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같이 본 글에서는 유산균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 및 치료 의약 소재의 개발에 관하여 소개하였다. 이 외에도 유산균 분야에 관한 내용은 매우 광범위한데 필자는 다른 학술지를 통하여 그동안 유산균의 산업적 응용과 우수 균주 선발에 대하여 소개하여 왔다.
본 글에서는 최근에 유산균 분야에서 세계적 관심을 갖고 있는 첨단적 내용을 추가적으로 소개하였다. 일반적으로 식품 분야에서 최근 건강 기능성에 관한 부분이 점차 중요해지는 것과 같이 유산균 분야에서도 역시 기능성 분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나아가, 단순히 식품 차원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앞에서 일부 언급된 바와 같이 치료의학용 균주 개발도 점차 활기를 띄고 있다. 따라서 연구 및 개발의 분야가 확대되며 점차 공동 연구 및 공동 개발, 자원의 아웃 소싱이 더욱 필요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공동 연구 및 공동 개발에서 상당히 비효율적인 면을 갖고 있다. 산학연 간의 신뢰의 부족, 투명하고 선명한 합의에 의한 계약 연구 등 아직 개선하여야 할 부분이 많다.
또한 연구 개발에서도 우리 실정에 적합한 틈새 전략적 연구를 통한 원천 기술 및 핵심기술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제는 미국과 유럽 등의 선진국과 우리나라, 또한 중국 및 인도네시아 등 후발국 간에도 기술적인 차이는 상당히 좁혀져 있다.
따라서 창의적이고 순발력 있는 기술 개발 및 소비자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는 제품 개발이 요구된다. 유산균 분야에서도 우리나라의 인프라를 바탕으로 가장 경쟁력 있고 부가가치가 높은 지속적 연구 개발을 한다면 우리의 제품을 보다 세계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글에서는 최근에 유산균 분야에서 세계적 관심을 갖고 있는 첨단적 내용을 추가적으로 소개하였다. 일반적으로 식품 분야에서 최근 건강 기능성에 관한 부분이 점차 중요해지는 것과 같이 유산균 분야에서도 역시 기능성 분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나아가, 단순히 식품 차원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앞에서 일부 언급된 바와 같이 치료의학용 균주 개발도 점차 활기를 띄고 있다. 따라서 연구 및 개발의 분야가 확대되며 점차 공동 연구 및 공동 개발, 자원의 아웃 소싱이 더욱 필요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공동 연구 및 공동 개발에서 상당히 비효율적인 면을 갖고 있다. 산학연 간의 신뢰의 부족, 투명하고 선명한 합의에 의한 계약 연구 등 아직 개선하여야 할 부분이 많다.
또한 연구 개발에서도 우리 실정에 적합한 틈새 전략적 연구를 통한 원천 기술 및 핵심기술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제는 미국과 유럽 등의 선진국과 우리나라, 또한 중국 및 인도네시아 등 후발국 간에도 기술적인 차이는 상당히 좁혀져 있다.
따라서 창의적이고 순발력 있는 기술 개발 및 소비자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는 제품 개발이 요구된다. 유산균 분야에서도 우리나라의 인프라를 바탕으로 가장 경쟁력 있고 부가가치가 높은 지속적 연구 개발을 한다면 우리의 제품을 보다 세계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