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구성주의의 개념

Ⅱ. 구성주의의 필요성

Ⅲ. 구성주의 교수 학습 원칙

Ⅳ. 구성주의 학습의 효과

Ⅴ. 구성주의 평가

Ⅵ. 구성주의의 교육에 적용
1. 구성주의 학습환경
2. 구성주의와 열린교육
3. 구성주의와 자기주도적 학습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주도적 학습이나 구성주의 모두 학습자 주도적 학습을 강조하지만, 그것이 곧 교사 역할의 축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 역할의 변화를 말한다는 점이다. 구성주의에서의 교사는 이전의 지식전달자로서의 역할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자신들의 관심, 수준, 배경을 적용하여 구체적인 학습내용, 방향, 깊이를 결정해 나갈 수 있도록 학습환경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그것은 학습을 전개할 과제나 문제를 제공하는 역할을 의미한다. 이어서 학생들이 주어진 과제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데 필요한 학습자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학습을 개인적으로 혹은 협동적으로 이루어나갈 때 그 안에 ‘참여적 관찰자’의 입장으로 참여하여 그들의 학습방향의 길잡이가 되고, 그들의 사고를 촉진시키고 인지적 혼란(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한 전단계)을 일으키기 위한 질문을 던지고, 그들의 질문에 답변을 해야한다. 그럼으로써 교사 자신도 다루는 학습내용에 대하여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같이 배우는 자, 같이 탐색하는 자로서의 역할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학생들과의 대화에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그들의 생각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배우고 이해하게 되면서, 그들의 ‘멘토’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구성주의 학습환경에서 학생들의 경우, 이전에 수동적으로 주어진 지식을 습득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스스로 학습의 주인의식을 지니고, 주어진 과제나 문제에 대하여 자신의 목소리, 생각, 관심을 반영시켜서 전개할 수 있어야 하며, 나아가 개인적으로 이루어지던 학습형태에서 벗어나, 다른 학생들과 같이 학습하는 모둠학습을 경험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어떤 방식으로든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에 학생들이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서, 엄밀한 의미에서 학습과정에 대한 주인의식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학생들로 하여금 경험하게 하는 것은 학습의 자율성이 위임되는 만큼 학습의 책임성이 동반된다는 사실이다. 바로 이런 점으로 인해, 간혹 구성주의 학습환경에 처음 접하는 학생들은 학습초기 과정에는 자신들에게 부여되는 이러한 책임감이 주는 부담감으로 인해, 구성주의 학습환경에 대하여 불만을 토로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단지 학생들이 이런 학습환경에 익숙하지 못해서 오는 불편함, 스스로 학습의 주인이 되어야 하는 데서 오는 부담감으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교사의 입장에서는 학생의 변화를 기다리는 인내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한국심리학회(2006) 현대 심리학의 이해. 학문사
Gleitman(2005)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황정규 편(2004) 현대 교육심리학의 쟁점과 전망교육과학사
강인애(2003) 우리 시대 구성주의, 문음사
김무길(2005) 구성주의와 듀이 지식론의 관련성: 재해석, 교육철학. 제34집. 23-43
김용신 외(2006) 사회과 교육의 논리, 교육과학사
김재춘(2000) 구성주의 이론에 나타난 학생의 지식 구성 능력의 비판적 검토, 교육과정연구
목영해(1998) 구성주의의 본질적 측면에 대한 몇 가지 고찰, 교육학연구. 36(1). 171-186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10.29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35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