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ocardial Infarction(MI, 심근경색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Myocardial Infarction(MI, 심근경색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혈전용해요법의 금기증
절대적 금기
내출혈
Streptokinase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을 때
최근의 두부 외상
출혈질환을 앓고 있을 때
대동맥벽 분리(dissection)가 의심될 때
혈압 증가(200/120 mmHg)
임신이나 최근의 분만
뇌혈관질환 : 최근의 뇌졸중(2개월 내), 최근의 척추나 뇌 수술, 뇌 신생물
심폐소생술이 지연될 때
상대적 금기
심내막염이나 심낭염
지혈 장애
조절되지 않는 중증 고혈압
최근 10일 내 외상
최근 10일 내 수술
최근의 경구용 항응고제 사용
활동성 십이지장궤양질환
투약 중과 투약 후에 환자의 신경학적 상태 기록, 모든 IV 부위의 출혈증상관찰, 응고검사 모니터, 내부 출혈의 징후 관찰(Hb과 Hct 관찰), 대변 내 잠혈검사, 소변과 구토물 등을 검사해야 한다.
(2) Glycoprotein Ⅱb/ Ⅲa Inhibitors
당단백(GP) Ⅱb/ Ⅲa 억제제인 abciximab(Reopro), eptifibatide(Integrilin)과 tirofiban(Aggrastat)은 정맥으로 투여해 섬유소원이 혈전부위의 혈소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약들은 급성 관상동맥증후군(특히 불안정한 협심증과 non-Q파 심근경색증)에 사용된다. 이들은 역시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PTCA) 이전이나 실시 중 새로 뚫린 동맥이 다시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투여하며, 심근경색시 섬유소용해제와 함께 사용된다.
(3) 경피적 관상동맥 풍선삽입술
심근경색시 혈전이 생긴 관상동맥을 다시 개존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PTCA를 실시할 수 있다.
(4) 구강 약물요법
혈전용해제 투여와 관계없이 금기사항이 아닌 경우에는 심근경색 환자에게 아스피린을 투여한다. 폐색부위의 혈소판 응집을 예방하기 위해 씹을 수 있는 아스피린을 즉시 투여한 후, 위장 보호용 아스피린(Ancasal, Ecotrin)을 80~325mg까지 매일 또는 이틀에 한 번씩 투여할 수 있다. 베타 교감신경차단제[metoprolol(Lopressor, Toprol XL, Betaloc)]는 경색의 크기와 심실부정맥, 경색 환자의 사망률을 감소시킨다.
7. 증상 재발과 손상 위험성 예방
관상동맥 질환을 위한 외과적 중재에는 흉곽절개를 요하지 않는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PTCA)과 흉곽절개를 통한 관상동맥우회술(CABG)이 있다.
1)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TCA)
관상동맥질환이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적용하는 비수술적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주로 협심증으로 인한 흉통의 강도와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실시하며 합병증의 위험은 그렇게 크지 않다.
(1) 시술 방법
심도자실에서 형광투시경(fluoroscopy)을 보면서 시행한다.
대퇴동맥이나 요골동맥을 통해 관상동맥으로 유도카테터(guide catheter)를 삽입한 후 이 유도카테터를 따라 끝에 풍선이 달린 카테터를 밀어넣어 풍선 부분이 협착된 부위에 놓이게 한 후 혈관촬영을 하여 협착의 정도를 확인한다. 4~14기압의 압력으로 풍선을 팽찰시켜 죽종을 옆으로 눌러서 관상동맥 구경이 50% 정도 될 때까지 반복하여 압박한다.
혈관촬영을 통해 혈관구경의 개존상태를 확인하며 시술 동안 관상동맥압과 동맥압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혈전혈성을 예방하기 위해 정맥으로 heparin을 투여한다. 관상동맥의 경련을 예방하기 위해 nitroglycerin이나 diltiazem(cardizem)을 투여한다. PTCA는 적절히 선택된 환자의 90% 이상 초기에 혈관을 재관류시키나 처음 24시간 내 일부는 재협착된다. 재협착을 방지하고, 동맥 개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혈전용해요법, glycoprotein(GP) Ⅱb/ Ⅲa Inhibitors 등을 병용한다.
시술이 끝난 후 환자를 심장내과 중환자실로 옮기고 심장 모니터를 통해 합병증이 있는지 관찰한다. 시술 후 6시간 동안 안정시키고 카테터 삽입부위를 모래주머니로 압박하며 조영제 배설을 위해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2) 관상동맥 내 스텐트(Intracoronary stent) 적용술
관상동맥의 재협착을 예방하기 위해 경피적 관상동맥성혈술(PTCA)을 시행하면서 스텐트(stent)를 협착된 혈관에 삽입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스텐트의 삽입 방법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과 비슷하다. 즉 혈관조영술을 통해 관상동맥 병변이 확인되면 스텐트가 장착된 풍선카테터를 관상동맥 내에 삽입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11.04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41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