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그것은 이렇게 하는 것이 더 좋다" 이와같은 언어표현은 자녀에게 문제해결 방법을 제시하여 그래도 받아들이게 하는 것입니다. 이런 환경에서 자란 아이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면 어른에게 의존합니다.
자신의 해결방법에 대해서는 자신감이 없기 때문입니다.
해석, 분석
"네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까봐 두렵구나." 이렇게 심리학자처럼 부모가 모든내용을 자세히 듣고 분석하면 아이가 거리감을 갖게 됩니다.
평가, 비판
"너는 골칫거리야" "네가 아직 어리다는 증거야" 이런 말을 자주 듣고 자란 아이는 자신이 어리석고 가치없는 존재로 느끼고, 자신을 나브게 평가하는 부모를 존중하지 않게 되며 때로는 반항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어려움이 있을 때에는 부모보다 다른사람을 찾게 됩니다.
탐색, 신문
"어떻게 할 거니?" "아까는 왜 그렇게 행동했지?" 아이의 말이나 행동의 원인을 꼬치꼬치 추궁하는 말은 아이를 심판대에 올려놓는 것과 같습니다. 부모는 항상 옳고 아이는 그르다는 것을 입증하려 하면, 아이는 부모와 이야기하고 싶은 의욜을 잃고 입을 다물게 됩니다. 나아가 반발심을 갖게 될 수도 있습니다.
대충 대답하고 둘러대기
"그래그래, 내일 사 줄게" 이런 언어표현을 곤란한 상황을 피하려고 지킬 수 없는 약속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한 약속에 대해서는 핑계를 대며 자꾸만 미룹니다. 이런 일이 자주 생기면 아이는 부모를 믿지 못하게 됩니다.
비교
"옆집 아이는 참 착하더라" "동생 좀 본받아라" 이런 언어표현은 평가보다 더 심한 좌절감을 안겨 줍니다. 그렇지 않아도 열들감, 질투심을 느끼는데 더 부채질을 하는 결과가 됩니다.
강의 하듯 가르치기
"공부를 열심히 하면 나중에 더 성공할 수 있고 돈도 더 많이 벌 수 있단다." 오랜 인생 여정을 거쳐 온 부모가 인생 문제에 많은 지식이 있음을 나타내면 아이는 반발하게 됩니다.
칭찬, 부추김
"너는 가능성이 높은 아이였잖아" 이런 칭찬은 외적인 통제와 평가가 전제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는 부모의 기대에 부응해야 하는 부담을 갖게 됩니다. 그러므로 그보다는 내적인 평가와 노력에 대한 향상을 인정하는 격려가 더 바람직 합니다.
비웃고 별명 부르기
"너는 바보처럼 얘기하는구나." " 야 이돼지야" 이처럼 부모는 자녀를 조롱하는 말, 빈정거리는 말, 자녀를 기족이는 농담 등을 자기도 모르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친구들이 해도 싫은데 부모가 이런말은 하면 아이가 얼마나 싫어 하겠습니까!
자신의 해결방법에 대해서는 자신감이 없기 때문입니다.
해석, 분석
"네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까봐 두렵구나." 이렇게 심리학자처럼 부모가 모든내용을 자세히 듣고 분석하면 아이가 거리감을 갖게 됩니다.
평가, 비판
"너는 골칫거리야" "네가 아직 어리다는 증거야" 이런 말을 자주 듣고 자란 아이는 자신이 어리석고 가치없는 존재로 느끼고, 자신을 나브게 평가하는 부모를 존중하지 않게 되며 때로는 반항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어려움이 있을 때에는 부모보다 다른사람을 찾게 됩니다.
탐색, 신문
"어떻게 할 거니?" "아까는 왜 그렇게 행동했지?" 아이의 말이나 행동의 원인을 꼬치꼬치 추궁하는 말은 아이를 심판대에 올려놓는 것과 같습니다. 부모는 항상 옳고 아이는 그르다는 것을 입증하려 하면, 아이는 부모와 이야기하고 싶은 의욜을 잃고 입을 다물게 됩니다. 나아가 반발심을 갖게 될 수도 있습니다.
대충 대답하고 둘러대기
"그래그래, 내일 사 줄게" 이런 언어표현을 곤란한 상황을 피하려고 지킬 수 없는 약속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한 약속에 대해서는 핑계를 대며 자꾸만 미룹니다. 이런 일이 자주 생기면 아이는 부모를 믿지 못하게 됩니다.
비교
"옆집 아이는 참 착하더라" "동생 좀 본받아라" 이런 언어표현은 평가보다 더 심한 좌절감을 안겨 줍니다. 그렇지 않아도 열들감, 질투심을 느끼는데 더 부채질을 하는 결과가 됩니다.
강의 하듯 가르치기
"공부를 열심히 하면 나중에 더 성공할 수 있고 돈도 더 많이 벌 수 있단다." 오랜 인생 여정을 거쳐 온 부모가 인생 문제에 많은 지식이 있음을 나타내면 아이는 반발하게 됩니다.
칭찬, 부추김
"너는 가능성이 높은 아이였잖아" 이런 칭찬은 외적인 통제와 평가가 전제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는 부모의 기대에 부응해야 하는 부담을 갖게 됩니다. 그러므로 그보다는 내적인 평가와 노력에 대한 향상을 인정하는 격려가 더 바람직 합니다.
비웃고 별명 부르기
"너는 바보처럼 얘기하는구나." " 야 이돼지야" 이처럼 부모는 자녀를 조롱하는 말, 빈정거리는 말, 자녀를 기족이는 농담 등을 자기도 모르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친구들이 해도 싫은데 부모가 이런말은 하면 아이가 얼마나 싫어 하겠습니까!
추천자료
부모-자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문제청소년과 일반청소년 비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부모-자녀간 효과적인 의사소통법에 대하여
부모자녀관계시 의사소통과 갈등에 대한 설명
[논문]부모-자녀간 이동전화활용과 의사소통유형에 관한 연구
<토마스 고든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12가지 걸림돌>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유아시기에 부모-자녀간 긍정적인 의사소통 방법
[노부모와 성인자녀 관계] 노부모 - 성인자녀간의 상호작용, 성인자녀 간의 갈등과 의사소통,...
[연구계획서] 부모-자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 가족관계_의사소통,대화단절,가정문제,가정 내 의사소통의 중요성.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