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생태학적 이론(ecological theory)
Ⅱ. 브론펜브레너의 소개
Ⅲ.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접근
1. 미시체계(microsystem)
2. 중간체계(mesosystem)
3. 외체계(exosystem)
4. 거시체계(macrosystem)
Ⅳ. 브론펜브레너의 연구 및 저서
Ⅱ. 브론펜브레너의 소개
Ⅲ.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접근
1. 미시체계(microsystem)
2. 중간체계(mesosystem)
3. 외체계(exosystem)
4. 거시체계(macrosystem)
Ⅳ. 브론펜브레너의 연구 및 저서
본문내용
크루터(Bronfenbrenner & Crouter, 1983)는 “발달적 연구에서 환경모델의 진화(The Evolution of Environment Model in Development Research)"라는 제목으로, 아동 행동 연구 과정에서의 상황 및 그것의 역할이 접근되어온 다양한 방식들을 설명했다. 상황이 인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들을 조사한 최초의 실험연구는 19세기 후반 베를린에서 수행되었던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조사 보고서에서 연구자들은 학교 입학의 개념에 대한 아동들의 지식에 관심이 있었다; 성차, 도시와 지방 경험의 차이, 그리고 유아원과 가정 경험의 차이가 고려되었다. 일반적으로 유아원 경험이 있는 아동들과 남아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브론펜브레너와 크루터가 주목하는 이 연구의 중요성이란, 서로 다른 “사회적 배경(social addresses)" (예를 들면, 지방 대 도시; 유아원 대 가정)을 가진 아동들은 그들이 성장한 상황에 의해서 달리 영향받아 왔다는 가능성을 제기한 것이다. 이 최초의 “맥락내에서의 발달 체계”는 계속 사용되어지고 있다.
▶ 브론펜브레너가 본 미국과 소련의 아이들
Ⅰ부 - 소련의 아동양육
저자는 소련의 가정, 취학전 기관, 아동집단, 교실, 학교, 이웃, 지역사회, 국가의 수준에서 전개되고 있는 사회화의 과정과 그 결과 및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소련의 아동양육방식은 한마디로 집단양육으로 요약된다. 전체 소련사회는 아동들의 집단양육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아동의 사회화에 관한 한, 잘 계획된 업무 분담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 사회화 과정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덕목은 복종과 극기심이다. 이 두 가지는 ‘사람들을 진실한 사회주의 국가의 시민으로 기르기 위한 목적’을 위해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이들 사회에서 동료집단 문화가 사회집단규범 성향을 더 강하게 갖는다. 그러나 이런 경로를 통해서 이루어진 사회화의 결과는 사회적 규범에 충실한 사람을 길러내긴 하지만 획일화된 행동패턴과 성격유형을 만들어냄으로써 다양성, 창의성 그리고 자발성이 결여된 침체된 사회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Ⅱ부- 미국의 아동양육
자본주의와 개인주의적 사회속에서 아동의 사회화에 대한 부모와 가정의 역할은 차츰 축소되어 왔고 마침내 아동은 성인들의 ‘일의 세계’로부터 완전히 소외되어버렸다. 아동양육을 가정 아니 어머니에게 떠맡기고 있으며 국가적인 차원에서는 적극적인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이러한 빈 공간을 또래집단과 텔레비젼이 메꾸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자율성은 지나칠 정도이며, 제대로 양육하지 않은 채 자유를 주고있다. 저자는 이러한 아동의 사회화에 대한 미국사회의 무관심을 분석해 내고 나아가 아동을 ‘일의 세계’에 동참시켜 아동에게도 삶의 책임을 부과시키라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두가지 상반된 이데올로기 지배하의 세계속에서 자라는 아동의 사회화 문제를 분석한 저자는 여러가지 교육학적, 심리학적 원리를 동원하여 사회화의 올바른 촉진기법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브론펜브레너와 크루터가 주목하는 이 연구의 중요성이란, 서로 다른 “사회적 배경(social addresses)" (예를 들면, 지방 대 도시; 유아원 대 가정)을 가진 아동들은 그들이 성장한 상황에 의해서 달리 영향받아 왔다는 가능성을 제기한 것이다. 이 최초의 “맥락내에서의 발달 체계”는 계속 사용되어지고 있다.
▶ 브론펜브레너가 본 미국과 소련의 아이들
Ⅰ부 - 소련의 아동양육
저자는 소련의 가정, 취학전 기관, 아동집단, 교실, 학교, 이웃, 지역사회, 국가의 수준에서 전개되고 있는 사회화의 과정과 그 결과 및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소련의 아동양육방식은 한마디로 집단양육으로 요약된다. 전체 소련사회는 아동들의 집단양육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아동의 사회화에 관한 한, 잘 계획된 업무 분담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 사회화 과정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덕목은 복종과 극기심이다. 이 두 가지는 ‘사람들을 진실한 사회주의 국가의 시민으로 기르기 위한 목적’을 위해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이들 사회에서 동료집단 문화가 사회집단규범 성향을 더 강하게 갖는다. 그러나 이런 경로를 통해서 이루어진 사회화의 결과는 사회적 규범에 충실한 사람을 길러내긴 하지만 획일화된 행동패턴과 성격유형을 만들어냄으로써 다양성, 창의성 그리고 자발성이 결여된 침체된 사회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Ⅱ부- 미국의 아동양육
자본주의와 개인주의적 사회속에서 아동의 사회화에 대한 부모와 가정의 역할은 차츰 축소되어 왔고 마침내 아동은 성인들의 ‘일의 세계’로부터 완전히 소외되어버렸다. 아동양육을 가정 아니 어머니에게 떠맡기고 있으며 국가적인 차원에서는 적극적인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이러한 빈 공간을 또래집단과 텔레비젼이 메꾸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자율성은 지나칠 정도이며, 제대로 양육하지 않은 채 자유를 주고있다. 저자는 이러한 아동의 사회화에 대한 미국사회의 무관심을 분석해 내고 나아가 아동을 ‘일의 세계’에 동참시켜 아동에게도 삶의 책임을 부과시키라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두가지 상반된 이데올로기 지배하의 세계속에서 자라는 아동의 사회화 문제를 분석한 저자는 여러가지 교육학적, 심리학적 원리를 동원하여 사회화의 올바른 촉진기법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추천자료
도덕성 발달이론과 이 이론들에 대한 비판 및 실제 적용 사례
인지발달이론에 대해-피아제, 비고츠키이론
피아제 이론에 대하여 (인지발달이론)
에릭슨(Erikson)의 생애, 에릭슨(Erikson)의 인간관, 에릭슨(Erikson)의 기본가정과 에릭슨(E...
[생애(삶, 인생) 기초능력][생애(삶, 인생) 필수능력][생애(삶, 인생) 발달이론][생애(삶, 인...
(아동발달) 비고츠키의 인지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인지발달이론, 한계점, 교육적 시사점 분...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근거로 하여 세월호 선장과 선원들...
유아발달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서 전조작기 유아의 사고특성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고 전...
발표용)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이론, 정신분석발달이론.ppt
[아동간호학] <유아 학령전기 인지발달비교> 유아와 학령전기아동의 인지발달 비교 - 피아제(...
(영유아교사론B형) 발달이론에 따른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 교사의 바람직한 역할 수행 ...
[2016년 인간과교육] 주입식교육관 성장식교육관(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교...
1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도덕성발달이론 교육적시사점 2 계속적강화 유용성,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