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기의 순환과정
(2). 경기변동
(3). 경기순환과 경기지표의 변동요인
(4). 경기순환의 특징
(5). 경기동향의 파악방법
1). 경제지표
2). 종합경기지표
3). 설문조사
4). 계량모형
(6). 경기종합지수(Composite Index : CI)
(7). 경기종합지수의 해석방법
1). 경기국면 및 전환점의 판단/예측
2). 경기종합지수의 한계
(2). 경기변동
(3). 경기순환과 경기지표의 변동요인
(4). 경기순환의 특징
(5). 경기동향의 파악방법
1). 경제지표
2). 종합경기지표
3). 설문조사
4). 계량모형
(6). 경기종합지수(Composite Index : CI)
(7). 경기종합지수의 해석방법
1). 경기국면 및 전환점의 판단/예측
2). 경기종합지수의 한계
본문내용
국면 및 전환점의 판단/예측
①현재의 경기국면과 전환점은 주로 동행지수인 순환변동치를 이용해 판단한다. 대체로 지표가 2분기 이상 상승하면 경기확장기, 하강하면 경기수축기로 간주하고 가장 높을 때와 낮을 때를 경기고점, 저점인 것으로 판단한다. 다만 지표의 최근 2~3년간 수치는 추정치임을 유의한다.
②향후 경기국면과 전환점의 단기예측에는 선행지수인 전년동월비가 주로 이용된다. 통상 지표가 현재까지와 반대방향으로 2분기 연속 움직이면 이 시점을 경기전환점 발생신호로 보고 여기에 과거 평균선행시차를 더하면 향후 국면전환이 발생할 시점을 대략 추정해 볼 수 있다.
③경기변동의 속도와 진폭은 주로 지수의 전월비 증감 추이를 과거 순환기와 비교하여 판단/예측한다.
2). 경기종합지수의 한계
경기선행지수의 선행시차 평균은 정점에서 12.8개월, 저점에서 5.4개월이지만 각각 8~15개월 및 3~10개월의 범위를 가진다. 그리고 선행지수가 3개월 연속 반대방향으로 움직여도 실제 경기전환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경기분석을 위해서는 당시 경기변동을 주도하는 부문 및 다른 지표의 분석과 함께 경제외적 상황의 움직임도 고려하여야 한다.
①현재의 경기국면과 전환점은 주로 동행지수인 순환변동치를 이용해 판단한다. 대체로 지표가 2분기 이상 상승하면 경기확장기, 하강하면 경기수축기로 간주하고 가장 높을 때와 낮을 때를 경기고점, 저점인 것으로 판단한다. 다만 지표의 최근 2~3년간 수치는 추정치임을 유의한다.
②향후 경기국면과 전환점의 단기예측에는 선행지수인 전년동월비가 주로 이용된다. 통상 지표가 현재까지와 반대방향으로 2분기 연속 움직이면 이 시점을 경기전환점 발생신호로 보고 여기에 과거 평균선행시차를 더하면 향후 국면전환이 발생할 시점을 대략 추정해 볼 수 있다.
③경기변동의 속도와 진폭은 주로 지수의 전월비 증감 추이를 과거 순환기와 비교하여 판단/예측한다.
2). 경기종합지수의 한계
경기선행지수의 선행시차 평균은 정점에서 12.8개월, 저점에서 5.4개월이지만 각각 8~15개월 및 3~10개월의 범위를 가진다. 그리고 선행지수가 3개월 연속 반대방향으로 움직여도 실제 경기전환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경기분석을 위해서는 당시 경기변동을 주도하는 부문 및 다른 지표의 분석과 함께 경제외적 상황의 움직임도 고려하여야 한다.
추천자료
경기분석방법
[농구]농구(농구경기)의 기원, 농구(농구경기)의 용어, 농구(농구경기)의 시설, 농구(농구경...
[스키][알파인스키경기]스키의 역사, 스키의 시대사 고찰 및 알파인스키경기의 종류, 알파인...
[테니스][테니스경기]테니스의 역사, 테니스의 용어 정리, 테니스의 용구, 테니스의 특성과 ...
[테니스][테니스경기][테니스운동]테니스의 연혁, 테니스의 운동효과, 테니스의 기본 기술과 ...
[야구][야구경기][프로야구][야구선수]야구(야구경기)의 정의, 야구(야구경기)의 기원, 야구(...
[탁구, 탁구경기, 라켓 잡는 방법, 이면타법]탁구(탁구경기)의 역사, 탁구(탁구경기)의 용어,...
[탁구경기, 탁구, 탁구경기 기원]탁구경기(탁구)의 기원, 탁구경기(탁구)의 역사, 탁구경기(...
[제조기업 경기국면][제조업 경기국면][제조업 경기국면 전망]제조기업(제조업) 경기국면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