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일기쓰기 지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제별 일기쓰기 지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일기 고치기
일기의 예)
난 저녁을 먹고 가족들과 함께 우리 아파트를 1바퀴 돌고 집에 들어 왔다. 상쾌했다.( 용현초등학교 3학년의 일기)
두 문장의 시입니다.
가) ‘난’이라는 말이 필요할까요?
나) 저녁에 무엇을 먹었나요?
다) 맛은 어땠나요?
라) 저녁을 먹으며 나눈 대화는 없었나요?
마) 그 때 식구들의 표정은? 집 안 분위기는?
바) 가족은 누구누구인가요?
사) 가족의 옷차림은? 신은 신발은? 표정은?
아) 무슨 아파트인가요? 몇 동인가요? 저녁을 먹은 후 본 아파트의 모습은?
자) 아파트를 돌며 본 식물이나 사람은 없었나요?
- 그 때 나눈 대화나 식물의 모습 색깔은, 느낌이나 생각은?
차) 아파트에서 본 하늘의 모습이나 색깔은? 흐렸나요, 맑았나요? 그 느낌은?
카) 아파트를 돌면서 나눈 대화는? 분위기는?
타) 가족의 정은 느끼지 않았나요? 정을 나타내는 말을 생각해 볼까요?
파) 땀이 나지 않았나요?
하) 목욕이나 샤워는 안 했나요? 상쾌했다고 생각한 이유는? 돌아와서는 그냥 잤나요?
♥ 이런 질문으로 대화를 나누어 봅니다. 그리고 대화한 것을 정리해보면 일기의 재료(글감)가 얼마나 많은 지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 구어체의 대화 글, 자기만의 흉내내는 말, 비유하는 표현-초등학교에서는 직유법과 의인법만 사용해도 글이 좋아집니다.-을 넣습니다.
이렇게 자세히 생각하고 일기를 쓰면 줄친 일기장 2쪽 이상의 긴 일기를 쓸 수 있습니다.
일기를 쓸 때는 교과서의 줄글처럼 문단을 바꿀 때나 대화 글이 나오고 내용이 이어지지 않을 때는 한 칸을 비우고 그 이외에는 행(줄)의 끝에까지 빼곡하게 채우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습니다.
3) 일기에서 띄어쓰기와 맞춤법 바로 잡기
각자의 일기에 고쳐 주고 말을 써 주는 것 효과가 많을까요?
같이 공부하는 방법은 어떨까요? 오 개념은 한 번에 고쳐지지 않습니다. 그러니 반복 학습이 필요합니다.
예) 그런대 → 그런데, 너어 갖고 → 넣어 가지고, 그레서 집에 드러가니 → 그래서 집에 들어가니, “먹을레” → 먹을래, 살은계란을 먹고 → 삶은 계란을 먹고
한꼴도 못 놋고 → 한 골도 못 넣고(단위를 나타내는 말과 세는 수를 나타내는 말은 띄어 씁니다.) 왜냥면 → 왜냐하면, 우리 반이 거이다 → 우리 반이 거의 다
지연아 빨리왔으면 엄마 핸드폰으로 전화해라 엄마가 라고 쓰고 가셔서 →
“지연아, 일찍 오면 엄마 핸드폰으로 전화해라.”
라고 어머니께서 글을 남기시고 외출하셔서
(대화글 쓰기의 지도와 알맞은 말의 사용법, 높임말의 지도도 아울러 한다.)
4. 나오며
일기는 그 날 있었던 일 중에서 글감을 골라 쓴 글( 날짜만 지우면 짧은 생활문이다.)이며, 생활문은 일기 쓰는 날을 포함해, 태어나 기억이 나는 순간까지 과거에 있었던 일 중에서 글감을 골라 쓴 글입니다. 결국 일기와 생활문은 족보가 같다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결국 일기는 어린이들의 삶을 담은 순수한 어린이들의 글이어야 하며, 부끄러운 일도 서슴없이 나타내는 어린이다운 글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어른들의 지나친 간섭은 어린이들의 가슴에 멍을 들일 수 있다는 생각으로 매우 조심하여 지도해야 하는 글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글쓰기의 목적을 논술대회에 대비하기 위하여, 상을 타기 위한 수단, 시인이나 소설가 ... 등 작가가 되기 위한 연습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이나 어른들이나 글쓰기로 자기를 표현하는 행위가, 생각을 바로 세우고 세상을 바르게 살아가는데 매우 큰 노릇을 하며, 삶을 윤택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것입니다. 어쩌면 글쓰는 행위 그 자체를 즐기는 것이 글쓰기이며 목적 따위는 애초에 생각하지 말아야 할 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므로 매일 쓰는 일기의 중요성은 더 이상 논할 필요도 없는 것입니다.(어른도 글을 쓰려면 하루 10매 이상의 원고 쓰기를 계속해야 합니다.)
일기는 어린이들의 역사이며, 생 그 자체가 되어야 합니다. 이 글을 충실하게 자신의 언어로 쓰는 어린이가 풍요로운 인생을 설계할 것은 불문가지일 것입니다.
그러므로 어른들은 어린이 스스로 정말 쓰고 싶은 글을 일기로 쓸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끝으로 일기에서 필요 없는 말을 살펴보며 본 고를 마치고자 합니다.
나는 - 쓰지 않아도 나이니까 !
오늘은 - 일기는 그 날의 일을 쓴 글이니까!
그리고, 그런데 - 어울리지 않는 이어주는 말을 반복하면 글이 매 끄럽지 않으니까!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56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