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은 동전의 양면을 이룬다. 둘 다 상대방에 대해 판결을 내린다. 판결을 내리는 우를 범하지 않으려고, 심리학자들은 아이들을 이끌어주려고 한다. 비판할 때, 부모들은 아이의 인격과 성품에 대해 비난을 퍼붓는다. 이끌어줄 때는 문제에 대해, 그리고 가능한 해결책에 대해 언급한다. 아이 자신에 대해서는 한마디도 하지 않는다. 일이 잘못되었을 때 바로 그 자리에서 일을 저지른 아이의 인격에 대하여 나무라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럴 때는 그저 벌어진 사건 자체만 다루고, 사람에 대해서는 왈가왈부하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9. 아이의 잘못에 차분하게 대처한다
많은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 사이에 일어나는 소동을 보면, 흔히 있을 수 있는 일에서 시작하여 예측할 수 있는 과정을 밟는다. 아이가 잘못을 저지르면 부모는 흔히 모욕적인 말로 꾸짖는다. 그래서 아이가 버릇없는 말로 대꾸하면 부모는 큰 소리를 지르고 윽박지르거나 매를 든다. 비판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비판은 분노와 적대감을 낳는다.
10. 분노는 이용하지 않는다
아이를 교육하다 보면 부모가 화를 내야 할 때가 있다. 사실 어떤 시점에서 화를 내지 못할 경우, 이것이 아이에게 선의가 아니라 무관심으로 전달될 때가 있다.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분노를 드러내지 않을 수가 없는 법이다. 그렇다고 해서 파도처럼 쏟아지는 격노와 폭력을 아이들이 참아낼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부모에게 분노는 값비싼 감정이다. 그 값을 다하기 위해서는, 이익이 남는 곳에 그것을 쏟아야 한다. 화가 났다는 사실을 좀 더 강조하기 위해 분노를 이용하지는 말아야 한다.
9. 아이의 잘못에 차분하게 대처한다
많은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 사이에 일어나는 소동을 보면, 흔히 있을 수 있는 일에서 시작하여 예측할 수 있는 과정을 밟는다. 아이가 잘못을 저지르면 부모는 흔히 모욕적인 말로 꾸짖는다. 그래서 아이가 버릇없는 말로 대꾸하면 부모는 큰 소리를 지르고 윽박지르거나 매를 든다. 비판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비판은 분노와 적대감을 낳는다.
10. 분노는 이용하지 않는다
아이를 교육하다 보면 부모가 화를 내야 할 때가 있다. 사실 어떤 시점에서 화를 내지 못할 경우, 이것이 아이에게 선의가 아니라 무관심으로 전달될 때가 있다.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분노를 드러내지 않을 수가 없는 법이다. 그렇다고 해서 파도처럼 쏟아지는 격노와 폭력을 아이들이 참아낼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부모에게 분노는 값비싼 감정이다. 그 값을 다하기 위해서는, 이익이 남는 곳에 그것을 쏟아야 한다. 화가 났다는 사실을 좀 더 강조하기 위해 분노를 이용하지는 말아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