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집 방법 및 수집도구 확정
진행상황
일정 (2011년)
내용
4. FGI 조사진행
2월 21일
면접 조사를 통한 가격 및 제품 조사
5. 서베이 조사실시
2월 28일
FGI를 기초로 설문지 작성
3월 07일
표본추출 방법 상의
3월 14일
자료수집 착수
(1) FGI는 표적집단면접으로 불리는 조사로, 실제 현장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조사 방법이다. 표적 집단이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면서 그들로부터 알고 싶어 하는 바를 확인한다.
- 대상 : 20~50대까지 성별을 구분하여 각각 2인씩
- 일시 : 2011년 2월 21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 장소 : A 회의실
- 주요 내용
- 커피의 원가 대비 실제 판매 금액의 차이에 대하여
- 과대 광고비로 인한 커피값 인상이 높지는 않는가.
- 테이크아웃과 점포에서 마시는 커피의 선호도 차이
- 회사에서 말하는 인건비나 로열티에 대한 정확한 확인 요청 등
(2) FGI 조사에서 선정된 응답자의 표본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시행한다. 설문지 작성 후 3월 14일 20~50대 남여 각각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 실시한다.
- 주요 내용
- 하루에 마시는 커피 양
- 즐겨 마시는 커파는 무엇인가? (인스턴트, 원두커피, 무응답)
- 원두 커피는 얼마의 가격대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는가? (금액별) 등
6~7. 분석(결과의 해석) 및 대안 도출
진행상황
일정 (2011년)
내용
6. 자료 분석
3월 21일
조사팀의 작업 착수
7. 결과 해석 및 도출
3월 28일
결과 최종 PT
자료 분석 결과 남성(22%)보다는 여성(77%)이 커피의 선호도가 훨씬 높았다. 즐겨 마시는 커피의 종류로인 인스턴트 커피가 48%, 원두커피가 46%, 무응답 및 기타가 6%로 나타났다.
원두커피의 경우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가격대로는 42.6%로 2~3천원 대가 가장 많았으며, 1~2천원은 30%, 다음이 3~4천원대로 20%, 4천원 이상은 불과 10%대로 나왔다. 대형기업의 커피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70%였으며, 이 중 가격을 낮춘다면 테이크아웃을 더 선호한다는 응답자가 80%에 육박하였다. 이것은 커피의 원가에 비해 현재 대형기업 및 프랜차이즈 업체의 평균 가격인 4천원을 소비자들이 높은 가격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3월 28일 최종적인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할 예정이며,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제품개발을 착수한다.
진행상황
일정 (2011년)
내용
4. FGI 조사진행
2월 21일
면접 조사를 통한 가격 및 제품 조사
5. 서베이 조사실시
2월 28일
FGI를 기초로 설문지 작성
3월 07일
표본추출 방법 상의
3월 14일
자료수집 착수
(1) FGI는 표적집단면접으로 불리는 조사로, 실제 현장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조사 방법이다. 표적 집단이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면서 그들로부터 알고 싶어 하는 바를 확인한다.
- 대상 : 20~50대까지 성별을 구분하여 각각 2인씩
- 일시 : 2011년 2월 21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 장소 : A 회의실
- 주요 내용
- 커피의 원가 대비 실제 판매 금액의 차이에 대하여
- 과대 광고비로 인한 커피값 인상이 높지는 않는가.
- 테이크아웃과 점포에서 마시는 커피의 선호도 차이
- 회사에서 말하는 인건비나 로열티에 대한 정확한 확인 요청 등
(2) FGI 조사에서 선정된 응답자의 표본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시행한다. 설문지 작성 후 3월 14일 20~50대 남여 각각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 실시한다.
- 주요 내용
- 하루에 마시는 커피 양
- 즐겨 마시는 커파는 무엇인가? (인스턴트, 원두커피, 무응답)
- 원두 커피는 얼마의 가격대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는가? (금액별) 등
6~7. 분석(결과의 해석) 및 대안 도출
진행상황
일정 (2011년)
내용
6. 자료 분석
3월 21일
조사팀의 작업 착수
7. 결과 해석 및 도출
3월 28일
결과 최종 PT
자료 분석 결과 남성(22%)보다는 여성(77%)이 커피의 선호도가 훨씬 높았다. 즐겨 마시는 커피의 종류로인 인스턴트 커피가 48%, 원두커피가 46%, 무응답 및 기타가 6%로 나타났다.
원두커피의 경우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가격대로는 42.6%로 2~3천원 대가 가장 많았으며, 1~2천원은 30%, 다음이 3~4천원대로 20%, 4천원 이상은 불과 10%대로 나왔다. 대형기업의 커피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70%였으며, 이 중 가격을 낮춘다면 테이크아웃을 더 선호한다는 응답자가 80%에 육박하였다. 이것은 커피의 원가에 비해 현재 대형기업 및 프랜차이즈 업체의 평균 가격인 4천원을 소비자들이 높은 가격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3월 28일 최종적인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할 예정이며,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제품개발을 착수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