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디즘, 메조시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디즘, 메조시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1.가학성 변태성욕(Sadism) 이란?
 1) 유래
 2)사디즘의 정의
 3) 사디즘의 형태

2. 피학성 변태성욕(Masochism) 이란?
 1)유래
 2)메조시즘의 정의
 3)메조시즘의 형태

3.가학-피학성 변태성욕(Sadomasochism) 이란?
 1) 가학-피학성 변태성욕(Sadomasochism) 정의
 2)가학-피학성 변태성욕(Sadomasochism)의 형태

4.「거짓말」에서의 사도메조시즘 (Sadomasochism)

5.「이다」조 에서의 SM은?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변태성행위중의 매질로만 보지 않고 가학-피학속의 성행위속에 나타난 정치 권력의 가학과 그 속에 익숙해져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인식 시켜려는 듯하다.
5.「이다」조 에서의 SM은?
SM이란 주제로 토론을 했지만 결론을 내는 것은 쉽지가 않았다.
먼저, 사람은 누구나 창조적 욕구와 파괴적영구가 존재하듯이 모든 사람에게는 잠재적으로 삶에 대한 의지와 죽음에 대한의지도 존재한다. 이처럼 모든 사람에게 잠재적으로 SM의 욕구를 가지고 있지만 그 욕구가 표면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것 뿐이다. 하지만 이것이 드러나는 사람은 새디스트 메조키스트라 하는것이다. 극단적인 표현일지 모르지만 새디스트는 삶에대한 의자가 강한, 메조키스트는 죽음에 대한 의지를 나타내는 한 면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SM을 변태라 하는 것은 옳지않다라는 의견이 있었다. 부부생활에서도 성생활이 지루해 질 수 있다. 그러다보면 외도를 하게 되거나 반복되고 무미건조한 성생활에서 벗어나고 싶어 변화를 찾으려 할 것이다. 이것과 같이 사디스트와 메조키스트가 존재한다면 이들을 나쁘게만 볼것이 아니라 SEX 파트너 간의 계약에 의해서 사디스트와 메조키스트의 역할을 한다는 것은 서로에게 만족을 주고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현재의 사회에서 SEX는 종족보존의 의미가 아닌 유희적의미가 강해진 오늘날에 그들을 변태성욕자로 몰아낸다는 것은 그들이 원치 않게 음성적으로 되고, 그러면 다른 사람들 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 하지만 그들을 양성화 시켜 사디스트와 메조키스트들 간의 자유로운 대화가 가능해지고 그러면 서로에게 맞는 파트너를 구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 즐거운 성생활을 즐길 수 있을 것 이다.
만약 일반인들이 우리는 채찍 없이 성생활을 하는데 너희들은 왜 성생활에 채찍이 필요하냐면서 SM을 변태로 몰아붙이는 것은 그들을 사회에서 소외시키게 되며, 이것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SM에게 하는 더 큰 성폭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훨씬 더 많은 상황에서 SM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밖에 볼 수 없는 사회에서 떳떳이 SM이라고 밝히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만약 SM을 양성화 시킨다 하더라도 많은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 문제는 동성애에서 나타났듯이 양성화되자 유행처럼 중고생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게 되었고, 커다란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이처럼 사디스트와 메조키스트가 사회 전반적으로 인정받는 다면 성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끼칠 것 이고, 동성애 보다 더 큰 사회적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는 SM끼리 관계를 하면 아무관계가 없을 것 같지만 지금도 역시 드러나지는 않지만 사디스트가 존재하고 있는 것처럼 분명히 피해를 받는 사람은 생길 것이다. 이것은 성적인 탈선으로 받아들여지고 잔혹 행위를 본능이라고 정당화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우리 조 에서 가장 잘 SM에 대해서 접할 수 있는 「거짓말」을 본 후 우리는 모두 다같이 ‘정말 변태같다’ 라고 생각했지만 그들도 성적 소수자라는 견해와 그렇지 않다는 견해로 여전히 SM의 확실한 결론은 내리지 못했다. 우리는 결론은 내리지 않기로 했다. 성생활은 우선 남이 관여할 수 없는 남녀간의 가장 신성하고 아름다운 속삭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SM으로 인해서 그렇지 않는 사람들이 피해를 받는 일이 없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참고문헌: <성문화와심리 (1998)>, <쾌락과 고통-정열의 병>, <인간과 성 심리>,
<아름다운 사랑과 성의 역사(1991)>,,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11.12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54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