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해충방제 방식으로 1945년경부터 유기합성 살충제의 개발이 진전되어, 해충의 화학적 방제가 급속히 발달하였다. 그러나 천적도 함께 없앴기 때문에 해충의 발생이 빠른 시일에 회복되거나, 그때까지 대상해충이 되지 않았던 해충의 발생이 증대하였다. 그 때문에 화학적 방제에만 의존하지 않고, 천적의 이용 등 생물적인 방제방법을 합리적으로 조화시켜 해충을 방제하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 후 살충제의 2차적 영향은 점차 큰 문제가 되었고, 해충의 살충제 저항성의 증대, 수확물의 살충제 잔류, 사람 ·가축에 미치는 직접적인 피해, 또 환경오염 등으로 농약, 특히 살충제의 지나친 사용이 거센 비판을 받기에 이르렀다. 이리하여 제안된 것이 종합방제이다.
해충의 발생은 무제한으로 증가하는 일이 없고, 생태계 속에서 그 해충의 발생과 관계가 있는 갖가지 요소와의 관련을 지탱하면서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하는, 이른바 자연제어(自然制御)가 되고 있다. 이에 적절한 인공적 요소를 가함으로써 해충의 밀도를 경제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수준 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종합방제 기술이다. 그러나 아무리 방제수단이 새롭게 발달하더라도 살충제는 계속 중요한 방제수단으로 존속될 것이다.
해충의 발생은 무제한으로 증가하는 일이 없고, 생태계 속에서 그 해충의 발생과 관계가 있는 갖가지 요소와의 관련을 지탱하면서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하는, 이른바 자연제어(自然制御)가 되고 있다. 이에 적절한 인공적 요소를 가함으로써 해충의 밀도를 경제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수준 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종합방제 기술이다. 그러나 아무리 방제수단이 새롭게 발달하더라도 살충제는 계속 중요한 방제수단으로 존속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