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본문내용
가의 사회복지제도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들의 상당 부분을 이러한 부분에서 해결하고 있는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들 국가들은 경제적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국가부문의 사회복지체계가 미약하다. 예를들면, GDP 대비 공적 사회복지지출(1983년)로 볼 때, 일본의 경우 12.0%로 OECD 회원국 평균 21.2%보다 매우 낮은 수준이며, 한국과 싱가폴, 홍콩 또한 본 연구의초점인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점수가 상당히 낮은 편에 속한다(1995년 사회복지점수로 볼 때, 한국은 78위, 싱가폴은 75위, 홍콩은 30위이다).
이 러한 낮은 사회복지 수준에 비해, 이들 국가들은 지난 30년 동안 세계의 어떤 국가들보다 지속적으로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1965-90년 기간동안 한국은 연평균 7.1%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일본, 홍콩, 싱가폴도 각각 4.1%, 6.2%, 6.5%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동기간동안 분석에 포함된 107개국 전체 평균 경제성장률인 1.5%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즉, 이러한 국가들은 예외적으로 지난 30년동안 높은 경제성장률을 이루었던 것에 반하여 국가의 사회복지제도는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예외적인 국가들을 분석에 포함시키게 되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통계학적으로 ‘outlier'의 문제로 인해 모델적합성을 약화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러한 점을 감안하여 위에서의 네 개 국가(대만의 경우 원래 자료에서 제외되었다)를 뺀 국가들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4>에 제시되고 있다. 표에서 보는 바와같이 이전의 전체 국가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보다 전체적으로 모델의 설명력이 크게 상승하였다(특히 1965-90년 기간의 경우).
무 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사회복지제도와 경제성장의 관계가 다른 경제적 변수들을 통제하고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인다는 점이다. 1970-81년의 기간에는 0.5의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며, 특히 1965-90년의 26년동안의 평균 경제성장률을 종속변수로 하였을 경우, 사회복지제도의 발전정도가 경제성장률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표준화된 계수로 변수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판단할 때).
다 만, 1980-92년 기간의 경제성장에는 사회복지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이 기간동안 선진산업국가들의 경제성장률이 매우 낮았고, 전세계적으로도 경제침체기에 해당하는 시기라는 점, 그리고 이 시기가 이른바 후기산업사회의 특성을 보이기 시작하여 산업구조가 바뀌기 시작하고(예를 들면, 전통적 제조업이 줄어드는 대신 서비스산업이 크게 확대되는 등), 인구학적으로 노인인구비가 크게 증가하는 등으로 인하여 사회복지제도의 발전이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여지가 줄어들었거나, 경제성장을 결정하는 요인들이 과거와는 변화되고 다양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표 3>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모든 국가)
변 수 명
B(T값)
1970-81년 경제성장률
1980-92년 경제성장률
1965-90년경제성장률
사회복지지수1
1인당 국민소득1
1인당 국민소득2
1인당 국민소득3
국내총생산1
국내총생산2
국내총생산3
인플레이션1
인플레이션2
인플레이션3
해외무역1
해외무역2
해외무역3
(CONSTANT)
.012
(1.471)
-.000168
(-1.278)
.155***
(3.483)
-.017
(-.975)
.018
(.226)
-1.906*
(-1.824)
-4.65E-04
(-.057)
-.0006.86*
(1.819)
.164***
(4.659)
-.012
(-1.115)
-.059
(.226)
-2.592*
(-1.824)
.012*
(1.671)
-.00006.35
(-.784)
.101**
(2.150)
-.026
(-1.547)
.023
(.310)
-1.261
(-1.268)
R2
N
.22
86
.36
70
.21
76
주 : *: p <.1**: p <.05 ***: p <.01
<표 4>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홍콩, 일본, 한국, 싱가폴 제외)
변 수 명
B(T값)
1970-81년 경제성장
1980-92년 경제성장
1965-90년경제성장
사회복지지수1
1인당 국민소득1
1인당 국민소득2
1인당 국민소득3
국내총생산1
국내총생산2
국내총생산3
인플레이션1
인플레이션2
인플레이션3
해외무역1
해외무역2
해외무역3
(CONSTANT)
.017**
(2.200)
-.000217*
(-1.726)
.137***
(3.133)
-.023
(-1.439)
-.100
(-1.054)
-1.224
(-1.201)
.009
(1.081)
-.0000589
(.861)
.115***
(3.259)
-.016*
(-1.702)
-.188**
(-2.188)
-1.494
(-1.502)
.022***
(3.594)
-.000146**
(-2.274)
.086**
(2.222)
-.042***
(-3.245)
-.264***
(-3.129)
-.044
(-.057)
R2
N
.24
82
.32
66
.42
72
주 : *: p <.1 **: p <.05 ***: p <.01
이와 관련된 논의들은 최근 선진산업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도 많이 발견되는데(예를 들면, Pfaller and Gough, 1991), 이러한 현상은 다른 개발도상국이나 후발산업국가들에게도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요 컨대, 일본이나 한국 등의 예외적인 동아시아 국가들을 제외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분석할 경우, 지난 30년 간의 평균경제성장률로 볼 때, 사회복지제도가 발전할수록 경제성장률은 더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사회복지의 경제성장에 대한 긍정적인 역할은 1980년대 이후 점차 약화되고 있다는 것 또한 분석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이 러한 낮은 사회복지 수준에 비해, 이들 국가들은 지난 30년 동안 세계의 어떤 국가들보다 지속적으로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1965-90년 기간동안 한국은 연평균 7.1%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일본, 홍콩, 싱가폴도 각각 4.1%, 6.2%, 6.5%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동기간동안 분석에 포함된 107개국 전체 평균 경제성장률인 1.5%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즉, 이러한 국가들은 예외적으로 지난 30년동안 높은 경제성장률을 이루었던 것에 반하여 국가의 사회복지제도는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예외적인 국가들을 분석에 포함시키게 되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통계학적으로 ‘outlier'의 문제로 인해 모델적합성을 약화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러한 점을 감안하여 위에서의 네 개 국가(대만의 경우 원래 자료에서 제외되었다)를 뺀 국가들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4>에 제시되고 있다. 표에서 보는 바와같이 이전의 전체 국가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보다 전체적으로 모델의 설명력이 크게 상승하였다(특히 1965-90년 기간의 경우).
무 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사회복지제도와 경제성장의 관계가 다른 경제적 변수들을 통제하고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인다는 점이다. 1970-81년의 기간에는 0.5의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며, 특히 1965-90년의 26년동안의 평균 경제성장률을 종속변수로 하였을 경우, 사회복지제도의 발전정도가 경제성장률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표준화된 계수로 변수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판단할 때).
다 만, 1980-92년 기간의 경제성장에는 사회복지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이 기간동안 선진산업국가들의 경제성장률이 매우 낮았고, 전세계적으로도 경제침체기에 해당하는 시기라는 점, 그리고 이 시기가 이른바 후기산업사회의 특성을 보이기 시작하여 산업구조가 바뀌기 시작하고(예를 들면, 전통적 제조업이 줄어드는 대신 서비스산업이 크게 확대되는 등), 인구학적으로 노인인구비가 크게 증가하는 등으로 인하여 사회복지제도의 발전이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여지가 줄어들었거나, 경제성장을 결정하는 요인들이 과거와는 변화되고 다양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표 3>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모든 국가)
변 수 명
B(T값)
1970-81년 경제성장률
1980-92년 경제성장률
1965-90년경제성장률
사회복지지수1
1인당 국민소득1
1인당 국민소득2
1인당 국민소득3
국내총생산1
국내총생산2
국내총생산3
인플레이션1
인플레이션2
인플레이션3
해외무역1
해외무역2
해외무역3
(CONSTANT)
.012
(1.471)
-.000168
(-1.278)
.155***
(3.483)
-.017
(-.975)
.018
(.226)
-1.906*
(-1.824)
-4.65E-04
(-.057)
-.0006.86*
(1.819)
.164***
(4.659)
-.012
(-1.115)
-.059
(.226)
-2.592*
(-1.824)
.012*
(1.671)
-.00006.35
(-.784)
.101**
(2.150)
-.026
(-1.547)
.023
(.310)
-1.261
(-1.268)
R2
N
.22
86
.36
70
.21
76
주 : *: p <.1**: p <.05 ***: p <.01
<표 4>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홍콩, 일본, 한국, 싱가폴 제외)
변 수 명
B(T값)
1970-81년 경제성장
1980-92년 경제성장
1965-90년경제성장
사회복지지수1
1인당 국민소득1
1인당 국민소득2
1인당 국민소득3
국내총생산1
국내총생산2
국내총생산3
인플레이션1
인플레이션2
인플레이션3
해외무역1
해외무역2
해외무역3
(CONSTANT)
.017**
(2.200)
-.000217*
(-1.726)
.137***
(3.133)
-.023
(-1.439)
-.100
(-1.054)
-1.224
(-1.201)
.009
(1.081)
-.0000589
(.861)
.115***
(3.259)
-.016*
(-1.702)
-.188**
(-2.188)
-1.494
(-1.502)
.022***
(3.594)
-.000146**
(-2.274)
.086**
(2.222)
-.042***
(-3.245)
-.264***
(-3.129)
-.044
(-.057)
R2
N
.24
82
.32
66
.42
72
주 : *: p <.1 **: p <.05 ***: p <.01
이와 관련된 논의들은 최근 선진산업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도 많이 발견되는데(예를 들면, Pfaller and Gough, 1991), 이러한 현상은 다른 개발도상국이나 후발산업국가들에게도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요 컨대, 일본이나 한국 등의 예외적인 동아시아 국가들을 제외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분석할 경우, 지난 30년 간의 평균경제성장률로 볼 때, 사회복지제도가 발전할수록 경제성장률은 더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사회복지의 경제성장에 대한 긍정적인 역할은 1980년대 이후 점차 약화되고 있다는 것 또한 분석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추천자료
탈여성빈곤정책) 포용의 사회복지정책과 탈여성빈곤을 위한 경제정책, 보살핌의 사회화
사회복지정책의 영역 및 특성과 필요성, 사회복지정책과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및 경제성장과 ...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과 경제 - 사회복지정책과 경제성장, 사회복지정책과 투자, 사...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의 범위와 영역 - 사회정책과 경제정책, 사회복지 정책의 내용...
사회복지 정책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하시오 (사회복지정책이 경제성장에 미...
복지사회 - 복지정책과 경제발전의 서너지 효과
사회복지정책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기술하시오
사회복지정책에서 경제와 투자와 저축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그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
사회복지정책과 경제성장의 관계에서 사회복지가 경제성장에 기여한다는 의견과 저해한다는 ...
사회복지정책의 효과 중 경제적 효과를 정리하여 기술 [사회복지정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