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농업과학기술 개발 방향
Ⅱ. 세부 추진계획
1. 농업을 생명공학의 선도산업으로 육성
2. 쌀 품질고급화 및 유통개선 지원
3. 농축산물의 경쟁력 제고 및 수출확대
4. 환경친화적 지속 가능한 농업기반 구축
Ⅲ. 추진체계 및 전략
Ⅱ. 세부 추진계획
1. 농업을 생명공학의 선도산업으로 육성
2. 쌀 품질고급화 및 유통개선 지원
3. 농축산물의 경쟁력 제고 및 수출확대
4. 환경친화적 지속 가능한 농업기반 구축
Ⅲ. 추진체계 및 전략
본문내용
('10) 60천톤
- 출하체중 : 1.6(현재) → 2.5 kg 이상 (수출규격)
○ 양계 수출품목의 다양화 및 생산현장의 애로사항 타개
- 삼계탕 전용, 가공용(대형), 부위별 출하용 등
- 세계 최고수준의 고품질 농축산물 생산기술 개발로 수출 확대 -
4. 環境親和的 持續 가능한 農業基盤 構築
농업의 다원적 기능, 기후변화 협약, 농업생산 관련 환경 문제 등 국제쟁점현안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소비자의 안전농산물 요구에 부응하는 친환경농업 기술을 정착
□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실태를 정밀분석하여 정책에 활용
○ 국제적 논의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농촌의 경제적 가치 분석
○ 생산환경 조건별 다원적 기능의 비교 평가(논, 밭, 휴경지)
※ 농업의 공익기능 계량화 및 농촌의 가치 등 개념분석은 완료
□ OECD 수준의 농업환경 보전형 농업기술 연구강화
○ 비 료 : 다 수 확 ⇒ 토양 및 수질보전
○ 병해충 : 화학농약 ⇒ 종합방제시스템
※ 2005년까지 토양정보 D/B화, 검정시비, 부존자원의 퇴비화, 병해충 예찰정보 활용, 천적이용으로 화학비료·농약 30% 절감
○ 국제 기후변화 협약관련 온실가스 배출 저감 추진 : 논, 밭, 축산
○ 농업생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에 대한 보강
□ 한·중·일 공동으로 아시아형 유기농업기술 체계 확립
○ 아시아의 유기농 재배기준을 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지침에 규격으로 설정
○ 유기농산물 생산에 사용하는 대체자재(비료·농약) 개발
□ 새만금 간척사업 추진에 필요한 친환경 농업기술 도입
○ 수질오염 방지, 내염성 품종 개발, 신속 제염방법 등
- 농업과 환경이 조화되는 지속 가능한 농업 실현 -
Ⅲ. 推進體系 및 戰略
□ 21세기 농업생명과학을 주도하는 정부연구체계 구축
○ 수원은 식물, 천안은 동물생명과학의 중심연구단지로 집중 육성
○ 농업과학기술원 생물자원부를「농업생명공학연구원」으로 확대개편 - 작목연구기관(작물, 원예, 축산)에 생명공학과 설치 : 실용화 연구 전담
□ 대학·연구소·산업체가 모두 참여하는 국책사업 시행
○ 농업생명공학 집중육성을 위한「바이오그린21사업」수행
- 국제적으로 비교우위 확보가 가능한 5개 핵심분야의 20개 전략 프로젝트에 집중 투자(2001∼2010, 7,000억원 투자)
- 산학연 공동운영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국내 전문인력을 총동원
○ 산학연이 공동 참여하는 국가차원의「친환경농업 연구」확대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첨단·현장 기술개발 보급
○ 농업생명공학, 농산물 품질고급화, 친환경농업 등에 집중투자
○ 철저한 사전기획 및 평가시스템 구축 등 투자효율성을 극대화
○ 현장의 문제점을 연구과제로 발굴, 고급 연구·지도인력으로 구성된 「시군별 컨설팅지원반」이 농가 애로사항을 해결
<농가소득 향상 및 산업화에 직결되는 기술개발(예)
○ 양잠산물개발 : 혈당강하제('95), 동충하초('97), 누에그라('01)
- 호당 농가소득 : ('94)79 → ('95)225 → ('01)1,000만원
- IT와 BT를 접목하여 선진첨단농업(AT) 구현 -
- 출하체중 : 1.6(현재) → 2.5 kg 이상 (수출규격)
○ 양계 수출품목의 다양화 및 생산현장의 애로사항 타개
- 삼계탕 전용, 가공용(대형), 부위별 출하용 등
- 세계 최고수준의 고품질 농축산물 생산기술 개발로 수출 확대 -
4. 環境親和的 持續 가능한 農業基盤 構築
농업의 다원적 기능, 기후변화 협약, 농업생산 관련 환경 문제 등 국제쟁점현안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소비자의 안전농산물 요구에 부응하는 친환경농업 기술을 정착
□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실태를 정밀분석하여 정책에 활용
○ 국제적 논의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농촌의 경제적 가치 분석
○ 생산환경 조건별 다원적 기능의 비교 평가(논, 밭, 휴경지)
※ 농업의 공익기능 계량화 및 농촌의 가치 등 개념분석은 완료
□ OECD 수준의 농업환경 보전형 농업기술 연구강화
○ 비 료 : 다 수 확 ⇒ 토양 및 수질보전
○ 병해충 : 화학농약 ⇒ 종합방제시스템
※ 2005년까지 토양정보 D/B화, 검정시비, 부존자원의 퇴비화, 병해충 예찰정보 활용, 천적이용으로 화학비료·농약 30% 절감
○ 국제 기후변화 협약관련 온실가스 배출 저감 추진 : 논, 밭, 축산
○ 농업생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에 대한 보강
□ 한·중·일 공동으로 아시아형 유기농업기술 체계 확립
○ 아시아의 유기농 재배기준을 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지침에 규격으로 설정
○ 유기농산물 생산에 사용하는 대체자재(비료·농약) 개발
□ 새만금 간척사업 추진에 필요한 친환경 농업기술 도입
○ 수질오염 방지, 내염성 품종 개발, 신속 제염방법 등
- 농업과 환경이 조화되는 지속 가능한 농업 실현 -
Ⅲ. 推進體系 및 戰略
□ 21세기 농업생명과학을 주도하는 정부연구체계 구축
○ 수원은 식물, 천안은 동물생명과학의 중심연구단지로 집중 육성
○ 농업과학기술원 생물자원부를「농업생명공학연구원」으로 확대개편 - 작목연구기관(작물, 원예, 축산)에 생명공학과 설치 : 실용화 연구 전담
□ 대학·연구소·산업체가 모두 참여하는 국책사업 시행
○ 농업생명공학 집중육성을 위한「바이오그린21사업」수행
- 국제적으로 비교우위 확보가 가능한 5개 핵심분야의 20개 전략 프로젝트에 집중 투자(2001∼2010, 7,000억원 투자)
- 산학연 공동운영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국내 전문인력을 총동원
○ 산학연이 공동 참여하는 국가차원의「친환경농업 연구」확대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첨단·현장 기술개발 보급
○ 농업생명공학, 농산물 품질고급화, 친환경농업 등에 집중투자
○ 철저한 사전기획 및 평가시스템 구축 등 투자효율성을 극대화
○ 현장의 문제점을 연구과제로 발굴, 고급 연구·지도인력으로 구성된 「시군별 컨설팅지원반」이 농가 애로사항을 해결
<농가소득 향상 및 산업화에 직결되는 기술개발(예)
○ 양잠산물개발 : 혈당강하제('95), 동충하초('97), 누에그라('01)
- 호당 농가소득 : ('94)79 → ('95)225 → ('01)1,000만원
- IT와 BT를 접목하여 선진첨단농업(AT) 구현 -
추천자료
유통성공사례-농산물
한국유통시장의 미래
농산물유통에 관한 고찰
종가집 김치의 유통경로를 통한 유통구조의 이해
[유통] 우리나라 유통산업의 발전과 변화추세 분석
달걀의 유통현황과 문제점(식품의 유통경로)
대형유통업체, 편의점 PB 상품 현황조사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GS리테일
다국적기업,월마트,월마트경영전략,월마트전략,월마트마케팅전략,유통산업,유통산업분석,유통...
[유통구조, 문화컨텐츠산업, 음반산업]문화컨텐츠산업의 유통구조, 음반산업의 유통구조, 소...
[유통구조, 물류산업, 음반산업, 게임산업, 농수산물소매업, 수산업]물류산업의 유통구조, 음...
[신유통업태][신유통][유통][신유통업태 유통혁명][신유통업태 현황]신유통업태의 유통혁명, ...
[농산물유통][농산물][유통][거래제도][대학교과내용]농산물유통의 변화, 농산물유통의 거래...
[유통산업][유통]유통산업의 뉴트렌드, 유통산업의 조직간정보시스템, 유통산업의 외국유통업...
유통관리론,드라마 산업의 유통구조,한국 드라마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