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긍정적인 사고를 위한 유머를 사용해야 한다."여기 맞히는 건 정말 어렵지. 만일 오늘 네가 여길 맞힌다면 아마 너는 죽을 때까지 두 번 다시 여길 맞추지 못할 수도 있어. 어떤 사람은 평생 동안 한번도 못 맞히고 죽거든." 이 말을 들으면 대부분의 아이들은 낄낄거리며 웃는다.
"와! 넌 이제 펴어생 다트 안 던져도 되겠다야. 이 정도를 했다는 것만 해도 정말 대단하거든. 넌 평생 과업을 다 이룬거야."
순간순간을 즐긴다. 사소한 것에도 즐거워하고 만족할 줄 알게 되는 것이다.
게임에 대한 승부욕이 많은 아이들과 상담을 할 때는 "이겼다고 잘난 척하지 말고, 졌다고 짜증내지 말자!"라는 구호를 세 차례 외치게 한 뒤에 시작한다. 아이들은 이 구호 외치기를 매우 재미있어 한다. 신기하게도 이 구호를 외친 날은 정말로 잘난 척하고 짜증내는 아이들이 없다.
가장 좋은 대화법은 진실한 마음으로 대화하는 것이다.
우애를 다지는 대화법
부정적인 경험보다 함께 나눈 긍정적인 경험이 많았기에 우리는 '형제'라는 말을 들으면 가슴 한구석이 따뜻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형제간의 경쟁이 부모의 적절한 중재 없이 치열해지면 심각한 정신적인 문제로 발전할 수 있음을 정신건강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중재해야 할까?
숨겨진 소망을 읽어주는 단계별 개입
"엄마는 맨날 동생만 봐주고..."라는 불평에 "엄마가 너랑 더 많이 놀아주잖아."라고 반응하는 것은 아이의 감정을 헤아려주는 것이 아니라 변명을 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럴 때는 "엄마가 동생하고 시간을 많이 보내는 게 싫었구나."라고 말해주는 것이 더 현명한 대답이다.
"엄마, 지수가 나한테 멍청이라고 했어요!"라고 말할 때, "못 들은 척해라."라고 말하기보다 "지수가 그렇게 말해서 네가 정말 화가 많이 났구나."라고 말해주는 것이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는 것이다.
형제자맥 없어졌으면 좋겠다고 말할 때는 "엄마는 네가 진짜로는 동생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알고 있어." 혹은 "동생이 싫구나. 없어졌으면 좋겠구나."라고 말하는 것은 아이에게 죄책감만 심어준다. 이럴 때는 아이가 표현한 말 이면에 숨어 있는 아이의 소망을 반영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동생이 지금 여기 없었으면 하는구나. 가끔은 동생이 가버렷으면 하고 바랄 때가 있구나."라고 말해주는 것이 적절하다. 동생이 만날 미운 것은 아닌데 동생을 미워하는 것을 기정사실화하면 아이들은 당황한다.
"와! 넌 이제 펴어생 다트 안 던져도 되겠다야. 이 정도를 했다는 것만 해도 정말 대단하거든. 넌 평생 과업을 다 이룬거야."
순간순간을 즐긴다. 사소한 것에도 즐거워하고 만족할 줄 알게 되는 것이다.
게임에 대한 승부욕이 많은 아이들과 상담을 할 때는 "이겼다고 잘난 척하지 말고, 졌다고 짜증내지 말자!"라는 구호를 세 차례 외치게 한 뒤에 시작한다. 아이들은 이 구호 외치기를 매우 재미있어 한다. 신기하게도 이 구호를 외친 날은 정말로 잘난 척하고 짜증내는 아이들이 없다.
가장 좋은 대화법은 진실한 마음으로 대화하는 것이다.
우애를 다지는 대화법
부정적인 경험보다 함께 나눈 긍정적인 경험이 많았기에 우리는 '형제'라는 말을 들으면 가슴 한구석이 따뜻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형제간의 경쟁이 부모의 적절한 중재 없이 치열해지면 심각한 정신적인 문제로 발전할 수 있음을 정신건강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중재해야 할까?
숨겨진 소망을 읽어주는 단계별 개입
"엄마는 맨날 동생만 봐주고..."라는 불평에 "엄마가 너랑 더 많이 놀아주잖아."라고 반응하는 것은 아이의 감정을 헤아려주는 것이 아니라 변명을 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럴 때는 "엄마가 동생하고 시간을 많이 보내는 게 싫었구나."라고 말해주는 것이 더 현명한 대답이다.
"엄마, 지수가 나한테 멍청이라고 했어요!"라고 말할 때, "못 들은 척해라."라고 말하기보다 "지수가 그렇게 말해서 네가 정말 화가 많이 났구나."라고 말해주는 것이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는 것이다.
형제자맥 없어졌으면 좋겠다고 말할 때는 "엄마는 네가 진짜로는 동생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알고 있어." 혹은 "동생이 싫구나. 없어졌으면 좋겠구나."라고 말하는 것은 아이에게 죄책감만 심어준다. 이럴 때는 아이가 표현한 말 이면에 숨어 있는 아이의 소망을 반영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동생이 지금 여기 없었으면 하는구나. 가끔은 동생이 가버렷으면 하고 바랄 때가 있구나."라고 말해주는 것이 적절하다. 동생이 만날 미운 것은 아닌데 동생을 미워하는 것을 기정사실화하면 아이들은 당황한다.
추천자료
[A+평가자료] 모방범 독후감입니다. 심리학적 측면에서 모방범이라는 소설과 사이코 패스에 ...
[독후감] <독이 되는 부모(Toxic Parents)>를 읽고.. (수잔 포워드(Susan Forward) 저)
긍정의 심리학 독후감
부부의 심리학 독후감
[독후감] 김혜남의 <서른살이 심리학에게 묻다>를 읽고
아기성장보고서-독후감 및 에세이(교육심리학)
[상담심리학 과제] 『오제은 교수의 자기사랑노트 (오제은 저, 출판사 : 샨티)』를 읽고 독후...
[교육심리 독후감/비평/요약] 자녀교육심리학에게 길을 묻다 _ 캐리리먼 박사
아들러 심리학 - 미움받을 용기 독후감, 독서감상문(우수 감상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