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본 심폐소생술이란?
심폐소생술 방법
1. 심폐소생술의 목적
구조호흡의 실시요령
1. 의식 유무 확인
2. 호흡 확인
3. 환자의 자세 교정
4. 기도개방
5. 머리 뒤로 젖히기 / 턱 끌어 올리기
6. 호흡 유무 확인(보고, 듣고, 느낌)
7. 두 번 충분히 불어넣기
8. 맥박(경동맥)확인
9. 규칙적으로 불어넣기
10. 맥박 재확인
심폐소생술 방법
1. 심폐소생술의 목적
구조호흡의 실시요령
1. 의식 유무 확인
2. 호흡 확인
3. 환자의 자세 교정
4. 기도개방
5. 머리 뒤로 젖히기 / 턱 끌어 올리기
6. 호흡 유무 확인(보고, 듣고, 느낌)
7. 두 번 충분히 불어넣기
8. 맥박(경동맥)확인
9. 규칙적으로 불어넣기
10. 맥박 재확인
본문내용
을 들여 마시고 입을 크게 벌려 환자의 입언저리에 처치원의 입술을 완전히 밀착시키고 불어 넣는다.
각각의 불어넣기는 1~1.5초 정도로 하되 환자의 가슴이 올라가게 충분히 불어넣어 준다.
첫번째와 두번째 불어넣기 사이의 시간은 큰 숨을 들이 마시는 정도면 된다.
8. 맥박(경동맥)확인
처치원은 입을 떼어 환자의 허파에서 공기가 빠져나오도록 하고 가슴의 오르내림을 관찰함과 동시에 아래턱에 있던 손으로 맥박(경동맥)을 감지한다.
요령은 검지와 중지를 환자의 목젖(아듬스 애플)에 얹고 처치원쪽에 있는 환자의 기관과 목근육 사이의 오목한 부위로 미끌리듯 내려 그곳의 경동맥이 동시에 호흡하는지도 확인한다.
이 맥박을 경동맥이라 한다.
▶ 어린이의 이마에 얹은 처치 원의 손은 머리가 neutral - plus위치를 유지하도록 두고 어린이의 발 쪽에 있는 다른 손으로 맥박을 찾는다. 우선 엄지와 검지를 어린이의 목에 있는 울대에 놓는다. 그런 뒤 어린이 목옆의 기관과 근육 사이에 우묵하게 들어간 곳을 따라 손가락을 미 끌리듯 움직여 경동 맥을 찾는다.
▶ 손가락 끝으로 가볍게 눌러 10초간 경동 맥의 박동을 느껴본다.
엄지로 하면 처치원 자신의 맥박이 느껴질 수 있으므로 검지와 중지로 해야 한다.
9. 규칙적으로 불어넣기
맥박 감지 후 맥박은 있으나 호흡을 하지 않으면 즉시 규칙적으로 불어넣기를 실시한다.
○ 성인 : 5초간격으로 1분에 12회
○ 어린이와 영아 : 3초 간격으로 1분에 20회
9-1. 코에 불어넣기
어린이의 입에 인공호흡을 할 수 없을 경우가 가끔 있다. 어린이 사고 시 턱과 입에 부상을 입거나 턱이 다쳐 열리지 않을 때이다. 이때에는 입으로 코에 불어넣기를 한다
▶ 어린이의 머리 쪽에 있는 손을 어린이의 이마에 얹고 어린이의 머리가 neutral - plus 위치에 오도록 가볍게 뒤로 젖힌다.
▶ 다른 손으로 턱을 밀어 입을 다물게 한다. 이때 목 이 눌리지 않도록 한다. 숨을 깊이 들이마시고 입을 크게 벌려 입을 어린이의 코에 밀착시킨다.
매번 1-1.5초간 천천히 공기를 코에 불어넣는다.불어넣은 후 가능하면 어린이의 입을 벌려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한다.
숨을 깊이 들이마시고 입을 크게 벌려 입을 어린이의 코에 밀착시킨다.매번 1-1.5초간 천천히 공기를 코에 불어넣는다.불어넣은 후 가능하면 어린이의 입을 벌려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한다.
▣ 다음과 같은 상황이 될 때까지 구조호흡을 계속한다
▶ 어린이가 스스로 호흡하기 시작 할 때
▶ 훈련이 된 다른 처치원과 교대할 때
▶ 응급의료 요원이 도착하여 교대 할 때
▶ 처치 원이 너무 지쳐 인공호흡을 더 이상 계속 할 수 없을 때
10. 맥박 재확인
규칙적으로 불어넣기를 1분간 실시한 후 기도개방이 유지된 상태로 경동맥을 10초동안 재 감지한다. 그 때도 호흡을 하지 않는다면 규칙적으로 불어넣기를 계속 실시하고 다시 1분 후 맥박과 호흡 유무를 재확인하여야 한다. 확인 중 맥박도 정지되어 있으면 즉시 가슴압박을 병행하여 실시하여야 한다(심폐소생법)
각각의 불어넣기는 1~1.5초 정도로 하되 환자의 가슴이 올라가게 충분히 불어넣어 준다.
첫번째와 두번째 불어넣기 사이의 시간은 큰 숨을 들이 마시는 정도면 된다.
8. 맥박(경동맥)확인
처치원은 입을 떼어 환자의 허파에서 공기가 빠져나오도록 하고 가슴의 오르내림을 관찰함과 동시에 아래턱에 있던 손으로 맥박(경동맥)을 감지한다.
요령은 검지와 중지를 환자의 목젖(아듬스 애플)에 얹고 처치원쪽에 있는 환자의 기관과 목근육 사이의 오목한 부위로 미끌리듯 내려 그곳의 경동맥이 동시에 호흡하는지도 확인한다.
이 맥박을 경동맥이라 한다.
▶ 어린이의 이마에 얹은 처치 원의 손은 머리가 neutral - plus위치를 유지하도록 두고 어린이의 발 쪽에 있는 다른 손으로 맥박을 찾는다. 우선 엄지와 검지를 어린이의 목에 있는 울대에 놓는다. 그런 뒤 어린이 목옆의 기관과 근육 사이에 우묵하게 들어간 곳을 따라 손가락을 미 끌리듯 움직여 경동 맥을 찾는다.
▶ 손가락 끝으로 가볍게 눌러 10초간 경동 맥의 박동을 느껴본다.
엄지로 하면 처치원 자신의 맥박이 느껴질 수 있으므로 검지와 중지로 해야 한다.
9. 규칙적으로 불어넣기
맥박 감지 후 맥박은 있으나 호흡을 하지 않으면 즉시 규칙적으로 불어넣기를 실시한다.
○ 성인 : 5초간격으로 1분에 12회
○ 어린이와 영아 : 3초 간격으로 1분에 20회
9-1. 코에 불어넣기
어린이의 입에 인공호흡을 할 수 없을 경우가 가끔 있다. 어린이 사고 시 턱과 입에 부상을 입거나 턱이 다쳐 열리지 않을 때이다. 이때에는 입으로 코에 불어넣기를 한다
▶ 어린이의 머리 쪽에 있는 손을 어린이의 이마에 얹고 어린이의 머리가 neutral - plus 위치에 오도록 가볍게 뒤로 젖힌다.
▶ 다른 손으로 턱을 밀어 입을 다물게 한다. 이때 목 이 눌리지 않도록 한다. 숨을 깊이 들이마시고 입을 크게 벌려 입을 어린이의 코에 밀착시킨다.
매번 1-1.5초간 천천히 공기를 코에 불어넣는다.불어넣은 후 가능하면 어린이의 입을 벌려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한다.
숨을 깊이 들이마시고 입을 크게 벌려 입을 어린이의 코에 밀착시킨다.매번 1-1.5초간 천천히 공기를 코에 불어넣는다.불어넣은 후 가능하면 어린이의 입을 벌려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한다.
▣ 다음과 같은 상황이 될 때까지 구조호흡을 계속한다
▶ 어린이가 스스로 호흡하기 시작 할 때
▶ 훈련이 된 다른 처치원과 교대할 때
▶ 응급의료 요원이 도착하여 교대 할 때
▶ 처치 원이 너무 지쳐 인공호흡을 더 이상 계속 할 수 없을 때
10. 맥박 재확인
규칙적으로 불어넣기를 1분간 실시한 후 기도개방이 유지된 상태로 경동맥을 10초동안 재 감지한다. 그 때도 호흡을 하지 않는다면 규칙적으로 불어넣기를 계속 실시하고 다시 1분 후 맥박과 호흡 유무를 재확인하여야 한다. 확인 중 맥박도 정지되어 있으면 즉시 가슴압박을 병행하여 실시하여야 한다(심폐소생법)
추천자료
심폐소생술(CPR)
[스포츠와건강][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CPR]심폐소생술(CPR)의 원리, 목적, 종류, 소아심폐소생술(CPR)고찰과 심폐소생...
[심폐소생술][CPR][심폐소생술(CPR) 방법][신생아 심폐소생술(CPR)]심폐소생술(CPR)의 개념, ...
[심폐소생술][CPR][심폐소생술(CPR) 목적][심폐소생술(CPR) 종류][심폐소생술(CPR) 방법]심폐...
응급소생술 CPR 심폐소생술에 관한 이론과 실습.
OCU 생활속의 응급처치 심폐소생술 - 2010 AHA 가이드 라인 및 2011년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
심폐소생술의 의의 및 방법 -심폐소생술에 대하여-
[약리학] 심폐소생술 (CPR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심폐소생술에 쓰이는 약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