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 몸에 있는 감염원의 경로와 각 경로에서의 방어기전을 설명하고, 병원감염의 정의와 부위별 병원감염(4가지)의 진단기준을 서술하시오.
2.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으로 구분하여 서술하고, 악성종양의 병기 분류 방법 중 TNM 분류에 대해서 설명 및 ‘대장암 T3N0’인 경우의 침범부위를 서술하시오.
2.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으로 구분하여 서술하고, 악성종양의 병기 분류 방법 중 TNM 분류에 대해서 설명 및 ‘대장암 T3N0’인 경우의 침범부위를 서술하시오.
본문내용
딱딱한 림프절인 경우
- N3 : 완전히 고정되어 있고 피막을 통과하여 피부, 신경, 뼈, 큰 혈관 등에 완전히 고정되어있으며 6cm 이상의 크기인 경우
3) 원격전이여부(M stage, distant metastasis)
- M0 : 원격장기 전이가 없는 경우
- M1 : 원격장기 전이가 있는 경우
(3) 대장암의 TNM(Tumor-Node-Metastasis)병기 분류
TNM
침범부위
T1N0 또는 T2N0
대장암세포가 점막하층이나 근육 층까지만 국한된 경우
T3N0
대장암세포가 장막하층까지 침윤이 된 경우
T4N0
대장암세포가 장막 층을 뚫거나 인접주위 장기까지로 침윤된 경우
T1N1 또는 T2N1
대장암세포가 점막하층에 국한되고 림프절 전이가 1~3개, 또는 대장암세포가 근육 층에 국한되고 림프절 전이가 1~3개 인 경우
T3N1 또는 T4N1
대장암세포가 장막하층까지 침윤되고 림프절 전이가 1~3개, 또는 대장암세포가 장막층을 뚫거나 인접 주위 장기까지 침윤되고 림프절 전이가 1~3개 인 경우
N2인 경우
T병기에 상관없이 림프절 전이가 4개 이상인 경우
M1인 경우
T, N 병기에 상관없이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
이상과 같이 ‘대장암 T3N0’인 경우의 침범부위는 다음과 같이 대장암세포가 장막하층까지 침윤된 경우로 판단된다.
※ 참고 자료
한국방송통신대학교편집부, ‘기초간호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0
스티븐 존슨, 김명남 역, ‘감염지도’, 김영사, 2008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 ‘병원감염관리’, 한미의학, 2006
대한종양간호학회, ‘종양 치료와 간호’, 포널스출판사, 2012
- N3 : 완전히 고정되어 있고 피막을 통과하여 피부, 신경, 뼈, 큰 혈관 등에 완전히 고정되어있으며 6cm 이상의 크기인 경우
3) 원격전이여부(M stage, distant metastasis)
- M0 : 원격장기 전이가 없는 경우
- M1 : 원격장기 전이가 있는 경우
(3) 대장암의 TNM(Tumor-Node-Metastasis)병기 분류
TNM
침범부위
T1N0 또는 T2N0
대장암세포가 점막하층이나 근육 층까지만 국한된 경우
T3N0
대장암세포가 장막하층까지 침윤이 된 경우
T4N0
대장암세포가 장막 층을 뚫거나 인접주위 장기까지로 침윤된 경우
T1N1 또는 T2N1
대장암세포가 점막하층에 국한되고 림프절 전이가 1~3개, 또는 대장암세포가 근육 층에 국한되고 림프절 전이가 1~3개 인 경우
T3N1 또는 T4N1
대장암세포가 장막하층까지 침윤되고 림프절 전이가 1~3개, 또는 대장암세포가 장막층을 뚫거나 인접 주위 장기까지 침윤되고 림프절 전이가 1~3개 인 경우
N2인 경우
T병기에 상관없이 림프절 전이가 4개 이상인 경우
M1인 경우
T, N 병기에 상관없이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
이상과 같이 ‘대장암 T3N0’인 경우의 침범부위는 다음과 같이 대장암세포가 장막하층까지 침윤된 경우로 판단된다.
※ 참고 자료
한국방송통신대학교편집부, ‘기초간호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0
스티븐 존슨, 김명남 역, ‘감염지도’, 김영사, 2008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 ‘병원감염관리’, 한미의학, 2006
대한종양간호학회, ‘종양 치료와 간호’, 포널스출판사, 20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