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에 관한 기본지식 및 실제 노인 상담 및 인터뷰에 대한 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매에 관한 기본지식 및 실제 노인 상담 및 인터뷰에 대한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다니던 도중에 6 25를 겪었던 세대이고, 20살에 중매로 시집와서 맏며느리로 고생도 많았지만 자식들이 모두 잘 키워져 할머니가 노년기를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노인들처럼 처음에는 아파트로 이사한다는 것과 다른 지역으로 이사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도 있었지만 점차적으로 활동영역을 늘려나가면서 적응하게 되는 과정을 보면서 저희 어머니가 가지고 있는 두려움과 비교해볼 수 있었습니다. 저희 어머니는 53세이시지만 도시로 이사가서 아파트에서 살자는 이야기를 꺼내면 ‘나는 절대로 이사 안간다. 너 혼자 가라. 거기 가서 아는 사람도 없는데 뭐하고 방에서 온자 멀뚱멀뚱하고 앉아있냐. 그러다가 우울증 걸린다.’라고 하는데..인터뷰에 응해주신 할머니는 광주에서 살던 터라 다른 동으로 가는 것에 대해서 거부감이 조금 적었을지도 모르지만 더 적응을 잘 하신 것 같았습니다. 또한 시골노인과 도시노인의 적응능력에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나이든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함부로 낄 수도 없는 것이 노화의 부정적인 측면이라고 생각한다고 하는 부분에서 어떤 반응을 해야할 지 어려움을 느끼기도 하였는데, 상기 할머니의 생각이 여느 노인들에게서 다 나타날 수 있는 생각일수도 있다고 봅니다.
처음에는 부업이라도 하고 싶었지만 지금은 쉬는 것이 더 좋다고 말씀하셔서 활동이론과 은퇴이론에 입각해서 생각해볼 수 있었는데, 상기 할머니는 평생 주부로 일해와 딱히 은퇴라고 할 상황은 아니었지만 무엇인가 활동을 하려고 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좀 더 나이가 들면서는 lemon의 연구에서 처럼 책임감이 따르는 공식적인 활동보다는 책임감이 덜한 비공식적인 활동에서 더욱 즐거움을 느끼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은 계모임에서 계장을 맡아 하고 있는 것에 대해 즐거움을 느끼고 있어 어떠한 활동과 역할이 상기 할머니에게 삶의 활력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경로당을 이용하면서도 할머니보다 더 연세가 많은 노인들이 많아 가기가 꺼려진다는 대답은 노인들 내에서도 세대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과, 노인이라는 집단을 정말 더 세분화해서 생각해보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얼마 전 ‘노인 자살률 30%’라는 기사를 보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노인의 자살문제가 심각하다고 인식하게 되는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고 봅니다.
이 할머니와 이야기를 나누면서 경제적으로도 부족함이 없으며, 역할이 존재하고, 신체적으로도 건강한 편이어서 ‘성공적인 노화’에 가깝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광주시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박스를 주워나르는 할머니, 할아버지들을 보면서 그 분들은 노화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하는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노인의 인구가 10%정도를 차지하고 앞으로도 더욱 늘어날 전망에 있는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가치였던 ‘경로효친’, ‘효’사상이 다시 일깨워지고, 노인들 스스로도 자신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해 노력하며 정부 및 전문가집단에서의 support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32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