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것은 봉신과 영주를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을 했다. 초기에는 봉토가 그다지 중요한 역할을 하지않아서 봉신이나 봉건 영주가 죽으면 봉토를 다시 반납하고 봉토를 다시 수여해야만 했다. 그러나 후기에 와서 봉토가 점점 중요성을 지니게 되자, 영주나 봉신이 죽었다고 해도 봉토를 반납하지 않게 되었다. 그래서 영주는 더 이상 봉신에게서 봉토를 빼앗는 것으로 그를 벌할 수 없게 되었다. 이로 인해 국가의 중앙 집권력은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봉신들은 오랫동안 봉토를 보유하려 온갖 비리들이 판을 쳤으며, 남자 자손에게만 이양되던 것이 여자자손이나 같은 혈통의 방계 친족에게도 이양되기까지 했다. 왕의 중앙집권적인 정치를 꽤 했던 봉토제도가 문란해지면서, 결국에는 처음의도와는 반대로 지방분권적인 성격을 띄게 된 것이다.
추천자료
한국문학사에서의 고대와 중세, 중세와 고대의 시대구분 : 그 경계선, 논거,
[유럽 중세사]유럽의 중세 말기 사회적 위기에 대해
[중세교회사] 중세교회사 완벽정리 노트
서양의 도시공간 형성 / 중세시대(중세도시)
중세 봉건제도의 붕괴와 발전과정 및 중세문화의 쇠퇴
『서양 중세사 강의 』-중세도시
[서양음악][근대음악][중세음악][바로크시대음악][고전주의음악][낭만주의음악][현대음악]서...
중세시대의 아동관 - 중세시대에는 아동이 성인의 축소판으로 생각되어 아동들에게도 성인과 ...
사회물리학으로 바라본 중세와 제 2의 중세
[가치관, 중세시대, 한국전통가치관, 신세대, 청소년, 산업화]가치관과 중세시대, 가치관과 ...
서양미술사 - 중세 미술에서 후기 인상파까지 (중세미술 성립과정과 발전, 로마네스크, 고딕...
[서양중세사]‘장미의 이름’을 통해 살펴 본 중세 수도원의 의미
(중세시대의 교육) 중세의 세속교육
중세시대의 형성,유대교에서 그리스도교,로마 제국의 몰락의 원인,교회의 권한,그리스도교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