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Native son 비평
흑인 문학의 지평을 연 리처드 라이트(Richard Wright)
◇작가의 생애
◇작가 활동당시의 시대적 배경
◇작가의 작품 세계
◇사실주의적 / 자연주의적 요소
◇심리적 측면 / 상징적 요소
◇실존주의적 요소
◇폭력의 모티프
◆참고 문헌
◆참고 사이트
흑인 문학의 지평을 연 리처드 라이트(Richard Wright)
◇작가의 생애
◇작가 활동당시의 시대적 배경
◇작가의 작품 세계
◇사실주의적 / 자연주의적 요소
◇심리적 측면 / 상징적 요소
◇실존주의적 요소
◇폭력의 모티프
◆참고 문헌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인 적극적 항변의 자세를 취함으로써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셋째로, 흑인 소설들이 대체로 남부의 농장이나 소도시를 작품의 공간적 배경으로 삼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토박이』는 북부 대도시의 흑인 빈민가를 배경으로 그 곳의 충격적인 삶을 적나라하게 드러내 보이고 있다. 물론 폴 로렌스 던바, 찰즈 W, 체스넛, 제임스 웰던 존슨, 클로드 멕케이 등 할렘이나 대도시를 작품의 무대로 활용한 흑인 작가들도 없지 않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지역적 배경일 뿐 『토박이』에서처럼 대도시의 흑인 비민가가 삶의 현장으로서 그처럼 철저하고 생생하게, 그리고 그곳에서의 흑인들의 삶이 배경으로서가 아니라 작품의 주제적 내용 자체로서 그처럼 밀도 있게 그려진 적은 없었다. 스티븐 크레인(Stephen Crane)의 『매기』(Maggie)나 드라이저의 몇몇 작품이 보여주는 ‘도시적 사실주의’라는 이름으로 불릴만한 이러한 특성은 흑인 작가로서는 라이트에 의하여 처음으로 성공적인 결실을 이루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Native Son에 대한 평가
리차드 라이트의 『토박이』에 대하여 어빙 하우(Irving Howe)는 “『토박이』가 나타난 날, 미국 문화는 영원히 변했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하우의 이 말을 다소 과장된 수사적 표현으로 받아들인다 하더라도 『토박이』가 미국 흑인 문학에 가져온 획기적 변화와 그 문학사적 의의를 부인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라이트의 문학적 노선에 비판적 입장을 취해 라이트 공방 논쟁에 기폭제 역할을 했던 제임스 볼드윈(James Baldwin)까지도 “미국 사회에서 흑인의 존재가 어떤 것인가에 대하여 지금까지 개진된 가장 강력하고 유명한 진술은 의심할 여지가 없이 라이트의 『토박이』이다.”라고 말할 만큼 20세기 흑인 문학에서 『토박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 1940년 3월에 발표된 『토박이』는 이렇듯 문학사적 중요성에 있어서도 곧 비평가들의 주목을 끌었지만 출판된 첫 달에 25만부가 팔리는 베스트셀러 1위의 폭발적인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1년이 채 안 되어 오손 웰즈(Orson Wells)의 연출로 뉴욕의 무대에 올려져 114회의 공연과 이듬해의 리바이벌 공연의 흥행을 성공을 올림으로써 1940년대 초의 하나의 문학적 사건으로 평가받게 된 것이다. 앞서 잠깐 언급했다 시피『토박이』에 대한 평가는 처음부터 상반된 입장들로 양분되었는데, 비판적인 입장의 비평가들은 비거를 흑인의 전형으로 받아들이는 것에는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한다. 그리고 흑인 비평가들은 『토박이』가 흑인에 대한 상투적 생각들을 강화할 위험성이 있다고 우려하였다. 해롤드 블룸은『토박이』의 중요성은 미적 기준이 아니라 “사회적 목적”에 의해서 결정되었음을 지적한다. 즉, 라이트는 비거를 이념적 메시지를 전하는 도구로 만드는 동시에 실제로 존재하는 흑인에 가깝도록 묘사하려 했으나 그 결과는 흡족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또한 제 3부에서 1,2부의 박진감 넘치는 사실적 서술 방법을 유지하지 못하고 설명식 서술 방법으로 주저앉고만 형식적 약점, 오직 흑백 간의 갈등과 투쟁이라는 관점에서만 다룬 점 등을 지적한다. 이에 반하여 『토박이』는 흑인 항변소설의 새 지평을 열고 현대 소설의 핵심적 주제인 폭력의 주제를 일찍이 강조한 선구적 역할, 미국 소설의 전통을 충실히 이어 발전시킨 정통적인 문학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긍정적 시각을 가진 이들은 『토박이』가 이룩한 여러 가지 중요한 문학적 성취들, 그리고 현대 소설에서의 높은 문학사적 위상을 손상 없이 정당하게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다양한 입장은 지금까지도 계속되어 오고 있으며, 『토박이』가 발표된 이후 반세기가 넘는 기간의 비평이 확인시켜 주듯 이런 논쟁이 앞으로도 쉽게 해결 될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참고 문헌
토박이 / 한길사 / 리차드 라이트
미국 흑인문학과 그 전통 / 서울대학교 출판부 / 천승걸
현대 미국소설의 이해 / 도서출판 동인 / 권오경 外
20세기 미국 소설의 이해Ⅰ / 신아사 / 현대영미소설학회
◆참고 사이트
http://cat2.riss4u.net/search/re_a_download.jsp?p_control_no=2080114&p_image_yn=1&p_image_format=002
http://cat2.riss4u.net/search/re_a_download.jsp?p_control_no=2089960&p_image_yn=1&p_image_format=002
셋째로, 흑인 소설들이 대체로 남부의 농장이나 소도시를 작품의 공간적 배경으로 삼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토박이』는 북부 대도시의 흑인 빈민가를 배경으로 그 곳의 충격적인 삶을 적나라하게 드러내 보이고 있다. 물론 폴 로렌스 던바, 찰즈 W, 체스넛, 제임스 웰던 존슨, 클로드 멕케이 등 할렘이나 대도시를 작품의 무대로 활용한 흑인 작가들도 없지 않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지역적 배경일 뿐 『토박이』에서처럼 대도시의 흑인 비민가가 삶의 현장으로서 그처럼 철저하고 생생하게, 그리고 그곳에서의 흑인들의 삶이 배경으로서가 아니라 작품의 주제적 내용 자체로서 그처럼 밀도 있게 그려진 적은 없었다. 스티븐 크레인(Stephen Crane)의 『매기』(Maggie)나 드라이저의 몇몇 작품이 보여주는 ‘도시적 사실주의’라는 이름으로 불릴만한 이러한 특성은 흑인 작가로서는 라이트에 의하여 처음으로 성공적인 결실을 이루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Native Son에 대한 평가
리차드 라이트의 『토박이』에 대하여 어빙 하우(Irving Howe)는 “『토박이』가 나타난 날, 미국 문화는 영원히 변했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하우의 이 말을 다소 과장된 수사적 표현으로 받아들인다 하더라도 『토박이』가 미국 흑인 문학에 가져온 획기적 변화와 그 문학사적 의의를 부인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라이트의 문학적 노선에 비판적 입장을 취해 라이트 공방 논쟁에 기폭제 역할을 했던 제임스 볼드윈(James Baldwin)까지도 “미국 사회에서 흑인의 존재가 어떤 것인가에 대하여 지금까지 개진된 가장 강력하고 유명한 진술은 의심할 여지가 없이 라이트의 『토박이』이다.”라고 말할 만큼 20세기 흑인 문학에서 『토박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 1940년 3월에 발표된 『토박이』는 이렇듯 문학사적 중요성에 있어서도 곧 비평가들의 주목을 끌었지만 출판된 첫 달에 25만부가 팔리는 베스트셀러 1위의 폭발적인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1년이 채 안 되어 오손 웰즈(Orson Wells)의 연출로 뉴욕의 무대에 올려져 114회의 공연과 이듬해의 리바이벌 공연의 흥행을 성공을 올림으로써 1940년대 초의 하나의 문학적 사건으로 평가받게 된 것이다. 앞서 잠깐 언급했다 시피『토박이』에 대한 평가는 처음부터 상반된 입장들로 양분되었는데, 비판적인 입장의 비평가들은 비거를 흑인의 전형으로 받아들이는 것에는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한다. 그리고 흑인 비평가들은 『토박이』가 흑인에 대한 상투적 생각들을 강화할 위험성이 있다고 우려하였다. 해롤드 블룸은『토박이』의 중요성은 미적 기준이 아니라 “사회적 목적”에 의해서 결정되었음을 지적한다. 즉, 라이트는 비거를 이념적 메시지를 전하는 도구로 만드는 동시에 실제로 존재하는 흑인에 가깝도록 묘사하려 했으나 그 결과는 흡족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또한 제 3부에서 1,2부의 박진감 넘치는 사실적 서술 방법을 유지하지 못하고 설명식 서술 방법으로 주저앉고만 형식적 약점, 오직 흑백 간의 갈등과 투쟁이라는 관점에서만 다룬 점 등을 지적한다. 이에 반하여 『토박이』는 흑인 항변소설의 새 지평을 열고 현대 소설의 핵심적 주제인 폭력의 주제를 일찍이 강조한 선구적 역할, 미국 소설의 전통을 충실히 이어 발전시킨 정통적인 문학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긍정적 시각을 가진 이들은 『토박이』가 이룩한 여러 가지 중요한 문학적 성취들, 그리고 현대 소설에서의 높은 문학사적 위상을 손상 없이 정당하게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다양한 입장은 지금까지도 계속되어 오고 있으며, 『토박이』가 발표된 이후 반세기가 넘는 기간의 비평이 확인시켜 주듯 이런 논쟁이 앞으로도 쉽게 해결 될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참고 문헌
토박이 / 한길사 / 리차드 라이트
미국 흑인문학과 그 전통 / 서울대학교 출판부 / 천승걸
현대 미국소설의 이해 / 도서출판 동인 / 권오경 外
20세기 미국 소설의 이해Ⅰ / 신아사 / 현대영미소설학회
◆참고 사이트
http://cat2.riss4u.net/search/re_a_download.jsp?p_control_no=2080114&p_image_yn=1&p_image_format=002
http://cat2.riss4u.net/search/re_a_download.jsp?p_control_no=2089960&p_image_yn=1&p_image_format=002
키워드
추천자료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연극적 이론을 연기적 측면으로 해석한 방법론
학교폭력의 건축자재 측면에서의 고찰
의학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남성과 여성의 심리학적 차이
FTA의 두가지 측면(긍정,부정의 효과)분석
교환이론적 측면에 입각하여 병원급에서의 의사와 환자와의 관계 및 간호사의 역할(사례 중심)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이상적인 지역사회에 대하여 (행동하는 양심 기관소개)
사회보장적 측면에서의 의료보험(국민건강보험)민영화에 대한 고찰
컴퓨터에 대한 기술적 측면에서의 발달
생물학적 측면에과 심리사회학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고 정신간호사의 역할...
노년기의 사회적 측면 & 노년기 사회복지실천의 관심대상이 되는 영역
역사적 측면에서 본 아동발달 - 서양과 우리나라(한국)에서의 아동발달에 대한 관심, 현대사...
노화의 주요측면과 노화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