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대올림픽의 정신
2. 고대올림픽의 기원
3. 고대올림픽의 성격
4. 고대올림픽 경기종목
5. 고대올림픽의 개최시기와 일정
6. 고대 올림픽의 특징
7. 고대올림픽의 쇠퇴
8. 고대올림픽의 종말
9. 고대올림픽 유적
10. 고대 올림픽의 흔적
2. 고대올림픽의 기원
3. 고대올림픽의 성격
4. 고대올림픽 경기종목
5. 고대올림픽의 개최시기와 일정
6. 고대 올림픽의 특징
7. 고대올림픽의 쇠퇴
8. 고대올림픽의 종말
9. 고대올림픽 유적
10. 고대 올림픽의 흔적
본문내용
제전경기는 393년 제293회를 마지막으로 해 이듬해 그리스도교를 국교로 정한 로마 제국의 테오도시우스 대제의 이교 금지령에 따라 오랜 역사의 막을 내렸다. 제290회 이후에는 우승자의 기록도 전혀 남아 있지 않을 뿐 아니라 426년에 로마의 테오도시우스 2세가 기독교가 아닌 종교들은 신전을 모두 파괴하라는 명령을 내려 올림피아 신전도 철거됐으며 남아 있던 건물들도 지진과 홍수에 의해 폐허로 변했다.
9. 고대올림픽 유적
올림피아의 유적은 1876~81년 사이 독일의 고고학자 E.쿠르티우스가 발굴하였고, 이어서 1942년 독일 발굴대가 재발굴을 완료했고 경기장의 유적은 독일의 발굴대가 1952년 발굴에 착수하여 61년에 완료했다.
10. 고대 올림픽의 흔적
고대올림픽과 근대올림픽 사이에도 올림픽과 비슷한 성격의 대회가 열렸다. 1936년 영국에서 대대적으로 열렸던 코츠월드 올림픽이 그 첫번째다. 종목으로는 무거운 물건 던지기, 검도, 곡예, 높이 뛰기 등이 있었으며 연중 행사로 2세기에 걸쳐 지속됐다. 또한 19세기 스코틀랜드에서는 '하이랜드'라는 경기를 통해 멀리뛰기, 삼단뛰기, 투포환, 투해머 등의 경기를 통해 힘과 스피드, 민첩성을 겨뤘다.
9. 고대올림픽 유적
올림피아의 유적은 1876~81년 사이 독일의 고고학자 E.쿠르티우스가 발굴하였고, 이어서 1942년 독일 발굴대가 재발굴을 완료했고 경기장의 유적은 독일의 발굴대가 1952년 발굴에 착수하여 61년에 완료했다.
10. 고대 올림픽의 흔적
고대올림픽과 근대올림픽 사이에도 올림픽과 비슷한 성격의 대회가 열렸다. 1936년 영국에서 대대적으로 열렸던 코츠월드 올림픽이 그 첫번째다. 종목으로는 무거운 물건 던지기, 검도, 곡예, 높이 뛰기 등이 있었으며 연중 행사로 2세기에 걸쳐 지속됐다. 또한 19세기 스코틀랜드에서는 '하이랜드'라는 경기를 통해 멀리뛰기, 삼단뛰기, 투포환, 투해머 등의 경기를 통해 힘과 스피드, 민첩성을 겨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