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목 차 ⅰ
1. 실존주의 1
2. 실존주의의 흐름 2
3. 실존주의의 특징 2
4. 실존주의적 인식론과 교육 3
1) 실존주의적 인식론 3
2) 실존주의적 교육 3
5. 실존주의와 체육 4
1) 니체 4
2) 사르트르 7
참고문헌 8
목 차 ⅰ
1. 실존주의 1
2. 실존주의의 흐름 2
3. 실존주의의 특징 2
4. 실존주의적 인식론과 교육 3
1) 실존주의적 인식론 3
2) 실존주의적 교육 3
5. 실존주의와 체육 4
1) 니체 4
2) 사르트르 7
참고문헌 8
본문내용
치 산술학이 일 곱하기 일의 위에 위치하듯, 지적 척도에 따라 측정하자면 우리의 의식, 우리의 정신, 우리의 의식적 자유, 느낌과 의지보다 상위에 있다”(김정현, 1995).
결국 체육도 움직임을 통해 시작되며 완성됨을 볼 때 니체가 주장하듯 몸은 오직 실천이라는 행위 속에서 의미를 가지며 그러한 가운데 몸의 질이 향상되는 것이라는 그의 몸 사상의 긍정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2) 사르트르
사르트르는 파리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어릴 때부터 풍부한 문학적 소질을 인정받았다. 1943과 1946년 '존재와 무' 그리고 '실존주의는 인본주의이다'를 각각 출판하였다. 그는 인간의 불안한 영혼의 심층을 분석하여 존재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던 실존주의의 대표적 철학자이다.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사상은 그의 유명한 “존재는 본질에 선행한다.”라는 얘기로 집약된다. 이것은 공장에서 만들어진 물건을 소개하듯이 인간의 본질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종이칼을 예를 들어 보면 종이칼을 만들기 전에 우선 어떤 사람이 종이칼의 용도와 제조방법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종이칼에 대한 제조 과정과 목적이 본질에 해당된다면 종이칼은 제조에 앞서 본질이 선행한다고 할 수 있는 것으로 본질이 존재에 선행한다. 그러나 사르트르는 인간의 경우는 그 반대가 된다고 주장한다. 신이 인간을 만들기 전에 종이칼처럼 어떠한 착상을 하고 규정짓는 것이 아니고 인간이 태어나면 그가 성장하는 과정에 자신의 의지와 선택에 의해서 어떠한 사람이 되어 간다는 것이다. 그는 의식과 신체의 관계의 설명에 있어서 신체는 곧 의식이라고 주장하여 이들이 서로 떨어져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사르트르의 실존적 철학과 신체관이 체육에 주는 의미는 클라인만의 논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사르트르는 우리의 신체를 사물이자 물건으로 간주하지 말고 살아있는 주체로 볼 것을 주장하였다. 그의 저서 '존재와 무'에서 세 가지 차원을 구별함으로써 신체의 의미를 밝히고 자신이 신체는 자신을 위하여 존재 한다고 주장하여 자신을 위하여 ‘ 살아 있는 신체’로서 파악 하였다.
사르트르에 의하면 인간의 신체는 세상과 계약된 주체로서 이러한 계약은 3가지의 형태를 가진다고 하였다. 신체는 이미 주어진 주체이며, 또한 다른 사람에게는 객체이며, 타인에게 대하여는 관찰되는 신체를 지각하는 것이다.
사실 현재까지 신체가 객체로 간주되고, 심리학과 물리학 등 자연과학에서 인과법칙으로 인간의 신체를 설명할 때 그것은 더 이상 자신의 살아 있는 신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결국 체육과 관련하여 사르트르의 이 같은 신체관은 인간은 자기 자신의 신체 움직임의 주체적 인식을 통해 자아의식의 발견이나 자기표현 및 실현에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김영환, 유태균, 신현군, 권욱동, 윤미정(2009). 스포츠체육철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김대식, 김영환, 신현군(1993) 체육철학. 나남출판.
김정현(1995). 니체의 몸철학. 서울: 문학과 현식사.
김홍식 (2003). 스포츠철학 시론. 서울: 무지개사.
김창룡(1995). 스포츠 철학. 서울: 대한미디어.
아베 시노부 / 박흥식 역(2001). 체육스포츠 철학론무도론. 서울: 대경북스.
안용규 외(2002). 체육철학.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이정학(2005). 철학적 탐구. 서울: 대한미디어.
이진수(2005). 체육스포츠 철학. 서울: 교학연구사
이덕분(1997). 체육철학. 서울: 태근출판사
임석진(1983). 철학사전. 서울: 이삭.
김흥수(2003). 스포츠무용과 운동의 가치. 서울: 도서출판사
정중선(1998). 체육철학. 부산:동아대출판사.
결국 체육도 움직임을 통해 시작되며 완성됨을 볼 때 니체가 주장하듯 몸은 오직 실천이라는 행위 속에서 의미를 가지며 그러한 가운데 몸의 질이 향상되는 것이라는 그의 몸 사상의 긍정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2) 사르트르
사르트르는 파리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어릴 때부터 풍부한 문학적 소질을 인정받았다. 1943과 1946년 '존재와 무' 그리고 '실존주의는 인본주의이다'를 각각 출판하였다. 그는 인간의 불안한 영혼의 심층을 분석하여 존재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던 실존주의의 대표적 철학자이다.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사상은 그의 유명한 “존재는 본질에 선행한다.”라는 얘기로 집약된다. 이것은 공장에서 만들어진 물건을 소개하듯이 인간의 본질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종이칼을 예를 들어 보면 종이칼을 만들기 전에 우선 어떤 사람이 종이칼의 용도와 제조방법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종이칼에 대한 제조 과정과 목적이 본질에 해당된다면 종이칼은 제조에 앞서 본질이 선행한다고 할 수 있는 것으로 본질이 존재에 선행한다. 그러나 사르트르는 인간의 경우는 그 반대가 된다고 주장한다. 신이 인간을 만들기 전에 종이칼처럼 어떠한 착상을 하고 규정짓는 것이 아니고 인간이 태어나면 그가 성장하는 과정에 자신의 의지와 선택에 의해서 어떠한 사람이 되어 간다는 것이다. 그는 의식과 신체의 관계의 설명에 있어서 신체는 곧 의식이라고 주장하여 이들이 서로 떨어져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사르트르의 실존적 철학과 신체관이 체육에 주는 의미는 클라인만의 논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사르트르는 우리의 신체를 사물이자 물건으로 간주하지 말고 살아있는 주체로 볼 것을 주장하였다. 그의 저서 '존재와 무'에서 세 가지 차원을 구별함으로써 신체의 의미를 밝히고 자신이 신체는 자신을 위하여 존재 한다고 주장하여 자신을 위하여 ‘ 살아 있는 신체’로서 파악 하였다.
사르트르에 의하면 인간의 신체는 세상과 계약된 주체로서 이러한 계약은 3가지의 형태를 가진다고 하였다. 신체는 이미 주어진 주체이며, 또한 다른 사람에게는 객체이며, 타인에게 대하여는 관찰되는 신체를 지각하는 것이다.
사실 현재까지 신체가 객체로 간주되고, 심리학과 물리학 등 자연과학에서 인과법칙으로 인간의 신체를 설명할 때 그것은 더 이상 자신의 살아 있는 신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결국 체육과 관련하여 사르트르의 이 같은 신체관은 인간은 자기 자신의 신체 움직임의 주체적 인식을 통해 자아의식의 발견이나 자기표현 및 실현에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김영환, 유태균, 신현군, 권욱동, 윤미정(2009). 스포츠체육철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김대식, 김영환, 신현군(1993) 체육철학. 나남출판.
김정현(1995). 니체의 몸철학. 서울: 문학과 현식사.
김홍식 (2003). 스포츠철학 시론. 서울: 무지개사.
김창룡(1995). 스포츠 철학. 서울: 대한미디어.
아베 시노부 / 박흥식 역(2001). 체육스포츠 철학론무도론. 서울: 대경북스.
안용규 외(2002). 체육철학.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이정학(2005). 철학적 탐구. 서울: 대한미디어.
이진수(2005). 체육스포츠 철학. 서울: 교학연구사
이덕분(1997). 체육철학. 서울: 태근출판사
임석진(1983). 철학사전. 서울: 이삭.
김흥수(2003). 스포츠무용과 운동의 가치. 서울: 도서출판사
정중선(1998). 체육철학. 부산:동아대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