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올림픽에 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고대올림픽은 어떻게 열렸나
판크라티온이란
나체로 참가한 선수들
고대올림픽의 중지

본문내용

픽에서 처음으로 여성의 종목 참가가 허용되었다.
고대올림픽의 중지
313년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와 리키니우스는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를 공인하였다. 건국초부터 유지되어 오던 로마의 다신교체제가 붕괴되고 유일신체제가 시작된 것이다. 그리하여 기독교의 오랜 박해의 역사가 막을 내렸다. 이것은 한편으로 올림피아 경기의 시련을 의미하는 전주이기도 했다.
379년 테오도시우스 1세는 올림픽 제전에 최후의 1격을 가했다. 카톨릭의 세례를 받은 그는 381년에 신전에 희생을 바치거나 그것으로 점치는 것을 금지시켰다. 신전에 참배하는 것을 금지하지는 않았으나, 그때부터 그리스 전역에 산재한 신전의 파괴와 약탈이 시작되었다.
293회 경기가 열리던 393년 마침내 테오도시우스는 올림피아 제전을 금지하였다. 그리고 426년 동로마제국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신전의 파괴를 명령하고, 올림피아에도 파괴와 약탈이 자행되었다. 제우스신상의 머리는 잘리워져 멀리 콘스탄티노플까지 운반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1천년을 넘게 이어져온 올림피아 제전이 쉽게 중지되지는 않았다. 유스티니아누스 황제가 다시 금지령을 내린 것을 보면 5세기 중엽까지 명맥을 유지한 것을 알 수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7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