비스가 승리하게 것이다.
마지막 요인으로, 모바일에서의 경쟁에서 앞서가는 것도 중요하다. 그루폰의 딜은 기본적으로 충동 구매를 전제로 한다. 알지 못했으면 구매하지 않았을 딜을 파격적인 할인에 혹하여 구매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바일을 통해 딜을 확인하는 즉시 구매를 할 수 있다면 더욱 효과적일 수 밖에 없다. 모바일의 즉시성(리얼타임)을 잘 활용하는 서비스가 유리할 것이다. 경쟁사들보다 앞서서 모바일 서비스를 제시한 그루폰의 우위는 모바일 경쟁에서도 드러난다.
정말 오랜만에 우리는 대단한 사업 모델을 만났다. 이것이야말로 돈이 오고 가는 진짜 비즈니스다. 10만명의 이용자를 확보해도 여전히 돈이 안 되는 그렇고 그런 서비스가 아닌 것이다. 이용자 하나하나가 다 돈을 벌어준다. 이미 성공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엄청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파워가 실감이 안 난다면 지금 그루폰에 접속해보자. 그 파격적인 가격으로 인해 구매의 유혹을 뿌리치기 힘들 것이다. 바로 그러한 중독성에 이 사업의 비밀이 있다. 그루폰은 이용자들이 찾아올 수 밖에 없고 돈을 쓸 수 밖에 없는 그런 서비스인 것이다.
한편, 그루폰코리아는 최근 일각에서 나오고 있는 국내시장 조기철수 설에 대해서는 “한국 시장진입 초기단계에서 그루폰의 철수를 논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향후 글로벌 기업으로서 좋은 성과를 낼 것이며 한국시장을 세계적인 소셜커머스의 장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3.2.3 표적시장전략 분석
3.2.4 마케팅 믹스 분석
3.2.5 마케팅 활동의 실행 및 통제 분석
3.3 그루폰 코리아의 성과와 향후 전망
소비자들에겐 그루폰이 기업가치 28조 원의 영향력 있는 업체라는 사실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대다수 소비자들은 소셜커머스 선택 시 얼마나 매력적인 상품이 얼마나 싼 값에 판매되느냐가 그 척도라고 말한다. 따라서 신생 업체인 그루폰코리아의 과제는 세계적인 소셜커머스 업체를 모태로 둔 업체로서 상품 선정에 혜안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조언한다.
이제는 ‘차별화’에 승부를 걸어볼 때다. 파이는 한정돼 있는데 고만고만한 맛집을 소싱해 할인해 주는 모델로는 더 이상 주목을 끌기 어렵기 때문이다. 위메이크프라이스닷컴, 티켓몬스터 등 업계에서 인지도를 높인 업체를 비롯해 신세계, 다음커뮤니케이션 등 대기업과 경쟁하려면 더욱 그렇다.
4. 그루폰, 소셜커머스의 미래를 말하다
사업의 성공은 결국 소비자에 달려 있다. 때문에 이용자들의 이기심을 맘껏 충족시키는 소셜 커머스는 성공하지 않을 수 없다. 많은 전문가들 역시 국내외 인터넷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연구되어진 지난 5년 동안 만난 서비스들 중에서 가장 위력적인 사업 모델로 그루폰 형태의 소셜 커머스를 든다.
보는 눈이 비슷하기에, 한국에서도 얼마 전부터 그루폰 유사 서비스들이 경쟁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그루폰이 등장한 이후 무려 400여개 이상의 유사 서비스들이 쏟아진 바 있는데, 국내에서도 만만치 않은 붐이 일고 있다. 정말, 닷컬 시절 이후에 해외의 특정 서비스를 카피한 유사 서비스들이 이렇게 많이 쏟아진 적은 처음인 거 같다.
국내 서비스들만 꼽아도 티켓몬스터(ticketmonster.co.kr), 딜즈온(dealson.co.kr), 위폰(wipon.co.kr), 쿠폰(coopon.co.kr), 쇼킹온(showkingon.com), 키위(qiwi.co.kr), 데일리픽(dailypick.co.kr), 할인의추억(couponmemory.com), 슈가딜(sugardeal.co.kr), 파티윈(partywin.co.kr), 반토막티켓(bantomak.co.kr), 원데이플레이스(onedayplace.com), 체리데이(cherryday.co.kr), 쿠팡(coupang.com), 하프바코드(halfbarcode.co.kr) 등이 현재 서비스를 하고 있거나 곧 개시할 예정이다.
이런 소셜 커머스 서비스는 한국에서도 분명히 성공할 사업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이 모든 업체가 다 성공할 수는 없다. 문제는 “승자의 자리를 누가 차지할 것인가?”이다. 그 주인공이 과연 그루폰이 될 수 있을까?
그렇다면 향후 1위 자리를 차지할 서비스의 조건은 무엇일까? 워낙 심플한 모델이기에 겉모습은 다들 비슷해 보인다. 하지만 보이는 측면보다 보이지 않는 측면을 봐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브랜드력과 딜의 품질 및 딜에 대한 AS이다. 파격적인 할인에 구매하는 만큼 이용자 입장에서는 제대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지 의심을 가질 수 밖에 없고, 이용자가 홀대를 받았다고 생각할 경우 업체와의 잡음이 일어나기 쉽다. 분명히 이용자 및 업체와의 잡음으로 인해 문을 닫는 서비스도 생길 것이다. 딜을 구매한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도록 딜의 품질을 개런티하고, 문제 발생시 업체/이용자 불만이 없도록 신속하게 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이 사업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 브랜드 경쟁이 될 것이다. 때문에 그루폰의 강세는 앞으로도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그루폰의 경쟁우위가 세계 1위의 소셜커머스라는 브랜드 가치와 경제적 안정감에 있기 때문이다.
소셜 미디어를 잘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직 국내 서비스들 중에서 소셜 미디어를 제대로 활용하는 서비스는 없어 보인다. 그러한 이유에는 해외와는 달리 국내에서 트위터, 페이스북이 아직 완전히 대중화된 서비스가 아니라는 점도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도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크게 성장하고 있으므로 앞으로는 이 두 서비스를 잘 활용하는 게 점점 중요해질 것이다. 또한 기존의 한국적인 커뮤니티(독특한 게시판 문화), 블로그, 포털, 싸이월드 등을 활용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낸다면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그루폰의 경우 이용자 성별 통계를 보면 여성 이용자가 77%, 남성 이용자는 23%에 불과하다. 한국의 경우에도 비슷한 경향을 보일 것으로 추측된다. 구매 연령층의 경우 18~34세의 이용자가 68%를 차지하고 있다. 결국, 국내의 경우에도 젊은 싱글 여성이 주고객층이 될 것이며 그들을 사로잡은 서비스가 승리하게 것이다.
마지막 요인으로, 모바일에서의 경쟁에서 앞서가는 것도 중요하다. 그루폰의 딜은 기본적으로 충동 구매를 전제로 한다. 알지 못했으면 구매하지 않았을 딜을 파격적인 할인에 혹하여 구매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바일을 통해 딜을 확인하는 즉시 구매를 할 수 있다면 더욱 효과적일 수 밖에 없다. 모바일의 즉시성(리얼타임)을 잘 활용하는 서비스가 유리할 것이다. 경쟁사들보다 앞서서 모바일 서비스를 제시한 그루폰의 우위는 모바일 경쟁에서도 드러난다.
정말 오랜만에 우리는 대단한 사업 모델을 만났다. 이것이야말로 돈이 오고 가는 진짜 비즈니스다. 10만명의 이용자를 확보해도 여전히 돈이 안 되는 그렇고 그런 서비스가 아닌 것이다. 이용자 하나하나가 다 돈을 벌어준다. 이미 성공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엄청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파워가 실감이 안 난다면 지금 그루폰에 접속해보자. 그 파격적인 가격으로 인해 구매의 유혹을 뿌리치기 힘들 것이다. 바로 그러한 중독성에 이 사업의 비밀이 있다. 그루폰은 이용자들이 찾아올 수 밖에 없고 돈을 쓸 수 밖에 없는 그런 서비스인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미국내 스포츠 마케팅
삼성전자의 해외시장진출 마케팅 및 경영전략 성공사례
노키아의 세계시장 마케팅 전략 완벽 분석
현대자동차 미국시장진출 & 발전방향
SM엔터테인먼트 중국시장진출 마케팅전략분석
코스트코(COSTCO) 한국시장진출 마케팅전략분석 및 코스트코 브랜드전략과 코스트코 마케팅전...
까르푸 한국시장진출 마케팅실패 사례분석및 까르푸 국내시장재진입위한 마케팅전략 제안
iriver 미국 시장진출분석
하나은행 중국시장진출 마케팅전략분석과 하나은행 STP,4P전략 분석
아디다스 마케팅전략/서론/ 스포츠 시장환경분석/자사분석/아디다스 한국시장진출/아디다스 ...
스무디킹 해외진출 마케팅전략분석과 스무디킹 경영전략분석과 나의의견 (스무디킹 헝가리시...
이니스프리(innisfree) 해외시장진출 (중국,인도) 마케팅전략분석과 이니스프리 브랜드분석 ...
켈로그의 미국시장진출 성공사례와 인도시장진출 실패사례
더페이스샵 vs 설화수 중국시장진출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 설화수 vs 더페이스샵 브랜드 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