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한약재)의 오용및 남용 사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약초(한약재)의 오용및 남용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들은 “독초를 잘못 먹었을 경우 어지럼증이나 구토, 전신마비 현상이 나타나 즉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사망할수 있 으므로 사고 즉시 인근 병원에서 응급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밝 히고 있다.
<구조적 모순>
현행법상 한의원에는 60여 진료환자에 1명의 간호조무사를 두게 되어 있다. 하지만 간호조무사의 시험도 한방에 관한 과목이 취약하기 때문에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경남지역에의 마산대학에 한약재개발과를 비롯해 10여개의 전문인력 양성기관이 있음에도 현 제도에 묶여 설 자리가 없다는 것은 안타까운 사실이다. 실제 이 인력들의 대부분은 학업을 연계해 나가거나 과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평범한 회사원으로 취업하는 경우가 많아 전문인력의 누수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대안>
한의원에도 전문제약회사에서 정재되어 약이 나온다고 한다. 마산한의사회(회장 윤진구)에서도 정재된 약재를 바탕으로 전문인력이 탕약했을때 가장 안전하고 이상적인 한방체계가 이뤄질수 있다고 자문했다.
마산 소재 금강제약 심형섭 대표는 "한방전문제약회사가 식약 안정청의 기준에 부합되게 약재가 가공되기 때문에 이런 제약회사의 유통기관과 인증이 붙은 라벨을 참조하면 안전히다"고 말했다.
또한, "사)한국한약제조협회의 인증 마크의 확인은 필수임"을 전했다.
사람의 목숨을 살릴수 있는 야생초가 자칫 부주의로 큰 화를 입게 할수 있으므로, 한의원에서 안전하게 처방된 약을 믿을 수 있는 전문인력으로부터 충분한 설명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란 지적이다.
[출처] [야생초] 약초 오남용의 실태|작성자 가더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47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