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A형] 국내외 유아교육기관의 역사를 설명(국내 국외 유아교육기관의 변천과정 및 역사) [유아교육기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A형] 국내외 유아교육기관의 역사를 설명(국내 국외 유아교육기관의 변천과정 및 역사)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아교육기관이란
1) 유치원
2) 어린이집
3) 놀이학교(학원)

2. 외국 유아교육기관의 변천과정 및 역사
1) 미국 유아교육기관의 변천과정 및 역사
2) 스웨덴 유아교육기관의 변천과정 및 역사
3) 영국 유아교육기관의 변천과정 및 역사
4) 프랑스 유아교육기관의 변천과정 및 역사

3.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기관의 변천과정 및 역사
1) 우리나라 유치원의 변천과정 및 역사
(1) 도입기(1897~1954)
(2) 침체기(1945~1961)
(3) 공교육 준비기(1962~1980)
(4) 공교육 확대기(1981~현재)
2) 우리나라 어린이집의 변천과정 및 역사
(1) 유아교육과 보육의 이원화(1897~1921)
(2) 구호적인 차원의 어린이집(1949~1960)
(3) 아동복지시설로서의 위치 확대기(1961~1970)
(4) 새마을 유아원(1976~1983)
(5) 어린이집(1991~현재)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르도록 하고 시설 설립을 권장하였다. 이렇듯 유치원의 유아교육은 ‘교육법'의 적용을, 영유아보육은 '아동복리법'의 적용을 받게 되어 법적인 이원화체제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전혀 다른 성격의 법령에 기준하여 두 기관은 확연하게 이원화로 구분된 것이다. 1970년대에는 국제 경제발전에 힘입어 유아교육부문이 많은 발전을 하게 되면서 정부에서도 유아교육에 대한 여러 계획들을 수립하고 지원책을 다각도로 펴는 확대기가 시작되었다.
(4) 새마을 유아원(1976~1983)
1976년에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5개가 설치되었고, 1979년에는 유치원교사에게도 호봉제가 실시되었다. 1981년 아동복리법을 개정하여 입법된 아동복지법은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보편주의에 입각한 서비스의 전문화를 지향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한편 1981년 제 5공화국이 들어서면서 정부는 복지국가 건설을 국정이념으로 삼고, 그 일환으로 유아교육진흥정책을 추진하였다. 1982년 12월 31일 유아교육의 진흥을 정책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법적인 기반을 확고히 마련하고자 법률 제 3635호로 ‘유아교육진흥법’이 제정ㆍ공포되었으며, 이어서 1983년에는 동법 시행령이 공포되었다. 이로 인해 문교부 관장의 유치원을 제외한 다원화 되어 있는 보육 시설들이 내무부 산하의 ‘새마을 유아원’으로 명칭을 통일하였고, 학령 전 유아의 교육과 보호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시설로 전국적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때부터 유아교육기관은 크게 문교부산하 공ㆍ사립유치원과 내무부산하 새마을 유아원으로 이원화되었다.
(5) 어린이집(1991~현재)
1991년 ‘영ㆍ유아보육법’이 제정되면서 보호와 더불어 교육의 성격까지도 포함한 통합적인 형태의 보육이 이루어졌다. 이때 잠시 교육부의 유치원, 내무부의 새마을 유아원, 보건복지부의 어린이집으로 삼원화가 되었으나 1993년 ‘영ㆍ유아보육법’의 부칙에 따라 새마을 유아원이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 가운데 택일하여 전환해야 했으므로 1994년부터는 다시 교육부 관할의 유치원과 보건복지부 관할의 어린이집으로 구성되어 이원화 체제가 되었다. 2004년 유아교육법의 제정, 그리고 같은 해 영유아보육법의 전문 개정을 통하여 지금의 교육과학기술부가 소관부처인 유치원과 보건복지가족부가 소관부처인 어린이집으로 명확하게 이원화체제가 되었다.
최근 유치원은 보호의 기능이 더욱 강조되어 종일반 운영이 늘어나고 있으며, 어린이집은 보호뿐만 아니라 교육적 요소를 더욱 강조하고 있어 결국 교육과 보호의 개념이 통합된 형태로 두 기관은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두 기관의 기능이 유사해짐에 따라 통합에 대한 논의가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부처나 학계 간의 갈등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던 끝에 정부는 지난 2011년 5월 2일 만5세 공통과정 도입ㆍ시행을 발표하였다. 만 5세 공통과정인 ‘5세 누리과정’은 현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교육ㆍ보육과정을 통합하여 만 5세 모든 어린이들이 새로운 공통과정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데 의의를 둔 것이다.
4. 시사점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하루일과의 특징은 교육목표, 발달특성, 그리고 통합교육의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다. 먼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하루일과를 구성하고 그에 따라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아들이 다니는 대표적인 유아교육기관으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있는데 각각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하루일과를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은 1969년에 최초로 제정되어, 여섯 차례의 개정 과정을 거쳤다. 2009년부터는 2007년에 개정된 ‘2007유치원 교육과정’이 적용될 예정이다. 2007유치원교육과정에는 ‘21세기 지식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사람과 자연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한국인’을 육성하기 위하여 추구하는 인간상으로서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 기초능력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 민주시민 의식을 기초로 공동체의 발전에 공헌하는 사람으로 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간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며 기본생활습관을 기른다, 더불어 생활하는 태도와 우리 전통문화를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다,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경험을 가진다,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능력을 기르며 바른 언어 사용 습관을 기른다, 호기심을 가지고 주변 세계를 탐구하며 자연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진다 등 다섯 가지 교육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유치원에서는 만 3세 부터 취학 전 유아가 다니면서 유치원에 다니면서 이러한 교육 목표를 반영한 하루일과를 보내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국내외 유아교육기관의 역사를 설명해 보았다. 유아교육에 있어 교사들이 유아를 교육하면서 겪게 되는 많은 문제점들은 교사의 교육적 열의를 상실케 할 뿐만 아니라 교사의 사기를 저하시킨다. 그리고 이것은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교사들이 유아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수 없게 한다.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 운영에서의 문제는 교사로 하여금 정신적, 육체적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이러한 불균형이 인간의 성격형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기에 있는 유아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운영의 문제는 유아교육 전체의 문제임과 동시에 유아교육기관 개선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유안진(1992). 유아교육론. 창지사.
김혜경(2006). 영유아교육기관경영. 창지사.
임재택(2003).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양서원.
강윤구(1992). 영유아 보육 사업론. 혜화당.
박봉환(2006). 유아교육기관현장학습의 실태조사. 상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경화(2001). 유아교육기관의 유형별 운영관리 수준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은실(2007).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인식 및 선택 기준비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6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09.16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96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