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듀레이션(Duration;멕콜리듀레이션)
-콘벡서티(Covexity)
2.듀레이션의 생성 배경
3.듀레이션의 종류
4.채권의 듀레이션과 볼록성(Duration and Convexity)
5.듀레이션과 채권가격과의 관계
6.듀레이션을 결정하는 요인1.듀레이션(Duration;멕콜리듀레이션)
-콘벡서티(Covexity)
2.듀레이션의 생성 배경
3.듀레이션의 종류
4.채권의 듀레이션과 볼록성(Duration and Convexity)
5.듀레이션과 채권가격과의 관계
6.듀레이션을 결정하는 요인1.듀레이션(Duration;멕콜리듀레이션)
본문내용
우에는 추정오차는 더욱 커진다.
○ 대체적으로 힉스듀레이션을 이용한 채권가격변동성 측정은 미세한 변화에 대해서만 유용하며, 이것은 힉스듀레이션을 유도한 미분의 원리가 지니는 본질적 한계이다. 또한 힉스듀레이션은 단지 동일 시점의 채권가격변동을 측정하는 정태적인 분석지표이기 때문에 두 시점에 걸쳐서 일어나는 수익률 변동과 채권가격변동을 측정하는 지표는 되지 못한다.
○ 힉스듀레이션이 가진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듀레이션은 수익률 변화에 따른 채권가격의 변동폭을 결정하는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채권가격의 변동성은 듀레이션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듀레이션을 결정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채권가격의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요인들을 알아볼 수 있다.
6.듀레이션을 결정하는 요인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순히 최종 현금흐름의 발생시점을 의미하는 만기와 달리, 듀레이션은 모든 현금발생시기와 규모등 현금수입의 시간적 흐름과 만기, 채권수익률, 표면금리를 고려한 개념이다.
듀레이션 = ∮ (표면이자율, 만기, 채권수익률)
① 듀레이션과 표면이자율
듀레이션과 표면이자율의 크기는 역의 관계를 가진다. 즉 표면이자율이 클수록 듀레이션은 작아지고 채권가격의 변화정도도 작아진다. 왜냐하면 높은 표면이자율의 채권은 상대적으로 초기에 현금유입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년간 이자지급횟수가 많을수록 듀레이션은 작아진다.
<현금흐름과 듀레이션>
듀레이션은 투자시점이후의 현금흐름과 규모, 시기등을 고려한 개념으로서 무게중심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표면이율이 높거나 년가 이표지급횟수가 많아진다는 것은 다른조건이 일정하다면 무게중심의 좌측부분의 명목가치와 현재가치의 상승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무게중심은 좌측으로 이동 듀레이션은 작아지게 된다.
② 듀레이션과 채권수익률
듀레이션과 채권수익률은 역의 관계에 있다. 채권수익률이 높아질수록 듀레이션은 작아지며 이에 따라 채권수익률변화에 따른 채권가격의 변동성은 작아진다. 채권수익률은 채권의 현가를 구하는 할인율로 사용되며, 이 수익률이 높아진다면 먼 장래에 발생하는 현금유입의 현재가치는 가까운 장래에 발생하는 현금유입의 현재가치보다 비중이 작아진게 되어 듀레이션은 작아지게 된다.
③ 듀레이션과 만기
일반적으로 만기가 길수록 듀레이션은 크고 채권가격의 변동성은 크다. 이것은 표면이자율이 낮은 채권에서 만기가 길어질수록 듀레이션이 더 커지는 효과가 있다.
○ 대체적으로 힉스듀레이션을 이용한 채권가격변동성 측정은 미세한 변화에 대해서만 유용하며, 이것은 힉스듀레이션을 유도한 미분의 원리가 지니는 본질적 한계이다. 또한 힉스듀레이션은 단지 동일 시점의 채권가격변동을 측정하는 정태적인 분석지표이기 때문에 두 시점에 걸쳐서 일어나는 수익률 변동과 채권가격변동을 측정하는 지표는 되지 못한다.
○ 힉스듀레이션이 가진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듀레이션은 수익률 변화에 따른 채권가격의 변동폭을 결정하는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채권가격의 변동성은 듀레이션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듀레이션을 결정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채권가격의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요인들을 알아볼 수 있다.
6.듀레이션을 결정하는 요인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순히 최종 현금흐름의 발생시점을 의미하는 만기와 달리, 듀레이션은 모든 현금발생시기와 규모등 현금수입의 시간적 흐름과 만기, 채권수익률, 표면금리를 고려한 개념이다.
듀레이션 = ∮ (표면이자율, 만기, 채권수익률)
① 듀레이션과 표면이자율
듀레이션과 표면이자율의 크기는 역의 관계를 가진다. 즉 표면이자율이 클수록 듀레이션은 작아지고 채권가격의 변화정도도 작아진다. 왜냐하면 높은 표면이자율의 채권은 상대적으로 초기에 현금유입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년간 이자지급횟수가 많을수록 듀레이션은 작아진다.
<현금흐름과 듀레이션>
듀레이션은 투자시점이후의 현금흐름과 규모, 시기등을 고려한 개념으로서 무게중심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표면이율이 높거나 년가 이표지급횟수가 많아진다는 것은 다른조건이 일정하다면 무게중심의 좌측부분의 명목가치와 현재가치의 상승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무게중심은 좌측으로 이동 듀레이션은 작아지게 된다.
② 듀레이션과 채권수익률
듀레이션과 채권수익률은 역의 관계에 있다. 채권수익률이 높아질수록 듀레이션은 작아지며 이에 따라 채권수익률변화에 따른 채권가격의 변동성은 작아진다. 채권수익률은 채권의 현가를 구하는 할인율로 사용되며, 이 수익률이 높아진다면 먼 장래에 발생하는 현금유입의 현재가치는 가까운 장래에 발생하는 현금유입의 현재가치보다 비중이 작아진게 되어 듀레이션은 작아지게 된다.
③ 듀레이션과 만기
일반적으로 만기가 길수록 듀레이션은 크고 채권가격의 변동성은 크다. 이것은 표면이자율이 낮은 채권에서 만기가 길어질수록 듀레이션이 더 커지는 효과가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